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장년층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등산행동에 따른 등산복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Purchasing Behavior of Outdoor Wear Depending on Lifestyles and Climbing Behavior of Middle-Aged Consumers
Document Type
Text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This study has purpose on presenting basic data for marketing strategy development on outdoor wear brands and middle-aged consumers by analyzing benefits sought, motivation of climbing, importance of store attributes and purchase frequency in accordance with the forms of store and purchase places depending on middle-aged consumers’ lifestyles and climbing behavior. This study has targeted male and female consumers between their 40s and 60s, who live in Seoul and Gyeonggi area. The survey was done as convenient sampling and 340 surveys were collected from January 4 until February 10, 2012. For analysis, SPSS 12.0 Package Program was used for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t-test, while for ANOVA and post-analysis, Turkey’s post-hoc test was conducted. Results of this study’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as we analyzed motivation of climbing according to their lifestyles, all of three factors were meaningful. If people put more values in their health and self-satisfaction, their motivation for health improvement was higher. When they have lower intention of leisure, while stronger inclination for self-satisfaction and achievement, they thought showing off to others is important. Those, who think social life and achievement are more important, climbed for socializing. Second, as we analyzed benefits sought of outdoor wear depending on lifestyles, all seven factors were significant. If people have stronger inclination in leisure, self-satisfaction and health, they pursued convenience. When they consider social life and achievement are more important, they concerned more about trend, function, application in daily lives and conformity. In addition, those who put more values in social life, achievement and health thought showing off brands of outdoor wear is significant. People with higher inclination in social life believed economic factor is more essential. Moreover, people who does not mind about self-satisfaction, but care more about social-life, achievement and health, thought design of outdoor wear is more important. Third, after analyzing benefits sought according to motivation of climbing, all seven factors were meaningful. People with higher motivation to improve health but lower motivation to show off considered convenience of outdoor wear is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those who put lower values in health but higher values in showing off and social life, they thought conformity of outdoor wear is more important. People with stronger inclination for showing off and social life highly regarded facts such as displaying brands, trends, function and application in daily lives, while, other people with stronger inclination for health and social life considered design is more vital. When people climb to show off to others, they thought economic factor is the most significant aspect. Fourth, we found radical differences in benefits sought depending on wealth of experiences. Group of experience between two to five years and between five to twenty years commonly set higher values in showing off brands, trend, function and conformity. Nevertheless, only the group with experience of between five to twenty years considered design more importantly The group with more than twenty years of experience put higher values in convenience of outdoor wear, while those with less than two years of experience did not think convenience significantly. We could not find major differences in importance of store attributes. Fifth, we found meaningful dissimilarity in benefits sought and importance of store attributes depending on frequency of climbing. Groups with those who climb once in every 2 to 4 weeks, once a week, and more than twice a week, commonly put higher