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산 대표 음악가 김학성이 편 『노래 모음』 (1950년)의 구성 및 특징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Song Collection(1950) edited by Busan musician Hak-Sung Kim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항도부산. Aug 30, 2021 42:381
Subject
김학성
부산 음악가
노래 모음
윤이상
홍은순
1950년대
노래책
Haksung Kim
Busan Musician
Song Collection
Isang Yoon
Eunsoon Hong
1950s
Songbook
Language
Korean
ISSN
2093-1875
Abstract
본고는 부산의 대표 음악가 김학성이 엮은 『노래 모음』을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김학성의 생애를 통해 김학성이 초등용 노래책인 『노래 모음』을 발행하게 된 배경을 추정하였다. 김학성은 이 책을 발행한 1950년을 전후로 부산에서 교사 생활을 하고 있었다. 100곡이 실린 노래책 『노래 모음』을 편찬한 것은 중·고등학교의 교사 신분으로 있던 그가 어린이들의 음악 교육에도 관심이 있었다는 것을 말해준다. 즉 노래책의 서문에 밝힌 것처럼, 어린이들에게 다양한 노래를 보급하려는 마음에서 노래 100곡이 실린 『노래 모음』을 발행하였다. 김학성은 한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노래책에 ‘한글’ 관련 노래를 많이 실은 것에서 이를 알 수 있다. ‘엮음’ 대신에 ‘짬’이라는 순우리말을 사용한다든지, 악보와 함께 적은 ‘나타냄표’가 거의 모두 한국어로 이루어진 것에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다. 결국 이는 교육자이자 음악가였던 김학성이 지향했던 것이 무엇이었는지를 보여주기도 한다. 즉 노래책의 구성과 수록된 노래들을 통해 그가 한글 사용을 실천하려 했던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3장에서는 『노래 모음』에 수록된 노래들을 계몽을 주제로 한 노래, 자연과 관련된 노래, 인간사를 그린 노래로 나누어 각각 살펴보았다. 동요는 음악과 문학으로 구성되어 있다. 어떤 것이 더 중요하다 단정할 수 없으나, 위의 구분은 분류하기에 상대적으로 수월한 노랫말을 중심으로 분류한 결과이다. <시계>를 제외한 대부분의 작품들을 본 연구자의 세 가지 구분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계몽을 주제로 한 노래는 주로 나라 사랑이나 한글의 우수성 등을 강조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계몽을 주제로 했기 때문에 청유형 어미나 명령형 어미를 사용한 노랫말이 많다는 것이 특징적이다. 계몽을 주제로 한 노래들을 조사하면서 연구자는 각 작품의 작사자와 작곡자의 정보를 재정리하였다. 다음으로 자연 관련 노래들은 대체로 동화적인 상상력을 드러낸 노래와 애상적인 감정을 표현한 노래로 나뉜다. 자연 관련 노래들의 대부분이 의인화를 사용하여 자연을 사람처럼 묘사한 것이 특징적이다. 동요에서 동화적인 상상력을 표현한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자연에 감정을 이입하여 애상적인 감정을 드러낸 노래를 듣고 부르며, 어린이들은 연민의 감정을 학습할 수 있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인간사를 그린 노래들은 가족에 대한 그리움을 그린 노래와, 아이들의 눈높이에서 내 자신이나 친구를 그린 노래로 대별된다. 가족에 대한 그리움을 그린 노래가 음악적으로나 문학적으로 애상적인 것과 달리, 내 자신이나 친구를 그린 노래들은 음악적으로 경쾌하고 문학적으로 비유가 아닌 직설적인 표현을 쓴 것이 특징적이다. 본고는 김학성이 엮은 『노래 모음』 수록 곡의 면면을 살펴본 것으로 의미가 있다. 자료를 찾고 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본고에서 언급한 각 노래에 대한 정보를 찾아 제시한 것은 본고의 성과다. 앞으로 1950년대에 발간된 여타 노래책과의 비교를 통해 이 시기 노래책의 전반적인 특징과 의의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고가 그 작업을 위한 작은 실마리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paper examines the Song Collection compiled by Hak-Sung Kim, a representative musician in Busan. For this, in Chapter 2, I guessed the background in which Hak-Sung Kim published an elementary songbook, Song Collection, through the life of Hak-Sung Kim. Hak-Sung Kim was a teacher in Busan around 1950 when this book was published. Although he was in the middle school and the high school, he was also interested in music education for children. With the spirit of distributing various songs to children, he seems to have published the Song Collection containing 100 songs. Hak-Sung Kim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Hangeul. This can be seen from the fact that there are many songs related to “Hangul” in the songbook. This can be seen from the use of the pure Korean word ‘짬(jjam)’ instead of ‘combination’, or from the fact that the ‘Music Indicators’ written with the score is almost all in Korean. In the end, this also shows what the educator and musician Kim Hak-sung was aiming for. Next, in Chapter 3, 100 songs from the Song Collection were divided into songs with the theme of enlightenment, songs related to nature, and songs depicting human life. Except for < Clock >’, the songs generally could be attributed to one of the three branches. Songs with the theme of enlightenment are mainly composed of contents that emphasize the love of the country or the excellence of Hangeul. Since it was the theme of enlightenment, it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re are many lyrics using the requesting-type or imperative-type endings. It can be considered an achievement of this paper to find and organize information about the songs’ lyricists and composers while looking at the songs with the theme of enlightenment. Next, songs related to nature are generally divided into songs that reveal fairy-tale imagination and songs that express affectionate feelings. In any case, it is characteristic to use personification to portray nature like a person. It is natural to express fairy tale imagination in nursery rhymes. I think that the song that brought emotion into nature and revealed the affectionate emotions served as an opportunity to learn the feelings of compassion for children who listen to and sing songs. Lastly, songs about human life are roughly divided into songs about longing for family and songs about myself or friends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ren. Unlike songs that portray longing for my family musically and literary, songs depicting myself or my friends are musically cheerful and literary, with straightforward expressions rather than metaphors.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the aspects of the songs included in the Song Collection compiled by Hak-Sung Kim. It is the achievement of this paper to find and present information about each song mentioned in this paper in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materials and writing the thesis. Finally, I hope that this paper will be used as a basic material in examining the aspects of music books published in the 1950s from the liberation period.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