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구성원들의 상사 윤리적 리더십에 대한 인식이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Big5 성격모형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Big5 personality model on the influence of employees' perception of leader ethical leadership on deviant behavior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혁신기업연구 / Innovation Enterprise Research (IER). Mar 31, 2024 9(1):387
Subject
윤리적 리더십
Big 5성격유형
개인적 일탈행동
조직적 일탈행동
Ethical Leadership
Big 5 Personality Type
Personal Deviant Behavior
Organizational Deviant Behavior
Language
Korean
English
ISSN
2713-4172
Abstract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에 대한 구성원들의 인식과 일탈행동의 관계에서 Big5 성격모형의 조절효과를 규명하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지금까지의 윤리적 리더십에 관한 연구는 생산적인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나 본 연구는 반생산적 성과인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고 조절변수로 Big5 성격 모형을 제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윤리적 리더십에 대한 인식이 개인적 및 조직적 일탈행동을 억제하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에 대한 인식과 부하들의 대인적 일탈행동의 관계에서는 Big 5성격유형에 따라 조절효과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신경증, 개방성은 개인적 일탈을 부추기는 정(+)적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에 대한 인식과 부하들의 조직적 일탈행동의 관계에서는 Big 5성격유형에 따라 조절효과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친화성, 개방성은 조직적 일탈을 부추기는 정(+)적인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타 Big 5성격유형은 유의미한 효과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그 동안 윤리적 리더십과 그 효과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있었음에도 일탈행동과 같은 반생산적 행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드문 실정이었다. 일탈행동을 예방하여 만족스런 직장생활과 조직유효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Big5 personality mode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perception of supervisor's ethical leadership and deviant behavior.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on ethical leadership have focused on the effect on producti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but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 on deviant behavior, which is a counterproductive performance, and proposed the Big5 personality model as a moderating variabl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perception of ethical leadership has a negative effect on suppressing personal and organizational deviant behavior.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s perception of ethical leadership and subordinates' interpersonal deviant behavior was different according to Big 5 personality type, and neuroticism and opennes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moderating effect on personal deviance. Also,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s perception of ethical leadership and subordinates' organizational deviant behavior, the moderating effect was different according to Big 5 personality type, and affinity and openness showed positive (+) moderating effect to encourage organizational deviance. On the other hand, other Big 5 personality types we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It is expected to prevent deviant behavior and contribute to satisfactory work lif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mprovement.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