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우울증에 대한 기독교상담의 연구 동향: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Research trends in Christian Counseling for Depression: Focusing on Domestic Research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복음과 상담 / The Gospel and Counseling. Mar 31, 2024 32(1):5
Subject
우울증
기독교상담
상담 연구 동향
내용 분석
기독교상담의 정체성
depression
Christian counseling
counseling research trends
content analysis
identity of Christian counseling
Language
Korean
ISSN
1739-0745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상담에서 우울증에 대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전망해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우울증에 대한 국내 기독교 상담 연구자들이 발표한 학술지 및 학위논문 216편을 분석하였다. 분석 항목으로는 크게 연구 주제, 연구 대상, 연구 방법, 이론 및 치료 접근의 영역으로 나누어 그 특징과 경향을 분석하였다. 특별히 우울증에 초점을 맞춘 점을 감안하되, 일반 상담과 구별되는 기독교상담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연역적 방법과 귀납적인 방법을 함께 사용하여 범주를 유목화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 주제의 경우 개관연구가, 연구 대상의 경우 연령 및 성별을 특정하지 않은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개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 기독교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 방법은 이론 연구가 가장 많았고, 이론적 접근으로는 학제간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치료적 접근으로는 기독(목회) 상담과 통합 및 절충주의 접근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내용적으로는 이론 및 치료적 접근 모두에서 심리상담학적 관점이 차지하는 비중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토대로 우울증에 대한 기독교상담의 추후 연구의 과제와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본 연구가 향후 우울증에 대한 기독교상담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predict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on depression in Christian counseling. For this, the study analyzed 216 academic journals and dissertations published by domestic Christian counseling researchers on depression. The analysis items were broadly divided into the areas of research topic, research object, research method, theoretical and therapeutic approach, and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were analyzed. Considering the focus on depression and the specificity of Christian counseling, which is distinct from secular counseling, the categories were organized using both deductive and inductive method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ost common research topics were overview studies, and the most common were studies that did not specify age and gender, studies targeting individuals, and studies targeting Christians as subjects. The most common research method was theoretical research, the most common theoretical approach was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the proportion of Christian counseling and integrative and eclectic approaches was alike in therapeutic approaches. In terms of content, the proportion of psychological counseling perspectives was higher. Based on this, the tasks and directions of future research on Christian counseling for depression were proposed.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important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hristian counseling for depression in the future.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