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60~70년대 결핵관리사업의 성별화된 구축과 실행 / Gendered System and Practice of Tuberculosis Control in Korea during the 1960s and 1970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결핵
결핵관리사업
보건의료
젠더
발전국가
전염병
보건 요원
Language
Korean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tuberculosis(TB) control program, which took the most important role in the health and disease policies of the 1960s and 1970s, and the women who performed it, and analyzes how gender had entered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the TB control program during this period. Research data are government documents and newspaper articles related to TB control. Since the 1960s, outpatient and home care had been adopted as a TB treatment policy in developing countries, and Korea also adopted this method in consideration of cost reduction. Outpatient and home care meant mobilizing both public health institutions and the family for the management of TB. In reality, it were women in public and private areas who were mobilized for TB control. This study aims to see how women were mobilized and placed as community health care workers and how they practiced TB control and healthcare.The main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TB control program was distributed across the country, placing women in the lower or informal areas of the TB control and relying on their low-wage or unpaid work. The criterion for official community health care workers was a nurse (assistant) license holder. This means community health care workers were all women because nurses and nursing auxiliaries at the time were 100 percent female. On the other hand, males could become community health care workers without any other qualifications like a nurse (assistant) license if they graduated from high school. This indicates gender discrimination in the recruitment of the workers. Meanwhile, because of the active overseas expansion of nurses, the lack of sufficient personnel to meet the domestic demand, and the low-paying temporary jobs of health care workers, many community health care workers at the time seemed to be non-professional ‘unqualified’ ones. For the informal areas, women at home were asked to act like health care workers to manage the health of their families. The media constantly portrayed a desirable ‘housewife’, and their health care efforts at home were morally enforced.Second, the positions and activities of community health care workers were defined by patriarchal gender norms. Official health care workers had to ask for permission from their families to work, and in some cases, working areas were limited to their own hometown, and they experienced role conflicts due to a double work burden at home and at work. Community health care workers had to work overtime to overcome community doubts about both ‘women’ and ‘modern medicine.’ The extra work for female workers to form ties in the community and the original work for healthcare was the nature of emotional labor, which changed their position and attitude according to the others (and their gender) in order to win the favor and trust of the people. Residents asked health care workers to take care of them 24 hours a day, and it can be said that the labor of community health care workers was regarded as ‘extended’ care work and domestic work. Next, in the informal areas, women at home were not only required to manage their home like health care workers, but also the role of health and hygiene management in the community as the ‘village health agents.’ This was an opportunity for women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to come out their homes, but it burdened them with the triple role of family, fieldwork and health care in community. The extension of women’s sphere of activity to the community meant that modernly-adjusted gender norms by the developmental state to achieved economic growth were implemented, and not a fundamental change of gender relations itself.In summary, the TB control program could be spread throughout the country by mobilizing women publicly as community health care workers and privately as ‘housewives’ or village health agents. The placement of personnel and the practice of TB control was ‘gendered,’ and the TB control program became more than just ‘disease management.’ This means, first, that community health care workers should be dedicated to the dissemination of modern health care and manage themselves to appropriately modify their positions and attitudes as women in order to persuade the community. The TB control program had also led residents to pay attention to their own health and to trust modern health care, while to accept modern gender norms of women’s social activities. As such, disease management in the country could be implemented ‘through the gender hierarchy.’ It was the nationwide implementation of the disease management and at the same time the ‘people management’ through modern gender norms.
