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우구스티누스 『그리스도교 교양』의 교육적 해석 / An Educational Interpretation of Augustinus's De Doctrina Christiana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해석학
수사학
그리스도교 교양
향유와 사용
이중 사랑
Language
Korean
Abstract
이 논문은 아우구스티누스의 그리스도교 교양에 나타난 해석학과 수사학이 개념적으로 관련이 있다는 점과 그것이 지닌 교육적 함의를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이 논문은 아우구스티누스의 교육사상의 전반적인 기초, 교육 목적, 교육인식론 그리고 교수와 학습의 원리를 살펴본다. 이를 바탕으로 󰡔그리스도교 교양󰡕에 나타난 해석학과 수사학이 지닌 의미와 서로의 관련성을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이것이 지닌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았으며, 해석학과 수사학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교사의 역할이 지닌 의미와 중요성을 고찰해본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인간이 향유해야 할 사물뿐만 아니라 사용해야 할 사물들까지도 표상으로 가려져 있기 때문에 각 사물에 대한 앎을 얻기 위해 해석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표상이 가리키는 사물의 본질을 보기 위해서는 진리, 곧 영원불변하는 대상에 대한 사랑에 기반을 두어야 한다. 세상의 모든 사물들은 참된 진리이자 유일한 향유의 대상을 더욱 사랑하기 위해 사용될 뿐이며, 그러한 목적을 위해 사물들을 바라볼 때 비로소 진리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쌓을 수 있다. 해석을 통해 파악한 진리는 화자가 상대방에게 진리를 얼마나 유려하게 전달했는지 보다 상대방으로 하여금 얼마나 진리에 설득되게 했는지가 중요하다. 그가 제시한 수사적 법칙들은 화자의 언변을 능통하게 만들어주기보다는 그의 가르침을 듣는 이웃에 대한 사랑을 품는 것에 중점을 둔다. 아우구스티누스가 한 저서에서 해석학과 수사학이라는 두 가지 주제를 다루는 이유는 두 가지가 긴밀한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진리의 가르침에 따르면, 해석하여 깨달은 진리는 반드시 다른 사람에게 전달되어야 의미가 있으며, 이는 신과 이웃에 대한 이중 사랑으로 표현된다. 진리를 가르치는 교사는 소유한 지식을 학습자에게 전달해줌으로써 이중사랑을 실천한다. 그는 신적 교사의 조명으로부터 깨달은 지혜를 홀로 누리는 데 만족하지 않고, 이를 전달하여 자신의 이웃도 동일한 유익을 누릴 수 있도록 돕는다. 이것이 소유가 올바른 사용에로 이끄는 원리이자 사랑의 원리이며, 아우구스티누스가 진리의 교사로서 해석과 전달을 함께 논하는 이유가 된다. 해석학과 수사학에 대한 아우구스티누스의 논의는 결국 진리에 대한 올바른 사랑인 카리타스(caritas)를 가지고 있을 때 진리를 올바로 해석할 수 있고, 그것의 가르침에 따라 소유한 지식을 이웃에게 전달할 때, 진리를 아는 것과 행하는 것이 일치를 이루게 된다. 인간의 인식 과정에서 사랑의 질서가 가지는 역할은 교육을 통해 가르치고자 하는 인간이 이성만을 가진 존재가 아니라, 이성과 의지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물을 인식하는 존재로서 총체적인 인간 이해를 가지도록 한다. 우리는 진리를 추구하는 만큼 인간을 온전히 이해할 수 있고, 사유와 행위의 합일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Augustinus’s De Doctrina Christiana in terms of educ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foundation of Augustinus’s educational thoughts, educational aim, and educational epistemology and his principles of teaching and learning. On that basis, this paper pays special attention to the meaning and the corelation of hermeneutics and rhetoric of Augustinus’s De Doctrina Christiana and it also sheds light on its educational significance, the significance and importance of the teacher’s role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ugustinus’s hermeneutics and rhetoric concerning De Doctrina Christiana. Augustinus suggests that interpretation i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of things because all things are indicated with signs which are words; both things for use and things for enjoyment alike. To see the nature of things that the signs refer to, it must be relied on love for the eternally unchangeable. All things of the world are only to be used to love the truth more, the one and only object of enjoyment, and as we see things with that purpose, we will get the correct knowledge of the truth. To deliver the truth that is been grasped through interpretation, it is more important that the hearer should be persuaded by the truth itself rather than the speaker’s eloquence. Augustinus suggests his rhetorical principles should be employed not to make a speaker sound eloquent, but to love his neighbors who hear his teaching. Augustinus writes about hermeneutics and rhetoric in one book, because both are closely related. According to the teachings of the truth, the truth understood through interpretation can only be conveyed meaningfully to hearers when it’s fulfilled in his dual love for God and his neighbors. A teacher of the truth conveys his own knowledge to learners and thus his love for God and neighbors is manifested. He is not content to possess the wisdom that he understood through the enlightenment of the divine counselor, but strives to share it with others so that his neighbors can also enjoy its benefits. This is the rule of turning possession into use and of loving which moved Augustinus to discuss hermeneutics and rhetoric together. In his discussion of hermeneutics and rhetoric Augustinus concludes that only when one who has charity, the right love of the truth, he can interpret the truth correctly and as he speaks to his neighbors the wisdom he learned from the truth, his knowing is in accord with his doing. In that his assertion is based on Christian perspectives, it is not easy to be applied to education field in general whose purpose is to develop rational reason while putting aside discussions of transcendent beings or religions as personal or subjective. Nevertheless, the order of love, in human cognitive process, plays a role to call educators’ attention to see human beings or learners as not just rational, but whole who perceive things through interaction of reason and will. The more we seek the truth, the closer we will come to unity of reasoning and doing through holistic understanding and loving of hum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