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층자료분석을 활용한 유아의 창의성에 관련된 교사와 유아 변인 탐색 / A Multilevel Data Analysis on the Variables of Teacher and Young Children Related to the Young Children's Creativity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유아의 창의성
Language
Japanese
Abstract
인간의 창의성이 유전과 생물학적 속성의 산물인가 아니면 사회 문화적인 영향을 받는 특성인가? 라는 논제는 여러 연구자들 사이에 논란이 되어 왔다. 두 가지 견해는 교육자들로 하여금 유아의 창의성 교육에 있어 서로 다른 입장을 취하게 한다. 오늘날 많은 창의성 연구자들은 인간의 창의성 발달에 유전과 환경이 상대적으로 기여한다고 믿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개인 변인(지능, 인지양식, 성격, 동기)과 교사 변인(교사의 창의성, 교사의 창의적 교수 효능감,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이 유아의 창의성을 설명하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통하여 유아의 창의성과 관련된 변인을 찾아서 유아의 창의성 발달을 일으키는 동인을 찾아보고자 한다. 또한 유아의 창의성은 단편적인 몇몇의 변인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교사 변인과 유아 변인들의 상호조합에 의해 이루어짐을 밝히고자 한다. 이러한 노력은 다원적이고 종합적인 유아 창의성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연구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의 창의성은 학급 간에 차이가 있는가? 2. 교사 변인과 유아 변인은 유아의 창의성에 대해서 주효과를 갖는가? 3. 교사 변인과 유아 변인은 유아의 창의성에 대해서 상호작용 효과를 갖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광역시교육청 산하에 있는 25곳의 유치원 중에서 42학급을 선정하여 만5세 유아 총 753명과 해당 학급의 교사 42명이다. 연구 도구는 유아의 창의성은 전경원(2001)의 유아 도형 창의성 검사, 노영희 외 2인(2006a)의 창의적 인성 검사, 콜라쥬를 통한 창의적 산물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유아 변인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김호권(1990)의 일반지능 검사, 전윤식(1984)의 유아용 인지양식 검사, 권지연(2002)의 성격 검사, 진경희(2002)의 동기 유형 검사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교사 변인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노영희 외 2인(2006b)의 창의성 검사, 창의적 교수 효능감 검사, Nazobaid(1986)의 창의적 교수행동 관찰 검사를 사용하였다.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12.0과 HLM(Hierarchical Linear Model)을 사용하였다. 검사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위해 신뢰도 분석과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인들의 평균 및 표준편차와 T점수를 산출하였으며 독립 변인이 유아의 창의성을 어느 정도 설명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2수준 다층자료분석을 통해 기초모형과 연구모형, 그리고 고정 효과와 무선 효과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창의성 전체 분산 중에서 학급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집단 간 분산과 학급 내에서의 유아 간 차이를 나타내는 집단 내 분산의 비율을 알아본 결과, 유아의 창의성은 학급 내 유아 간의 차이 뿐만 아니라, 학급 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창의성은 학급 간의 차이에서 설명되는 부분보다는 유아 간의 차이에 의해서 설명되는 부분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의성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변인인 교사 변인과 유아 변인이 유아의 창의성을 설명하는지를 알아본 결과, 유아의 창의성을 설명하는 교사 변인으로는 교사의 창의성과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이었고, 유아 변인으로는 유아의 지능, 유아의 장독립적인 인지양식, 유아의 외향적인 성격, 유아의 내·외적동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창의성 영역에 따라 교사 변인과 유아 변인이 설명하는 양상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지능은 창의성 영역에 상관없이 유아의 창의성을 설명하는 중요한 변인임이 밝혀졌다. 셋째, 유아의 창의성에 대해서 교사 변인과 유아 변인의 상호작용 효과가 일부 밝혀졌다. 이를 통해 유아의 창의성은 단편적인 몇몇의 변인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다양한 변인들의 상호작용 및 영향력을 통해 이루어짐을 밝힐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