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근대기 미국 선교사 호레이스 알렌의 한국 문화재 컬렉션과 대리수집 활동 연구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논문은 1884년 조선에 미국 장로교 선교사로 입국하여 20여 년간 활동하고 1905년 본국으로 돌아간 호레이스 알렌의 한국 문화재 수집과 대리수집 활동에 대해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알렌이 조선에 입국한 최초의 개신교 선교사라는 점에서 그의 입국은 한국 기독교 선교의 기원과 관련하여 중요한 사건으로 여겨져 왔다. 때문에 한국교회사 뿐만 아니라 한미관계사, 한국의학사 등 여러 분야에서 알렌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스미소니언 소장품을 제외한 알렌 컬렉션과 알렌의 대리수집 활동에 관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다. 알렌은 근대기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 중에서도 수집과 유통에 관한 많은 자료를 남긴 몇 안 되는 인물이다. 관련 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이 분야의 연구가 쉽지 않은 상황에서 알렌 컬렉션 연구는 서양인 컬렉터를 이해하는데 유용한 하나의 사례 연구로서 의미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 논문에서는 뉴욕공립도서관 소장 『호레이스 뉴튼 알렌 문서(Horace Newton Allen Papers)』와 대한황실문화원 『미국 ‘알렌컬렉션’ 문화재환수 활동: 제1~4차 연구조사 보고발표회 자료집』을 비롯한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알렌 컬렉션과 알렌의 수집 활동에 대해 분석하였다. 2장에서는 알렌 컬렉션을 소장처에 따라 나누어 현황을 살펴보고 특징을 분석하였다. 3장에서는 알렌의 대리수집 활동 양상을 한국 문화재를 수집한 수요자에 따라 나누어 살펴보았다. 알렌 컬렉션과 알렌의 수집 활동을 통해 근대기 외국인 컬렉터와 한국 문화재 유통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race N. Allen’s collection and his buying agent services in Korea between his arrival in 1884 and his return in 1905. Dr. Allen was a missionary, physician and American minister to Korea. As he was the first Protestant missionary in Korea, the course of his life has been closely examined in various fields such as Korean Church History, Korean-American relations, Korean Medical History and etc. Allen’s art collection and buying agent services however, have not discussed in previous studies. In fact, Allen is one of the few westerners who left extensive material regarding his collection and the retail environment of Korean artifacts. Therefore, this paper focused on Allen’s activities as a useful case study to understand collectors who visited Korea during the late nineteenth century to the early twentieth century. Based on such critical mind, this study deployed materials including Horace N. Allen Paper from the New York Public Library, and the Research Report on the Redemption of Cultural Assets: Allen Collection by Dae Han Imperial House to discuss Allen‘s as a collector and his Korean collection. Chapter 2 discussed Allen collection that is currently in Smithsonian Institution and the collection left to the descendants who are still reside in Toledo, Ohio. Followed by the chapter 3, which examined Allen’s buying agent services in relation to Korean artifacts. The chapter focused on the purpose of the American clients who were willing to purchase Korean artifacts. As well as the types and prices of the main items sold to Americans. Through the close examination on the Allen collection and his buying agent services, this paper aims to expand the understanding of the foreign collectors in the late 19th to early 20th century Korea, and the distribution of Korean artifa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