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편입준비생의 진로수정요인 및 편입결과기대 분석 / An Analysis of the Factors for the Change in Course and the Expectation of the Results of Transfer among the Students Preparing the Transfer into University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대학편입준비생
진로수정요인
편입결과기대
목적지향형
수단지향형
Language
Korean
Abstract
진로수정이란 바로 한 진로에서 다른 진로로 옮겨 가는 것을 의미한다. 주된 동기는 이미 주어진 진로에서 발전할 기회의 차단이다. 진로수정을 할 때에는 새로 선택하는 진로가 종전의 유사한 점들이 있어 그동안 쌓은 지식과 경력과 경험들을 활용할 수 있는가의 여부와 왜 진로가 개인의 적성, 흥미, 태도, 능력, 신체적 조건, 인성에 부합되며 발전 가능성이 있는가를 발견하도록 고려하여야 한다. 그러나 자기실현보다는 현실적 이익만을 추구하는 진로선택과 학교 성적으로 진로가 결정되는 우리나라 입시구조가 학생들은 자신에 대한 깊은 고찰과 객관적 평가를 하지 못한 채, 진로결정을 대학입학 이후로 유보한 상태로 대학에 진학하게 된다. 이에 학과에 적응하지 못하여 다른 진로를 모색하거나, 이후의 직업세계에 아무런 준비 없이 참여하게 되는 문제를 겪게 된다. 이에 편입은 입시에 실패하거나 새로운 진로를 찾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도전의 의미로서 해마다 편입을 준비하는 학생들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편입준비생의 진로수정요인을 조사하고, 만족스러운 진로수정을 성취할 수 있도록 대학편입을 준비하는 학생들뿐만 아니라 대학 입시를 앞둔 학생들을 위한 진로상담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 제공에 그 의의가 있다.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경인지역에 소재한 편입학원 재학생 363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결과 분석은 SPSSWIN ver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증, 일원배치 분산분석 등을 실시하였다.이를 통해 검증된 가설은 다음과 같다.【가설 Ⅰ】‘대학편입준비생의 개인 특성에 따라 진로수정요인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을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진로수정 하위변인 중 학력필요성과 외적가치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게 나와 남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보수, 명성, 안정성 등의 외적 조건들을 중요시하며, 진로수정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문대 졸업 이하의 학력을 가진 집단이 4년제 재학 이상의 집단보다 학력필요성에 의해 편입을 하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업성적에 따른 진로수정요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가설 Ⅱ】‘대학편입준비생의 편입준비행동에 따라 진로수정요인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을 분석한 결과, 일 경험 여부에 따른 진로수정요인의 차이분석에서는 일 경험이 없는 집단이 일 경험이 있는 집단보다 학력필요성이 진로수정에 있어서 주된 동기로 작용하며, 진로결정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편입 준비생보다 학사편입 준비생이 진로수정 동기로서 학력필요성에 대해 더 많이 응답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되었다. 한편, 전공계열에 대해서는 진로수정요인으로 적성ㆍ흥미 불일치에서 이공계열이 가장 높게 나왔고, 그 다음으로 인문계열, 사회ㆍ사범계열, 예체능계열 순으로 나타났다.대학입학시 전공선택기준에 따른 진로수정요인은 직업전망, 외적가치에 대해서는 대학입학시 장래의 사회진출을 고려하여 전공을 선택한 집단이 진로수정에 대해 가장 많이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기타, 성적, 적성고려 등의 순이었다. 또한 적성ㆍ흥미 불일치에 대해서 기타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성적, 장래의 사회진출, 적성고려 등의 순으로 나왔다.편입준비시기와 진로수정요인과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업욕구에 대하여 소속학교(출신학교)에 입학시부터, 소속학교(출신학교)에 다니면서부터, 고등학교 졸업 후, 소속학교 졸업 후, 일(아르바이트)을 경험하고 나서부터 등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전공 변경계획에 따라 진로수정요인에 차이가 있었다. 적성ㆍ흥미 불일치로 진로수정을 하려는 경우, 전공 변경을 하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업 욕구로 편입을 하려는 경우, 학교만 변경할 뿐 전공을 유지하고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적 요인에서는 외적가치가 강할수록 전공에 상관없다는 반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가설 Ⅲ】‘대학편입준비생의 편입결과기대에 따라 진로수정요인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을 설정하고 분석한 결과, 목적지향형일수록 학업욕구가 크게 나타났으며, 학력 필요성으로 진로수정을 하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관계지향형일수록 진로결정수준이 낮고 교육환경 불만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수단지향형일수록 외적가치가 높게 나타났으며, 현재(또는 최종)전공의 직업전망 불투명으로 진로수정을 하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내적가치가 높을수록 목적지향형으로 나타났다.한편, 대학편입준비생의 편입결과기대에 따라 대학입학시 전공선택기준은 차이가 있었는데, 목적지향형일수록 대학입학시 적성을 고려하여 전공을 선택하였으며, 수단지향형일수록 대학입학시 장래사회 진출과 성적을 고려하여 전공을 선택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Ⅰ. Purpose of the studyThe change of one's course means transferring from one course to another course. The main motive is made by the blocking of the opportunity for development in the already-given course. At the time of the change of one's course, it must be considered whether the newly selected course has some similarity to the previous course for the utilization of the knowledge, career and experience accumulated so far, and how the new course corresponds to the aptitude, interests, attitude, ability , physical condition and personality of the individual. However, due to the choice of their course in pursuit of practical interests rather than for self-realization and the system of admission to universities with the study performance at school only, students cannot make profound examination and objective evaluation of themselves and enter university postponing the decision of their course to be done after entrance to university. As a