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형태초점 의사소통 접근법에 관한 연구 : 한국과 홍콩의 중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 A study of Focus on Form Approach: Focusing on the 1st grade middle school englsih textbook of Korea and hongkong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형태초점 의사소통 접근법
교과서 분석
홍콩 영어 교과서
focus on form
textbook analysis
의식상승 과제
문법교수
grammar teaching
Language
Korean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nd compare how focus on form techniques have been reflected on the first grade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in Korea and Hongkong Long(1991) introduced the Focus on form approach in order to maintain the strength of focusing on meaning while dealing with the imitations of the traditional focus on forms approach and focus on meaning. According to Long, the distinguishing factor in focus on form is that overtly draws students' attention to linguistic elements as they arise incidentally in lessons whose overriding focus is on meaning or communication. Based on SLA(Second Language Aquisition) theories and researches, focus on form approach have been considered an effective method of developing learner's language skill and this awareness led nation governments include focus on form approach in national curricula for the English subject. In Korea as well as Hongkong have developed and implement focus on form approach in English instruction, and new English textbooks have been published to meet the guideline. To seek how well the new national curricular of the two nations are reflected on newly published English textbooks, this paper examined three of Korea and one of Hongkong English textbook of first grade middle school. For the analysis, three of units included a common target structure form the each textbooks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two parts; input and output. To analyze input, the types and frequencies of three different techniques, which are input flood, input enhancement and grammar description, were counted and examined. To analyze output, the types and frequencies of the conscious raising tasks and grammar practice were counted and analysed. The results of th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input flooding techniques were presented 192 times in the Hongkong textbook, and 123 times at average in the Korean textbooks. And the ratio of the frequency for oral and written type of input flood data were 3:7 for the Hongkong textbooks, and 1:9 for the Korean textbooks at average. Second, input enhancement techniques were resented 25 times in the Hongkong textbook, and 10.6 times at average in the Korean textbooks. Third, grammar description was supplied in the Hongkong textbook while all Korean textbooks make students discover rules of the target structure by giving them example sentences. Finally, the ratio of the frequency for conscious-raising tasks and grammar practice were 6:4 for the Hongkong textbooks, and 3:7 for the Korean textbooks at average. And distribution of conscious-raising task types were even in the Hongkong textbook while the Korean textbooks provide only one type of conscious-raising tasks which is interpretation task. No other types of conscious-raising tasks(focused communication task, grammar conscious-raising task) were found in all the Korean textbooks.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above, the followings can be suggested. First, it should be idal for Korean textbook writers to provide ample amount of input flood and input enhancement techniques in designing. Rich and salient input of target structure may help learner to raise their attention to the structure and it provides opportunities to develop their language skills. And the number of oral input flood should be increased. Second, conscious-raising tasks may also help learners to enhance their awareness on the grammatical aspects of the target language. Therefore, textbooks writers should make the most use of these tasks for development of the learner's language skill. And it is necessary for textbook writers to apply and include various types of conscious-raising tasks in designing a textbook. Especially, in EFL countries such as Korea, grammar conscious-raising task is effective because it meets learner's needs of grammar learning and develop accuracy as well as fluency. To include, the focus on form approach can be an effective way of developing learner's language skill by drawing learner's attention to target structure during natural communication. Compared to Hongkong English textbook, the reflection of focus on form approach on Korea English textbooks is lower, but it dose not mean that Korean students receive lower english education. It would be an opportunities to improve english education in Korea if the textbook writers and the teachers recognize the shortcoming of the textbook and provide more focus on form techniques in the textbook and their classroom language teaching.
본 연구는 한국과 홍콩의 중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에 반영된 형태초점 의사소통 접근법의 기법이 어떻게 얼마나 다른 차이를 보이고 있는지 비교 분석 하여, 교과서를 개발하는 개발자들과 영어교사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형태초점 의사소통법이란 제 2언어 학습에서 의미와 형태 중 형태를 중요시 하는 형태초점 접근법과 의미를 중요시하는 의미중심 접근법의 단점들을 보완한 접근법이다. 학습자의 주의를 언어형식에 집중시키도록 하면서, 유의미한 의사소통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는 개념으로 Long(1991)이 창안했다. 형태초점 의사소통 접근법은 제 2언어 습득 이론과 연구를 근거로 하여 최근에 가장 많은 주목받고 있는 접근법이다. 형태초점 의사소통 접근법이 제 2언어 습득에 효과적이라는 큰 흐름은 국가 영어 교육과정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고, 우리나라 2009년 제 7차 개정 영어교육과정에서도 역시 형태초점 의사소통 접근법을 적용한 언어학습을 지침으로 하고 있으며 이는 교과서에도 반영된다. EFL과 ESL 상황이 공존하는 홍콩 역시 개정영어교육과정에서 형태초점 의사소통 접근법을 적용한 수업을 권고하고 있으며 이는 교과서에도 반영된다. 이에 본 연구는 형태초점 의사소통 접근법이 한국의 중학교 1학년 개정 교과서에 얼마나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한국의 중학교 1학년 교과서 3종과 홍콩의 중학교 1학년 개정 교과서 1종을 비교분석 하였다. 분석은 먼저 교과서 별로 공통적인 목표언어형식을 포함한 단원을 선정한 후, 입력과 출력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입력기법에서는 입력쇄도, 입력강화, 문법설명을 유형과 빈도수로 분석하였고, 출력기법에서는 문법연습과제와 의식상승과제의 유형과 빈도수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분석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법 설명의 제시방법에 있어서 홍콩교과서는 연역적인 방법으로 제시했지만, 한국교과서는 귀납적인 방법을 채택하고 있었다. 둘째, 입력쇄도기법의 빈도수는 홍콩교과서가 총 192번으로 한국교과서의 평균인 123번 보다 높았다. 또한, 입력쇄도기법의 구어와 문어형식의 비율도 홍콩의 교과서는 3:7, 한국교과서는 1:9로서, 홍콩 교과서가 한국교과서에 비하여 구어 입력쇄도의 비중이 높다는 것이 드러났다. 셋째, 입력강화 기법의 빈도수는 홍콩교과서가 총 25번으로써, 한국교과서의 총 평균인 10.6번보다도 높았다. 마지막으로, 의식상승과제와 문법연습과제의 제시비율은 홍콩 교과서가 6:4, 한국교과서가 3:7 로, 홍콩교과서가 의식상승과제의 제시비율이 더 높다는 것이 드러났다. 또한, 의식상승과제의 유형분포에 있어서도 홍콩교과서는 3가지 유형이 골고루 사용된 반면, 한국교과서는 해석과제 한 가지만 제시하여 나머지 형태중심 의사소통과제, 문법 의식상승과제는 사용하고 있는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과서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제안을 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목표언어형식의 제시에 있어서 입력쇄도, 입력강화 기법을 더 사용할 필요가 있으며, 구어의 형태로 목표언어형식을 인지하는 기회를 더 제공해 줘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과제제시에 있어서도 의식상승과제의 비율을 좀 더 높이고, 유형별로 골고루 제공해 주도록 고안할 필요가 있다. 이상 본 논문의 목적과 연구방법, 연구결과 및 제언을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교과서가 홍콩의 교과서에 비하여 형태초점 의사소통 접근법의 기법적용이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지만, 이를 통해 교과서 개발자들은 부족한 면을 보완하고, 교사들은 이를 인지하고 교실수업상황에서 탄력적으로 교과서를 사용한다면 학생들의 영어 학습에 더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