priority in convenience of outdoor wear. The group with the least frequency, who climbs once every 2 to 4 months, did not consider convenience, trend, function and conformity importantly. The group that climbed for more than twice a week has stronger inclination for convenience, trend, function and conformity, but lack inclination towards application in daily lives. For importance of store attributes, they cared location convenience and sales promotion more significantly. Sixth, we found an enormous difference in benefits sought of outdoor wear in accordance with their spending time on climbing. Those who spend four to five hours put higher priority in convenience of wears, while did not consider application in daily lives. Contrarily, the group who spends less than two hours thought application in daily lives was more important rather than convenience. The group between two to three hours tries to use outdoor wear in their everyday lives. We could not find major differences in importance of store attributes. Seventh,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lifestyles, motivation of climbing, benefits sought of outdoor wear, importance of store attributes, and purchase frequency in accordance with the forms of store and purchase places depending on gender. Female prioritizes in self-satisfaction than males, and also think aspects of importance of store attributes such as sales promotion, salesperson and shop environment were significant too. When they purchase outdoor wear, they preferred department stores and shops nearby their residences. Male has stronger inclination for social life and achievement, while regarding trend, function, application in daily lives, design and conformity importantly. Men preferred stores nearby climbing trails and rest areas in highways. Eighth, we found dramatic differences in lifestyles, motivation of climb, benefits sought of outdoor wear, importance of store attributes, and purchase frequency in accordance with the forms of store and purchase places depending on age groups. Those in their 40s prioritize in leisure, meaning they climb for socializing, while they put more values in convenience and design of outdoor wear, product of store attributes, sales promotion activities and service of salesperson. Contrarily, people in their 60s highly regarded socializing, but did not consider about showing off to others. Also, they did not care much about convenience and design of outdoor wear, product store attributes, sales promotion activities and service of salesperson. Those in their 50s have stronger inclination towards convenience of outdoor wear and product in stores. Ninth, we fou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styles, motivation of climbing, benefits sought of outdoor wear, importance of store attributes and purchase frequency of each type of store and purchase places in accordance with their income. The group with comparably higher income of between four to five million KRW set higher values in leisure, self-satisfaction and health, while setting lower values in showing off and socializing. They consider convenience of outdoor wear, product of store attributes and location convenience importantly, while prefer franchise stores and shops nearby their residences. Those people with income between two to four million KRW participate in climbing for socializing and prefer to apply outdoor wear in daily lives. On the other hand, the group with income lower than two million KRW said they climb to show off and think prices are important. As we can see from above results, this study can be outlined as study on lifestyles and purchasing behavior in accordance with climbing behavior of middle-aged consumers.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provides basic data on developing marketing strategy on outdoor wear.
