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하수관로 조사 매뉴얼 및 하수관 표준시방서 개정(안)을 위한 연구
Study on the revision of manual and standard specification for sewer pipe investigation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대한상하수도학회·한국물환경학회 공동학술발표회 발표논문. Jul 01, 2020 2020:1
Subject
3D Profiling
Investigation Manual
Pipe Penetrating Radar
Sewer Pipe
Standard Specification
Language
Korean
Abstract
노후화된 하수관로를 정밀하게 조사하기 위한 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가 최근에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맨홀 3D Profiling, PPR (Pipe Penetrating Radar) 조사, 고내산성 콘크리트관 및 뒷채움재 등 다양한 신기술 및 공법을 포함하고 있다. 기존 하수관로 매뉴얼 및 시설기준에 관한 연구는 주로 정비사업 진행 및 관리 시스템과 같은 기초적인 기틀을 마련하는 연구에 집중되어 수행되어왔기 때문에 개발된 신기술, 신제품 그리고 신공법 등을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하수관로 조사 매뉴얼 및 하수관 표준시방서 개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하수관로 조사를 위한 매뉴얼과 표준시방서에는 다루지 않는 신기술 및 신공법에 관한 개선 필요사항을 조사함으로써 하수관로 및 맨홀 조사 매뉴얼, 하수관 표준시방서의 개정 방안을 제안한다. 먼저, 하수관로 및 맨홀 조사 매뉴얼에는 맨홀 3D 조사 시스템에 대한 전체적 내용이 부재하기 때문에 맨홀 3D 조사 시스템을 활용함으로써 맨홀에 대한 결함 감지가 가능하다는 내용에 대한 개정이 필요하다. 또한 기존 매뉴얼에서는 CCTV를 활용한 하수관로의 조사에 대한 내용만 존재하기 때문에 PPR 조사 시스템과 멀티센서 활용 조사 시스템을 활용함으로써 하수관거에 대한 대부분의 결함 감지가 가능하다는 내용에 대한 개정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하수관 표준시방서에서는 고내산성 콘크리트 하수관 및 일체형 뒷채움재에 대한 내용에 대한 개정이 필요하고 현재 부재한 지반공동 긴급복수 시스템과 하수관로의 접합부 수밀성능 개선을 위한 보수시스템에 대한 내용에 대한 개정 또한 요구된다. 향후 단계별 종합적 Test-bed를 통한 신기술, 신제품 그리고 신공법에 대한 검증 평가 결과를 이용한다면 최종 개정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