result, they often seek other courses not being able to adapt to the study of his major, or have the problem of participating in the world of occupation without any preparation. Regarding this, transferring to another university is a challenging opportunity for those who fail in the university entrance exam or who seek new courses, and more and more students are preparing for the transfer to other universities. This study examines the factors for the change of the course of those who prepare the transfer exam, and aims to provide both the students preparing for the transfer and those who are taking the university entrance exam with the basic helpful materials in the counseling of the course of their life.Ⅱ. Method of StudyThe object of this study is the 363 students who attend the institutes for transfer located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The results were analyzed with SPSSWIN ver 12.0 program for frequency analysis, t-test of independent samples, one-way layout analysis of variance, and cross analysis.Ⅲ. ResultsFirstly,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the factors for the change of their course according to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who are preparing for the transfer into other universities showed that among the sub variables of the change of their course between genders, the necessity for bett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external values had more influence on male students than on female students. In addition, the group with an educational background of less than the 2-year college graduate were trying more to transfer due to the necessity of educational background than the students enrolled in 4-year university. Mean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factors for the change of their course according to the study performance.Secondly,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the factors for the change of their course according to the preparatory actions for the transfer showed tha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 by working experience, category of the transfer being prepared such as ordinary transfer or the transfer after university graduation, major and department, the criteria for the choice of major at time of the entrance into university, period of time for the preparation of the transfer, plans to change major, etc.Thirdly, regarding the expectation of the students preparing for the transfer about the results of the transfer, goal-oriented type occupied 50.8% of the total respondents, and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the factors for the change of their course according to the expectation of the results of the transfer,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factors of the change in course in desire for learning, necessity for educational background, non-decision of course, dis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environment, and occupational values. In addition, the expectation of the results of the transfer had meaningful difference only in the criteria for the selection of major at time of the entrance into university.From the analysis results so fa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factors for the change of the course for the students preparing university transfer exam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he actions to prepare the transfer,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factors for the change in course according to the expectation of the results of the transfer. Meanwhile, though there is a social prejudice to see that the transfer into other universities is an attempt to change the course to use it as a tool to achieve goals, the students preparing the transfer exam think they are changing their course in pursuit of internal value rather than external value.Therefore, the counseling on the course as well as the counseling methods must be considered according to the factors for the change of course of the students who are preparing the transfer into other universities, and more future studies are necessary for the achievement of satisfactory change in course. Moreover, the counseling on course and programs will have to be provided in consideration of the factors for the change in course not only for the students who are preparing for the transfer into universities but also the students who are going to take the university entrance exam so that they may make rational decision about their major and sch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