본 연구는 1960~70년대의 보건․질병 정책에서 가장 중요한 위상을 차지한 결핵관리사업과 이를 수행한 여성들에 주목하여, 이 시기 결핵관리사업의 구축과 실행 과정에서 젠더가 어떻게 기입되어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자료는 결핵관리와 관련된 정부문서와 신문기사이다. 1960년대 이후 세계적으로 통원․재가(在家)치료가 개발도상국의 결핵관리 방침으로 채택되었으며, 이는 국내에서도 비용절감 의도와 맞물리며 수용되었다. 통원․재가치료는 곧 결핵의 관리를 위해 공공의료기관(보건소)과 가족, 즉 공적인 제도와 사적인 영역 모두를 동원하는 것을 의미했다. 현실에서 이는 공사 영역 모두에서 여성을 동원하는 방식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공사 영역에서 여성들이 어떻게 보건관리요원으로서 동원 및 배치되었고, 이들의 구체적인 결핵관리 실행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분석하였다.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핵관리사업은 여성들을 결핵관리체계의 하위 및 비공식 영역에 배치하고, 이들의 저임금 혹은 무상 노동에 기대어 전국에 보급되었다. 공식 보건관리요원의 경우 간호(보조)사 자격이 요구되었는데, 당시 간호(보조)사는 100% 여성이었기 때문에 이러한 임용 기준은 곧 여성을 뽑는다는 것을 의미했다. 반면 남성은 간호(보조)사 자격 없이 고졸 이상이기만 하면 보건소 결핵관리요원이 될 수 있다는 규정이 명시되어 있어, 요원의 채용과 대우에서 성차별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당시 간호(보조)사의 해외 진출이 활발히 이루어졌고 국내의 수요에 부합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인원이 배출되지 못한 점, 결핵관리요원 일자리가 임용 자격에 걸맞지 않은 낮은 처우의 저임금 임시직 일자리라는 점으로 인해 실제 결핵관리요원으로 일한 이들은 간호(보조)사 자격이 없는 비전문 ‘무자격자’였던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가정 내 여성들은 가족들의 건강을 관리하기 위해 마치 요원처럼 행동할 것을 요구받았다. 미디어에서는 끊임없이 바람직한 ‘주부’의 모습을 비추었으며, 가정 내에서의 체계적인 돌봄과 건강관리 노력이 도덕적으로 강제되었다. 둘째, 보건관리요원의 위치와 활동은 가부장적 젠더 규범에 의해 규정되었다. 공식 보건관리요원들은 일을 하려면 가족들의 허락을 구해야 했으며, 사회 진출의 범위가 자기 고장으로 제한된 경우도 존재했고, 가정과 직장에서의 이중 노동 부담으로 역할 갈등을 경험했다. 또, 보건관리요원들은 ‘여성’과 ‘근대 의학’ 둘 모두에 대한 지역사회의 의구심을 극복하기 위하여 업무 외․시간 외 노동을 수행해야 했다. 여성 요원들이 지역사회에서 유대를 형성하기 위한 부가노동과 원래 업무인 보건관리를 위한 노동은, 주민들의 호감과 신뢰를 얻기 위해 상대방(의 성별)에 따라 자신의 위치와 태도를 바꾸는 감정노동의 성격을 지닌다. 한편 주민들은 24시간 돌봄을 요구하는 등 요원들의 노동을 ‘확대된 돌봄노동/가사노동’으로 여기는 모습을 보였다. 다음으로 비공식 영역을 살펴보면, 가정 내 여성들은 마치 요원처럼 가정을 관리할 것을 요구받았을 뿐 아니라 ‘마을건강원’으로서 지역사회의 보건․위생 관리 역할도 분담했다. 이는 농어촌의 여성들이 가정 밖으로 나올 수 있는 기회이기도 했지만, 가정과 밭일, 마을건강원이라는 3중 역할의 부담을 주었다. 여성의 활동 영역이 가정 뿐 아니라 지역사회로까지 확장된 것은 발전국가가 경제성장을 달성하기 위해 근대적으로 조정한 젠더 규범이 관철되었음을 의미하며, 젠더 위계 자체의 변화가 일어난 것은 아니었다.정리하면 전 국민 대상 질병관리체계로서 결핵관리사업은 여성들을 공적으로는 보건관리요원, 사적으로는 ‘주부’ 및 마을건강원으로 동원함으로써 전국에 보급될 수 있었다. 나아가 요원의 배치 뿐 아니라 결핵관리의 실행 과정 자체가 ‘성별화’되면서, 결핵관리사업은 단순한 ‘질병관리’ 이상으로 ‘사람관리’의 의미를 갖게 되었다. 이는 우선 요원들이 지속적으로 근대적 보건의료의 보급을 위해 헌신하고, 지역사회를 설득하기 위해 여성으로서 자신의 위치와 태도를 적절히 수정해나가도록 스스로를 관리해야 함을 의미한다. 또한 결핵관리사업은 주민들이 자기 스스로 건강에 유의하고 근대 보건의료를 신뢰하는 한편, 여성 전문인의 활동이라는 ‘근대적’ 젠더 규범을 수용하게 만들었다. 이처럼 국가의 질병관리는 젠더 위계질서를 ‘통하여’ 시행될 수 있었으며, 이는 질병관리를 매개로 발전국가가 원하는 근대적 젠더 규범을 지역사회에 전파하는 과정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