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육연극 이론을 활용한 희곡교육 방안 연구 : 7,8학년 개정 교과서를 중심으로 / Drama education studies utilizing Edaucational Theatre theory : Centered on the revised textbooks Grade 7,8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교육과정의 내용요소를 확인하고,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7,8학년 개정교과서의 구성요소를 분석하여, 국어교육 내 희곡교육의 실제를 파악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에 나타난 현행 희곡교육의 문제를 보완할 수 있고, 총체적 국어 활동을 통한 고차원적 사고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교육연극 이론을 활용한 희곡교육의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교육연극의 발달 과정 및 개념, 목적과 기능, 방법 등을 제시하고, 이를 희곡 교육에 적용하여 교육연극 이론을 활용한 희곡 교육의 가치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요소에서 희곡교육과 교육연극적 요소가 포함된 부분을 파악하여 기존의 교육과정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성취기준 및 교육내용 중 희곡교육 및 교육연극의 이론적 요소가 포함된 부분은 기존의 교육과정보다 많았다. 그러나 그 중 ‘희곡’을 다루는 영역은 7학년 문학뿐이고, 이마저도 ‘인물의 심리상태와 갈등’이라는 문학적 지식을 다루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오히려 적극적인 희곡 교육은 의사소통의 기본 영역인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에서 실현됨으로써 이루어지게 되고, 이를 통해 희곡의 특성을 이해하고 연행성을 접하게 되며 전(全) 영역의 적극적인 희곡교육의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또한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7,8학년 국어과 교과서도 분석하여 교과서에 수록된 희곡 관련 글과 교육연극적 요소가 적용된 부분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 내용을 바탕으로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와 기존의 교과서를 비교하였다. 기존의 교과서는 ‘국정 교과서’로 한 종뿐인 것이 특징이다. 이 교과서는 희곡장르의 다양성은 보여주었으나, 수록 작품의 수가 많지 않고, ‘들판에서’를 제외한 나머지 작품들은 일부만 싣고 있다는 점이 아쉬웠다. 그에 비해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는 ‘검정 교과서’로 총 23종이 출판되었으며, 종류가 많은 만큼 다양한 작품이 제재로 사용되었다. 또한 교육과정에서 해당되었던 성취기준에 비해 더 많은 성취기준에서 희곡 제재의 사용과 교육연극적 구성을 보였다. 본고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현행 희곡교육의 가치에 대해 고찰하고, 그 특징을 파악하였다. 그러나 문제는 실제 학교 현장에서는 희곡교육에 대한 관심이 적을 뿐만 아니라, 희곡 교육의 방법에 대한 선행 지식이 없어서 희곡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본고는 교육연극 이론을 활용하여 희곡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하였다. 교수․학습 모형의 과정은 ‘희곡분석, 이완놀이, 마임놀이, 음성놀이, 실연, 확장’의 활동을 차례대로 제시하여 총 6단계로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먼저 교육할 희곡을 파악하고, 이를 극화하기 위한 교육연극적 단계를 거쳐 실연한 후, 나아가 창작 및 개작까지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에서 희곡작품 중 두 편을 선정하고, 이를 제재로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작하여 교육 이론을 활용한 희곡 수업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의 희곡 교육 지도에 한 틀이 되길 바라며, 나아가 앞으로 더욱더 부각될 교육연극이론을 활용한 희곡교육의 방안을 모색하는 데 발판이 되길 기대한다. 핵심어 : 희곡, 희곡교육, 교육연극, 연행성, 교수․학습 모형, 창의적 교육, 총체적 교육, 통합적 교육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components of curriculum based on Korean education curriculum revised in 2007 and to analyze the reality of drama education appeared in texts of 7th and 8th grade in middle school based on Korean education curriculum revised in 2007. Al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pplement current problems of drama education and to design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models of play education using educational drama theory in order for students to foster highly difficult thinking ability through the overall Korean activities. In chapter Ⅰ, the study suggest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tudy and reviews relevant precedent studies. And it decides the range and methods of this study. In chapter Ⅱ, it considers the value of Korean education applying the education drama theory by confirming the developing process and the concept of education drama and suggesting the purpose, function and methods of education drama. In chapter Ⅲ, it figures out drama education and educational contents including factors of education drama in Korean education curriculum revised in 2007 and compares them with existing curriculum. And it figures out writing relevant to dramas contained in the textbook and parts applying factors of education drama by analyzing Korean textbooks of the 7th and 8th grade based on Korean education curriculum revised in 2007 and compares them with existing textbooks of Korean education curriculum revised in 2007. And it considers the value of currenty drama education and figures out its characteristics based on factors of education drama exposed in the textbook. In chapter Ⅳ, it designs a teaching-learning model which can give drama education using the education drama theory. This is composed of total 6 stages. It suggests the reality of drama classes using the education theory by making a teaching-learning plan which is composed of figuring out plays to be educated, to pass the stage of education drama for dramatizing this and furthermore, to create a new play or review the existing ones and can be utilized in classes based on this. At last, chapter Ⅴ is a conclusion to review the contents of this study and mentions the future prospects and problem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come one outline for guiding the drama education through textbooks based on Korean education curriculum revised in 2007 , and furthermore, it will become a foothold for seeking for a plan of drama education using the education drama theory which will stand out more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