학술논문

대학교 행정 직원의 멘토링 기능과 조직 몰입의 관계에 대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on Relationship Between Mentoring Fun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for University Administrative Staff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인문사회 21 /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Jan 01, 2023 14(2):1525
Subject
University Administrative Staff
Mentoring Function
Pychological Empowerment
Organization Commitment
Mediation Effect
대학교 행정직원
멘토링 기능
심리적 임파워먼트
조직 몰입
매개효과
Language
Korean
English
ISSN
2951-049X
Abstract
연구 목적: 이 연구는 대학교 행정직원의 멘토링 기능, 조직 몰입, 심리적 임파워먼트 수준을 조사하고, 멘토링 기능, 심리적 임파워먼트, 그리고 조직 몰입의 영향 관계를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각각 살펴보았다. 연구 방법: 국내 A대학 행정직원들을 대상으로 web-based survey를 이용하여 총 203명의 자료를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Pearson 적률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연구 내용: 이 연구 가설은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가설 1> 대학교 행정직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멘토링 기능과 조직 몰입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가설 2> 대학교 행정직원의 멘토링 기능은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조직 몰입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로 설정하였다. 결론 및 제언 첫째,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멘토링 기능과 조직 몰입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라고 설정한 <가설 1>이 채택되었다. 둘째, 멘토링 기능이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조직 몰입 간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라고 설정한 <가설 2>가 기각되었다. 대학교 행정직원의 멘토링 기능은 조직에 대한 소속감 유발 및 자신의 역할의 불확실성을 줄이고 그 의미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점에서 조직 몰입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조직 내 대학 행정직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증진할 수 있도록 상담 및 훈련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mentoring fun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of university administrators,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and moderating effec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oring function,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respectively. Based on previous studies, this research hypothesis is based on 1. University administrative staff's psychological empowerment will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oring fun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ypothesis 2. The mentoring function of university administrators was set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 total of 203 data were analyzed using a web-based survey targeting administrative staff at A university in Korea,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Pearson moment-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hypothesis 1, which established that psychological empowerment would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oring fun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adopted. Second, hypothesis 2, which established that the mentoring function would regul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rejected. Conclusions and suggestions confirmed that the mentoring function of university administrators can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at it induces a sense of belonging to the organization, reduces the uncertainty of one's role, and helps to form the mean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operate counseling and training programs to enhance the psychological empowerment of university administrators within the organization.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