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구조와 정보 이용 행태에 관한 연구: 북한의 비공식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와 정보 이용의 사사화(私事化)
A Study both on the Network Structure of Communication and on the Pattern of Information Use in North Korea: Focusing on Informal Communication Network Structure and Information Flow Privatization in North Korea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언론과학연구 /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Dec 30, 2013 13(4):482
Subject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구조
비공식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에이전시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정보 이용 사사화
communication network structure
multi-network structure
hierarchical mono-hub network
agency communication network
information flow privatization
quasi-horizontal communication society
Language
Korean
ISSN
1598-2653
Abstract
이 연구는 북한사회 내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구조와 정보 이용 양태를 규명하기 위해 북한의 대내외 커뮤니케이션 환경과 조건을 탐색하고, 나아가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의 작동 메커니즘과 이를 통한 다양한 행위자의 정보 이용 양태를 살펴보고자 했다. 연구결과 북한의 커뮤니케이션 구조는 단일한 형태의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구조에서 비공식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의 새로운 등장으로 복합적 형태의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구조를 갖는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체계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공식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모형은 단(單)허브 형태인 공식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로서 선전선동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와 다르게 네트워크 민주모델인 다(多)허브형 네트워크와 탈(脫)허브형 네트워크의 중간 형태를 띠고 있는 에이전시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Agency Communication Network-ACN)의 구조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민주모형에 가까운 수평적 구조의 비공식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에서 다양한 노드로 연결된 행위자들의 정보 이용 사사화(privatization)는 북한사회 내 개개인의 커뮤니케이션 연결망의 비공식적 확장과 북한주민의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세계에의 참여양식의 질적 변동을 가져왔으며, 북한사회의 하위노드 사이를 매개(agency)하는 지역간·부문간·영역간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를 촉진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This study tries to investigate the newly emerging both the structure of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pattern of information usage in North Korea. For the above research question, this paper has studied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communications surrounding North Korea. Additionally, this research aims to delve into the mechanismof new communication structure with the analyses of the pattern of information usage of actors. It is found that North Koreans enjoy the multi-network structure, which means that the influences of hierarchical mono-hub network used to be found before ArduousMarch are not working well. The multi-network structure is characterized by the Agency Communication Network(ACN) which is the middle formof multi-hub network and post-hub network of horizontal network. Due to the ACN, the people of North Korea can access diverse information from outside countries. Furthermore, they can communicate as free as they want within the structure of ACN. However, there has emerged severe vigilance from the government to block the free flow of information with the ACN. Even though the monitoring of communication among people by government, the people of North Korea enjoy the privatization of information flow in the ACN, which enables themto exchange diverse types of information with other peoples. It is concluded that the society of North Korea has been moving fromtop-down command society to the quasi-horizontal communication society crossing over regions and sectors.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