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라디오 공동체와 전파의 정동 - KBS클래식FM <가정음악> 오프닝 시를 중심으로 -
Radio Community and the Affect of Radio Waves - A Study of the Opening Poetry Segment of ‘Kim Mi-sook’s Family Music’ on KBS Classic FM -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석당논총. Mar 31, 2024 88:197
Subject
김경미
<김미숙의 가정음악>
『카프카식 이별』
정동
가정음악
라디오시
라디오 공동체
Kim Kyeong-mi
Kim Mi-sook’s Family Music
The Kafkaesque Farewell
affect
family music
radio poetry
radio community
Language
Korean
ISSN
1738-6578
Abstract
이 논문은 라디오 프로그램 <김미숙의 가정음악>의 오프닝 시를 중심으로 가정음악 담론의 의미와 라디오 공동체의 정동을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김미숙의 가정음악>은 KBS클래식FM에서 2018년 5월부터 2023년 3월까지 평일 오전 9:00~11:00에 방송했던 라디오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가정음악을 위한 시’라는 코너로 시작됐는데, 이 프로그램의 작가이자 시인인 김경미가 매일 쓰는 이 오프닝 시는 DJ인 배우 김미숙의 음성으로 낭독되며 많은 청취자들의 사랑을 받았다. 시인은 이 오프닝 시를 모아 시집 『카프카식 이별』을 출간하기도 했다. 한 가정을 보살피고 가꾸는 ‘그림자 노동’의 배경음악, 즉 ‘그림자 노동의 그림자’가 되기를 목표했던 이 프로그램은, 시와 음악이라는 교양과 함께 위로와 공감을 전달하며 모바일 공동체로서의 라디오 공동체를 생성한다. 본고는 이 프로그램의 정동적 수행이 라디오 전파를 통해 각각의 공간에 놓인 신체들을 유동적 무정형의 라디오 공동체로 연결하고, ‘음악’과 ‘가정음악’ 혹은 ‘시’와 대중시로서의 ‘라디오 오프닝 시’ 사이의 암묵적 위계 사이를 미끄러지며, 시를 통해 가정음악의 젠더담론을 운동하게 만든다는 점을 보여준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discourse of ‘family music’(gajeong eumak) and the affect of the ‘radio community’ by focusing on the opening poems of the radio program ‘Kim Mi-sook’s Family Music.’ This program was aired on KBS Classic FM from May 2018 until March 2023 on weekday morning from 9 to 11. The program began with the opening segment titled ‘Poetry for Family Music’ written daily by this program’s scripter and poet Kim Kyeong-mi, was read by the radio disc jocket and actress Kim Mi-sook, and was loved by many listeners. The poet even collected these opening poems and published them as a book titled The Kafkaesque Farewell(Kapeuka sik ibyeol, 2020). This program, which aims to be the background music for the family caring for and house maintaining called ‘shadow labor’(that is, ‘the shadow of shadow labor’), forms the mobile radio community by delivering emotional comfort and empathy with providing cultural edification about poetry and music. This article attempts to show how, through the medium of radio waves, the affective performativity of this program uses mobile technologies to connect the dispersed bodies of listeners in their own spaces while slipping back and forth between the implicit hierarchies of music and family music, as well as poetry and radio opening segment poetry(as popular poetry), ultimately activating a gendered discourse of family music.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