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불안정지지면과 안정지지면에서의 발목균형훈련이 비만중년여성의 고유수용성감각, 균형 및 근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Ankle Balance Training on Unstable and Stable Surface on Proprioception, Balance and Muscle Strength in Obese Middle-Aged Woman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비만중년여성
불안정지지면
고유수용성감각
균형
근력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불안정지지면과 안정지지면에서의 발목균형훈련이 비만중년여성의 고유수용성감각, 균형 및 근력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기 위함이다.본 연구는 나이 45-60세이며 BMI(신체질량지수) 25이상인 여성으로, C시에 위치한 J의원에서 모집한 비만중년여성 중 연구에 동의한 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실험군1 15명, 실험군2 15명, 총 30명이었다. 군별 중재는 불안정한지지면에서의 발목균형훈련(실험군1)과 안정한지지면에서의 발목균형훈련(실험군2)으로 나누어 적용하였다. 각 훈련과정은 30분씩 주 3회, 총 6주 동안 진행하였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고유수용성감각, 균형 및 근력의 변화를 알아보았다.본 연구에서는 고유수용성감각 평가를 위한 측정도구로 Dualer IQ(JTECH Medical, USA) 디지털 경사계를 이용하여 발목관절의 발등굽힘과 발바닥굽힘의 재위치능력을 평가 측정하였고, 균형은 균형측정시스템(BT-4)을 사용하여 압력중심점의 동요거리, 압력중심점의 동요면적, 안정성한계(전방, 후방, 좌측, 우측)를 측정하였다. 근력의 평가는 도수근력검사기(Manual Muscle Tester, Model 01163, Lafayette, USA)를 이용하여 발바닥굽힘근과 발등굽힘근을 측정하였다.자료처리는 SPSS(Ver.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카이제곱검정(Chi-square test)과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두 집단의 동질성 검정을 하였다. 집단 내 중재 방법에 따른 종속변수의 전후 비교를 위하여 대응 t-검정(paired t-test)을 하였고, 집단 간 중재 방법에 따른 종속변수의 변화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독립 t-검정(independent t-test)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p)은 .05 이하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재 전보다 중재 후에 고유수용성감각은 실험군1의 발등굽힘과(p.05). 둘째, 중재 전보다 중재 후에 실험군1의 눈을 뜬 상태와(p.05). 셋째, 중재 전보다 중재 후에 실험군1과 실험군2에서 중재 전보다 중재 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실험군1의 눈을 뜬 상태와(p.05). 넷째, 중재 전보다 중재 후에 실험군1과 실험군2에서 중재 전보다 중재 후에 전방 안정성한계(p.05). 후방 안정성한계 에서는 실험군1과 실험군2 모두 유의한 수준의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p>.05). 집단 간 변화량의 비교에서는 전방 안정성한계에서는 실험군1보다 실험군2의 증가량이 더 컸고, 좌측 안정성한계와 우측 안정성한계에서는 실험군1이 실험군2보다 증가량이 컸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다섯째, 중재 전보다 중재 후에 근력은 실험군1과 실험군2에서 중재 전보다 중재 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실험군1의 발등굽힘과(p.05). 이상의 연구결과를 보았을 때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발목균형훈련은 안정적인 지지면에서의 발목균형훈련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증거가 없으며, 불안정지지면과 안정지지면에서의 발목균형훈련 중 어느 것이 더 효과적인지 확인하지 못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with ankle balance traning unstable and stable surface can improve proprioception, balance and muscle strength in obese middle aged woman.30 obese middle-aged woman were randomly recruit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1 = ankle balance traning on unstable surface, experimental group 2 =ankle balance traning on stable surface). The subjects in each group is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for 6 weeks, 30 minutes per session, 3 times per week. Dualer IQ digital inclinometer were measured for proprioception; sway length(SL) and sway area(SA) of center of pressure, limit of stability(LOS) were measured for balance; Manual Muscle Tester were measured for muscle strength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Proprioception value in the experimental group1 and experimental group2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raining than before training. In the experimental group1, PP(DF), PP(PF) were significantly increased(p.05).Second, SL values in the experimental group1 and experimental group2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raining than before training. In the experimental group1, values of SLEO and SLEC were significantly decreased(p.05).Third, SA values in the experimental group1 and experimental group2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raining than before training. In the experimental group1, values of SAEO and SAEC were significantly decreased(p.05).Fourth, LOS-forward(p.05) in the experimental group1. LOS-forward(p.05) in the experimental group2. After training,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did not obeserved(p>.05).Fifth, muscle strength value in the experimental group1 and experimental group2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raining than before training. In the experimental group1, MMT(DF), MMT(PF) were significantly increased(p.05).The result of this study show that there is no evidence that ankle balance traning on unstable surface is more effective than ankle balance traning on stable surface. And unstable and stable surface did not identify which of the ankle balance traning was more effec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