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우리나라 사람면역결핍바이러스 감염 환자의 톡소포자충 감염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evalence of toxoplasma infection in human immunodeficiency virus-infected patients in South Korea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대한내과학회지 (Korean J Med) /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Korean J Med). Jun 01, 2009 76(6):713
Subject
HIV
Toxoplasma gondii
Toxoplasmic encephalitis
Seroprevalence
사람면역결핍바이러스
톡소포자충
혈청 유병률
Language
Korean
ISSN
1738-9364
Abstract
목적: 톡소포자충 뇌염은 사람면역결핍바이러스 환자에서 발생하는 중추신경계 기회감염증의 가장 흔한 원인 중하나이다. 우리나라에서 톡소포자충 뇌염은 HIV 감염 환자에서 발생하는 다른 기회감염증들에 비해 매우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HIV 감염 환자의 톡소포자충 감염의 특성과 현 상황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0년부터 2008년까지 고신대병원, 동아대병원, 부산대병원, 인제대병원의 4개 대학병원에 내원한 HIV 감염환자들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톡소포자충 뇌염 발생률과 임상적 특성, 톡소포자충 항체 유병률, 혈청전환율 및 톡소포자충 감염의 위험인자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총 683명의 HIV 감염 환자가 연구대상에 포함되었다. 남자가 598명(87.6%)이었고, 환자들의 정중 나이는 41세(16~76세)였다. 환자들의 CD4 양성 림프구 수의 중앙값은 221/μL이었으며 49%가 처음 내원 시 에이즈로 진행한 상태였다. 총 683명 중 톡소포자충 뇌염으로 내원한 환자는 6명(0.9%)이었으며, 연구기간 동안 톡소포자충 뇌염의 발생률은 100인년당 0.34명(95% 신뢰구간: 0.17~0.72명)이었다. 6명 모두 남자였으며 톡소포자충 뇌염 진단 당시 정중 나이는 42세(32~48세)였다. 6명 중 4명(50%)은 톡소포자충 뇌염 때문에 처음 병원을 방문하였으며, 이 중 3명은 이때 HIV 감염사실을 처음으로 알게 되었다. 톡소포자충 뇌염 진단시점의 CD4 양성 림프구 수의 중앙값은 44/μL (2~99/μL)로 모두 100μL 미만이었다. 총 683명 중 414명(61%)에서 톡소포자충 항체 검사가 시행되었고, 이 중 35명(8.5%)에서 양성이었다. 처음 시행한 톡소포자충 IgG 항체 검사에서 음성이었던 376명중 95명(25.3%)에서 추적검사가 시행되었다. 총 추적기간은 207.7년이었으며 평균 추적기간은 2.2년(1~6.2년)이었다. 추적기간이 1~2년인 경우가 53명(56%)으로 가장 많았으며, 65%에서 추적기간 동안 폐포자충 예방을 위해서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을 투여한 적이 있었으며, 투여기간은 1년 미만이 38명(61%)으로 가장 많았고, 평균 투여 기간은 전체추적기간의 32%였다. 추적검사가 시행되었던 95명 중 단지 2명(2.1%)에서만 혈청전환이 있었으며, 추적기간 동안의 혈청전환율은 100인년당 0.96명(95% 신뢰구간: 0.47~3.29명)이었다. 톡소포자충 항체 검사가 시행되었던 414명 중 판정 불가였던 3명을 제외한 411명에 대하여 톡소포자충 감염 위험인자를 분석하였다. 단변량 분석에서는 나이가 많을수록, 결혼을 한 경우, 이성접촉에 의한 감염, 해외 거주력이 있는 경우가 유의한 위험인자로 나타났으나(p<0.05), 다변량 분석에서는 해외 거주력만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위험인자였다. 결론: 우리나라 HIV 감염 환자의 톡소포자충 혈청 유병률은 약 8.5%였으며, 톡소포자충 뇌염의 발생률도 100인년당 0.34명으로 전체 환자의 0.9%에서만 발병하여 혈청 유병률뿐만 아니라 발생률 모두가 다른 국가에 비해서 낮은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해외 거주력이 있는 경우에는 톡소포자충 감염의 위험성이 4배 정도 높았다. 또한 톡소포자충에 감염되지 않았던 환자를 약 2년간 추적하는 동안 약 2%에서 새로운 감염이 발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Aims: Toxoplasmic encephalitis (TE) is one of the most common causes of focal brain lesions, which complicate the course of 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AIDS). There is wide geographic variation in the prevalence of toxoplasma infec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haracterize toxoplasma infection in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infected patients in South Korea. Methods: We retrospectively examined the incidence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E in 683 HIV-infected patients who were enrolled between 1990 and 2008 at four university hospitals in Busan, Korea. We also assessed the seroprevalence of IgG antibodies to Toxoplasma gondii, risk factors for toxoplasma seropositivity, and seroconversion rates during the course of HIV infection. Results: Among 683 HIV-infected patients, six (0.9%)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TE. The incidence of TE was 0.34 per 100 person-years (py) during the study period. Of the 414 patients who had undergone serological examinations for Toxoplasma gondii, 35 (8.5%) patients were seropositive. Un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oxoplasma seropositivity included increased age, heterosexual transmission, marriage, and a history of overseas residence (p<0.05). Of these factors, a history of overseas residence was a significant risk factor in a multivariate analysis (p<0.05). A total of 95 patients who were seronegative on their initial screen showed serial toxoplasma IgG antibodies (mean duration of follow-up, 2.1 years). Among these patients, only two (2.1%) acquired IgG antibodies to Toxoplasma gondii during the follow-up period. Conclusions: The seroprevalence of anti-toxoplasma IgG antibodies in HIV-infected patients in Korea was 8.5%. A history of overseas residence was a significant risk factor for toxoplasma seropositivity. The incidence of TE was 0.34/100 py, which is lower than that reported in other countries. Toxoplasma seroconversion was also uncommon (2.1%). (Korean J Med 76:713-721, 2009)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