본 연구는 중장년층 등산복 소비자를 대상으로 라이프스타일과 등산행동에 따라 등산복 추구혜택, 참여동기, 점포속성 중요도, 점포형태별 구매빈도, 구매 장소별 구매빈도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여 아웃도어 브랜드와 중장년층 소비자 관련 마케팅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경기에 거주하는 40∼60대 남녀 소비자를 대상으로 2012년 1월 4일에서 2월 10일에 걸쳐 편의표집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40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에는 SPSS 12.0 Package Program을 활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t-test 그리고 ANOVA 및 사후검정으로 Tukey's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등산 참여동기 분석 결과, 3가지 요인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만족지향, 건강지향성이 높을수록 건강증진을 위한 등산동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지향이 낮고, 개인만족지향과 성취지향이 높을수록 외적과시 등산동기가 중요하였다. 사회지향과 성취지향이 높을수록 사교를 위한 등산동기가 높았다. 둘째,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등산복 추구혜택 분석 결과, 7가지 요인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라이프스타일의 여가지향, 개인만족지향, 건강지향이 높을수록 등산복의 편안함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지향과 성취지향이 높을수록 등산복의 유행/기능성, 일상복활용성, 동조성 추구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사회지향, 성취지향, 건강지향이 높을수록 등산복의 상표과시성이 높게 나타났다. 사회지향이 높을 경우는 등산복의 경제성을 중요시 하였다. 개인만족지향이 낮고, 사회지향, 성취지향, 건강지향이 높을수록 등산복의 디자인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등산 참여동기에 따른 등산복 추구혜택 분석 결과, 7가지 요인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증진 참여동기가 높을수록 외적과시 참여동기가 낮을수록 등산복의 편안함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증진 참여동기가 낮고 외적과시, 사교성 참여동기가 높을수록 등산복의 동조성을 추구하였다. 외적과시, 사교성 등산동기가 높을수록 등산복의 상표과시, 유행/기능성, 일상복활용성 추구 경향이 높게 나타났고, 건강증진, 사교성 등산동기가 높을수록 디자인을 중요시하였다. 외적과시 등산동기만 높을수록 등산복의 경제성 추구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등산경력에 따라서는 등산복 추구혜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년 이상∼5년 미만 집단과 5년 이상∼20년 미만 집단은 공통적으로 등산복 추구혜택의 상표과시, 유행/기능성, 동조성 추구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다만 디자인 성 부분에서는 5년 이상∼20년 미만 집단에서만 중요시 하였다. 등산복의 편안함 추구 면에서는 20년 이상 집단이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에 등산경력이 적은 2년 미만은 편안함 추구 성향이 낮게 나타났다. 점포속성 중요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등산빈도에 따라서는 등산복 추구혜택, 점포속성 중요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등산횟수가 2∼4주에 1번 집단, 1주에 1번 집단, 1주에 2번 이상 집단은 공통적으로 등산복의 편안함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등산횟수가 가장 낮은 2-4달에 1번 집단만 등산복의 편안함 추구 성향이 낮았으며, 유행/기능성, 동조성 또한 낮게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등산횟수가 가장 높은 1주에 2번 이상 집단은 등산복의 유행/기능성, 동조성 추구성향이 높았고, 일상복활용성은 낮았다. 점포속성 중요도에서는 입지편의성, 판매촉진활동을 중요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등산 시 운동소요시간에 따라서 등산복 추구혜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5시간 이상 집단은 등산복의 편안함을 추구하였으며, 등산복의 일상복활용성 추구성향은 낮았다. 2시간미만 집단은 4∼5시간 이상 집단과 정반대로 등산복의 편안함보다는 일상복활용성을 더 중요시 하였다. 2∼3시간미만 집단은 등산복의 일상복활용성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점포속성 중요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일곱째, 성별에 따라서 라이프스타일, 등산 참여동기, 등산복 추구혜택, 점포 속성 중요도, 점포형태별 구매빈도, 구매 장소별 구매빈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여성은 남성보다 개인만족지향 라이프스타일이 강했고, 점포속성 중요도 중 판매촉진, 판매원, 점포환경을 중요시 여겼다. 등산복 구매 시 백화점 유통업체와 거주지 근처 매장을 선호하였다. 남성은 여성보다 사회지향, 성취지향성이 강했고, 등산복의 유행기능성, 일상복활용성, 디자인, 동조성을 중요시하며, 등산로 근처매장과 고속도로 휴게소 매장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연령에 따라서 라이프스타일, 등산 참여동기, 등산복 추구혜택, 점포속성 중요도, 점포형태별 구매빈도, 구매 장소별 구매빈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0대는 여가지향성을 중요시 하며, 사교를 위한 등산동기가 강하였고, 등산복의 편안함과 디자인 추구성향이 높았으며, 점포 속성의 상품, 판매촉진활동, 판매원서비스를 중요시 하였다. 60대는 40대와는 정반대로 여가지향성이 낮으며, 사교를 위한 동기가 중요하지 않았으며, 외적과시를 위한 등산동기가 강했다. 등산복의 편안함과 디자인 추구성향이 낮으며, 점포속성의 상품, 판매촉진활동, 판매원서비스 중요도 또한 낮게 나타났다. 50대는 등산복의 편안함을 추구하며, 점포의 상품을 중요시 하였다. 아홉째, 소득에 따라서는 라이프스타일, 등산 참여동기, 등산복 추구혜택, 점포속성 중요도, 점포형태별 구매빈도, 구매 장소별 구매빈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소득이 비교적 높은 400∼500만 원 이상 집단은 여가지향, 개인만족지향, 건강지향성을 중요시 하며, 등산동기로 외적과시와 사교성이 중요하지 않았고, 등산복의 편안함을 추구하는 경향을 보이며, 점포 속성의 상품과 입지편의를 중요시 하였다. 점포형태는 대리점을 선호하며, 거주지 근처 매장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400만 원 이하 집단은 사교성을 위하여 등산에 참여하며, 등산복의 일상복활용성을 추구하는 경향을 보였다. 비교적 소득이 낮은 200만 원 이하 집단은 외적과시를 위하여 등산에 참여하며, 등산복의 경제성을 중요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중장년층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등산행동에 따른 등산복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로 요약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아웃도어 마케팅 전략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