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생태‧자연도를 활용한 생태취약성평가와 보전전략 / Eco-Weakness Assessment and Conservation Strategy using Eco-Natural Map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생태‧자연도+ 생태취약성+ 환경영향평가+ 국토의 이용+ Eco-Natural Map+ Eco-Weakness Assessmen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Use of National Land
Language
Korean
Abstract
Eco-weakness assessment of 1-grade district in eco-natural map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here urban development pressure is high was conducted using Eco-natural map.The A-grade which means eco-weakness is very low occupied the 40.5%(6,947 grids) of the total area and B-grade which means eco-weakness is low occupied 36.2%(6,199 grids) of the total area. C-grade which means eco-weakness is high occupied the 21.5%(3,687 grids) of the total area and D-grade which means eco-weakness is very high occupied 1.8%(304 grids) of the total area.As a result of categorizing the investigated areas based on the eco-weakness grades, cities and counties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goodness, medium and badness). Gunpo-si, Uiwang-si, Gwacheon-si, Ongjin-gun, Icheon-si, Incheon, Yangpyeong-gun, Hanam-si and Namyangju-si are good condition and Seoul, Pyeongtaek-si, Yeoncheon-gun, Goyang-si and Gimpo-si are medium, Suwon-si, Ansan-si, Guri-si, Anseong-si, Hwaseong-si, Gwangmyeong-si and Osan-si are bad. For the area where eco-weakness condition is bad, it seems to need to enlarge buffer area around 1-graded district in eco-natural map or introduce the concept of maximum load system regarding eco-weakness.It is highly worthy to use the Eco-weakness analysis for examining conditions of location to soundly utilize National Land combining ecosystem conservation. It is also very useful for establishing efficient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strategy.
생태‧자연도를 활용하여 개발압력이 높은 수도권 지역을 대상으로 생태‧자연도 1등급지에 대한 생태취약성평가를 수행하였다. 생태취약성이 매우 낮은 A등급이 6,947개의 격자로서 전체의 40.5%를 구성하고, 생태취약성이 낮은 B등급은 6,199개의 격자로서 전체의 36.2%를 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취약성이 높은 C등급은 3,687개로서 전체의 21.5%를 구성하며, 생태취약성이 매우 높은 D등급은 전체의 1.8%인 304개의 격자가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취약성 등급 비율에 따라 시군별 특성을 유형화한 결과 양호, 보통, 불량의 3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생태취약성 상태가 양호한 시군은 군포시, 의왕시, 과천시, 옹진군, 이천시, 인천시, 양평군, 하남시, 남양주시 등이며, 보통인 시군은 서울시, 평택시, 연천군, 고양시, 김포시 등이다. 불량한 시군은 수원시, 안산시, 구리시, 안성시, 화성시, 광명시, 오산시가 이에 해당되었으며, 이들 지역은 생태‧자연도 1등급지 주변에 완충지역을 확충하거나, 생태취약성 총량제 개념의 도입 등 보전생태학적 입지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서의 생태취약성평가 결과는 건전한 국토의 이용과 생태계 보전을 위하여 개발사업의 입지검토에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으며, 효율적인 개발과 보전전략 수립에 활용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