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Freudenthal의 교수학적 현상학에 기반한 일차함수 개념 수학화 과정 사례 분석
Mathematising process analysis of linear function concept based on Freudenthal’s didactical phenomenology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수학교육 / THE MATHEMATICAL EDUCATION. Aug 31, 2022 61(3):419
Subject
Freudenthal’s mathematising
didactical phenomenology
mental objects
linear function concept
rate of change
프로이덴탈의 수학화
교수학적 현상학
심상
일차함수 개념
변화율
Language
Korean
ISSN
1225-1380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이덴탈의 수학화 과정과 일차함수 개념의 교수학적 현상학의 분석을 통하여 학생들이 변화율이 일정한 현상을 표, 그래프, 식으로 표현하는 과정과 일차함수 개념의 심상을 구성하는 과정, 본질을 구성하는 과정을 서술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변화율이 일정한 현상을 표로 표현할 때 합성단위로서의 비를 사용하고, 그래프로 표현할 때 한 학생을 제외하고 직선으로 표현하였다. 식으로 표현할 때 학생별로 주어진 상황, 공변 관점, 대응 규칙을 이용하는 수준의 차이가 있었다. 학생들은 두 변화량 사이의 관계를 곱셈적으로 비교하였고, 그 비율이 하나의 상수가 된다는 것을 교사의 안내에 따라 구성하였다. 특히 시간의 변화량과 거리의 변화량이 하나의 값, 속력이 되는 상황을 통하여 변화율이 일정하다는 심상을 구성하였다. 단, 변화율을 직선의 기울기와 연결하는 데에는 어려움을 겪었으나, 변화율이 일정하다는 심상과 그래프가 직선이며 식의 모양이 y=ax+b (a는 변화율, b는 절편)라는 심상을 정리하고 조직하여 일차함수의 본질(개념)을 구성하였다
This study is based on Freudenthal’s mathmatising process and the didactical phenomenology of linear function concept, I have described and examined the process in which students represent the constant rate of change into tables, graphs and equations and, in this way, how they construct mental objects and essence of the linear function concept. The students used the proportionality as composite units, when they represented the phenomenon with constant rate of change into tables. When representing in graphs, all but one student represented it into a line.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he students in the level they were using the given conditions, co-variation perspective, and corresponding rules when formulating equations. The students compa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in a multiplicative way, and under the guidance of teachers they reached to the understanding that its relationship becomes a constant. Moreover, they could construct mental objects of a constant rate of change, understanding the situation where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difference and distance difference becomes one value, namely speed. The students had difficulties in connecting the rate of change with the inclination of a line. The students constructed the essence (concept) of linear functions, after building and organizing the image that the rate of change is constant, the graph is linear, and the equation is formulated as y=ax+b (a: inclination, b: intercept).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