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Gottman 이론에 근거한 다문화가정 부부갈등 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 의사소통, 갈등대처방식, 결혼만족도를 중심으로 - / The Effects of Marital Conflict Management Program for Multicultural Couples based on Gottman Theory on Communication, Conflict Coping Style and Marital Satisfaction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다문화가정 부부갈등
의사소통 악화요인
갈등대처방식
결혼만족도
multicultural marital conflict
communication barriers (the ‘Four Horsemen’)
conflict coping styles
marital satisfaction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부부갈등 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의사소통, 갈등대처방식,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Gottman의 ‘건강한 관계의 집’(SRH) 모델을 이론적 기초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부부갈등 관리를 위해 첫째, 일상생활에서 서로에 대해 긍정적인 정서를 형성하도록 돕고, 둘째, 부부 의사소통 악화요인 즉, 비난, 경멸, 방어, 담쌓기를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셋째, 부부갈등을 일시적이고 상황에 국한된 해결가능한 문제와 반복적인 다툼의 주제가 되는 영속적인 갈등으로 구분하고, 넷째, 부부갈등 관리를 위해 해결가능한 문제에 대한 효율적인 갈등대처 방안을 훈련한다. 다섯째, 영속적인 갈등 이면에 숨어있는 상징적 의미에 대해 부부가 대화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도와 극단적인 대립상태에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프로그램 구성에서 다문화가정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사랑의 지도 활동지를 재구성하였으며, 사진이나 그림 카드, 영상자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이 밖에도 다문화 수용성을 고려하여 프로그램 활동 요소에 포함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다문화가정 부부 12쌍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6쌍씩 배치하여 동질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 6쌍의 부부들에게 주 1회, 120분씩 총 6회기의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통계적 절차에 의해 양적 효과를 검증하였다.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추후 변화를 반복측정 변량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통하여 비교 검증하였고, 실험집단의 사전, 사후, 추후 점수를 Bonferroni의 다중비교를 통해 실험의 효과가 추후에도 지속되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부부갈등 관리 프로그램은 의사소통 악화요인을 유의하게 감소하는데 효과가 있었다. 하위요인을 보면, 비난과 경멸, 방어는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담쌓기는 프로그램의 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다문화가정 부부갈등 관리 프로그램은 갈등대처방식 중에서 외부도움 요청과 이성적 대처는 증가하고 부정적 감정 및 행동 표출은 감소하는 유의한 효과가 있었고, 회피적 대처는 프로그램의 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다문화가정 부부갈등 관리 프로그램은 결혼만족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을 보면, 사회적 만족과 심리적 만족은 유의하게 증가하는 효과가 있었고 정서적 만족, 성적 만족, 경제적 만족은 유의한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다문화가정 부부갈등 관리 프로그램에 참가한 남편과 아내의 변화 차이를 보면, 남편은 갈등대처방식에서 부정적 감정 및 행동표출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고 아내는 외부도움 요청에서 사전에 비해 사후점수가 큰 폭으로 높아졌다. 결혼만족도의 경우 남편과 아내 모두 결혼만족도, 하위변인 중 사회적 만족이 증가하였지만, 남편보다 아내의 증가폭이 더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부부를 대상으로 부부갈등 관리에 초점을 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유용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문화가정 부부는 언어와 문화의 차이로 부부갈등에 구조적으로 취약한 경향이 있다. 이들 부부가 관계 기술 및 갈등 관리 방법을 배우고 적용할 수 있게 된다면 건강한 방식으로 갈등에 대처할 수 있게 되고, 갈등이 심화되어 이혼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onflict management program for multicultural couples and to verify the effects on communication, conflict coping style, and marital satisfaction. This program is based on Gottman's Sound Relationship House(SRH) model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is study focuses on five aspects for the management of marital conflict. First, it helps couples to cultivate positive emotions towards each other in daily life. Second, it helps them to avoid communication barriers (the ‘Four Horsemen’) such as criticism, contempt, defensiveness and stonewalling. Third, it helps couples to categorize problems as solvable or perpetual. A solvable problem within a relationship is something situational. Perpetual problems center on either fundamental differences in their personalities or fundamental differences in their life style needs. Fourth, the program is intended to train couples on strategies for coping efficiently with solvable problems. Fifth, the program focuses on avoiding extreme confrontation situations as in this way helps couple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o understand the hidden symbolic meaning within perpetual problems. Considering the distinct character of multiculturalism, the worksheets of building love map reconstructed. Photographs, painting cards and video materials were actively used. This program activities contained the acceptability of multiculturalism. 12 multicultural couples were selected to be assigned randomly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6 couples were then assigned to each group, and took a homogeneity tes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fter the 6 couples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conducted a total of 6 sessions for 120 minutes, once a week, the quantitative effect was verified using statistical procedures. A pre-test, post-test, and follow-up test were conducted to measure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experimental group vs. control group. These were verified through the Repeated Measure ANOVA, using the SPSS 25.0 program. Comparisons with Bonferroni were also used to see if the effects of the experiment would continue in the future.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se are as follows: First, the marital conflict management program for multicultural coupl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reducing communication barriers (the ‘Four Horsemen’). Considering sub-factors, criticism, contempt and defensivenes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ut the effect of stonewalling was not decreased significantly. Second, the marital conflict management program for multicultural couples showed significant effects in terms of requests for external help, rational response and expressions of negative emotions and behaviors, but showed little effect with regard to avoidance response. Third, the marital conflict management program for multicultural couples was effective in improving marital satisfaction. Considering sub-factors, social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was increased significantl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increase in emotional satisfaction, sexual satisfaction and economic satisfaction. Fourth, considering the changes for the husbands and wives who participated in the marital conflict management program for multicultural couples, the program was effective for husbands in decreasing expressions of negative emotions and behaviors. Regards request for external help, the post-test score of the wives wa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with that in the pre-test. Considering marital satisfaction, for both husbands and wives, the program was effective in increasing marital satisfaction and social satisfaction, with wives recording higher satisfaction levels than those for husbands. To conclude, this study has been effective in development of a successful program for managing marital conflict for multicultural couples and confirmation of its usefulness. It is obvious that multicultural couples experience both language and cultural differences. If provided with the opportunity to work with the methods used in this program and to develop the necessary skills to manage their conflicts in a healthy way, it may be possible for them to avoid divorce resulting from conflicts accumulated during the course of their marri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