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關中과 晉中지역 대문 영벽의 비보 특성 및 전승방안 연구 : 민거건축과 고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Inheritance Scheme of the Shadow Walls of Main Gates in Guanzhong and Jinzhong Region : Centered on Residential Buildings and Ancient Citie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Residential buildings; Ancient cities; Yingbi; Complementary; Characteristics of patterns; Value evaluation; Inheritance plan; Guanzhong; J inzhong
민거 건축
영벽
풍토
문양 특성
가치 평가
전승방안
관중
진중
Language
Korean
Abstract
The Yingbi is a microcosm of the cultural heritage of ancientresidential buildings and represents the essence of traditionalChinese culture. As a unique architectural feature of Chineseresidential buildings, the shadow wall serves the purposes ofshading and beautifying the space. In the Qin and Jin regions, theshadow walls inside and outside the main gates often bearinscriptions such as "Fu" (fortune) and "Shou" (longevity),expressing people's desires for good fortune and longevity. Theyare also the sincerest hopes of the people.This study primarily focuses on the shadow walls inside andoutside the main gates of residential buildings in Jinzhong andGuanzhong regions. The Qin and Jin regions are importantbirthplaces of Chinese civilization and served as political, economic,and cultural centers during the Zhou, Qin, Han, and Tangdynasties. The earliest discovery of shadow walls was in anarchitectural site from the Western Zhou period in Shaanxiprovince. Therefore, the research area was selected in theGuanzhong region of Shaanxi, while Shanxi, with itswell-preserved and large-scale residential buildings, provided asubstantial number of shadow wall examples for this study. Hence,the representativ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focusing on theGuanzhong region of Shaanxi and the Jinzhong region of Shanxi.Based on a systematic investigation of their location, structure,types, materials, and patterns, a value evaluation system forshadow walls is established, and corresponding inheritance plansare proposed based on the results.The content of this article is divided into five parts:Chapter 1: Introduction, which elaborates on the researchbackground, objectives, and significance.Chapter 2: Describes the research area and research methodsused in this paper.Chapter 3: Fundamental theoretical research. Through literaturereview and collection,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origin,development, types, structure, and function of shadow walls isobtained, serving as the theoretical support and foundation for thisstudy. The current research status of shadow walls both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is reviewed, identifying researchgaps, and providing the direction and focus for this study.Chapter 4: The core part of the paper. It includes the compilationand technical statistics of the location, structure, types, materials,and patterns of the shadow walls inside and outside the maingates in the Qin and Jin regions. Correlation analysis andregression analysis of pattern characteristics and types isconducted using SPSS software. Text mining is applied to explorethe symbolism behind the patterns. AHP (Analytic HierarchyProcess) is employed to evaluate the value of the shadow walls.Finally, inheritance plans are proposed based on the results.Chapter 5: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The research findingsare as follows:Firstly,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there are five majortypes of themes depicted on the shadow walls of residentialbuildings in the Qin and Jin regions, namely, text, plants andanimals, decorative patterns, scenes with figures, and other themes.The total number of shadow walls is 77. Among them,text-themed shadow walls account for 23% of the total, plants andanimals-themed ones account for 29%, decorative patterns-themedones account for 25%, scenes with figures-themed ones accountfor 9%, and other-themed ones account for 14%. It can beobserved that plants and animals-themed shadow walls are themain theme in the Qin and Jin regions, followed by decorativepatterns, text, other themes, and scenes with figures.Secondly, in terms of the location types of the shadow wallsinside and outside the main gates, there are four main categoriesin the Qin and Jin regions: courtyard interior shadow walls, centralshadow walls in three-courtyard residences, village entranceshadow walls, and courtyard exterior shadow walls. Among them,courtyard interior shadow walls account for 64% of the total,central shadow walls in three-courtyard residences account for14%, village entrance shadow walls account for 9%, and courtyardexterior shadow walls account for 13%. It can be concluded thatcourtyard interior shadow walls are the most common, followed bycentral shadow walls in three-courtyard residences, courtyardexterior shadow walls, and village entrance shadow walls.Thirdly, according to the survey, the number of shadow wallswith branched-corner patterns inside and outside the main gates inthe Jinzhong and Guanzhong regions is 25, accounting for 32% ofthe total quantity. The shadow walls without branched-cornerpatterns amount to 52, accounting for 68% of the total. Among theshadow walls with branched-corner patterns, 19 of them belong tothe same pattern type within a single shadow wall, accounting for76% of the total quantity. There are 5 shadow walls that containtwo types of branched-corner patterns, accounting for 20%, andone shadow wall has four types of branched-corner patterns,accounting for 4% of the total quantity. Among thebranched-corner pattern shapes, there are 21 right-angled isoscelestriangle patterns, accounting for 84% of the total quantity, and 4irregular right-angled triangle patterns, accounting for 16%. Thebranched-corner pattern types within the shadow wall includescrollwork, Ruyi (a ceremonial scepter symbolizing good fortune),bats, dragon hooks, Ba Xiang (Eight Auspicious Symbols),connected thunder patterns, crane/lotus, plumblossom/lotus/peony/chrysanthemum, celestial soldier/celestial horse,figures/scrolling clouds, scrolling cloud patterns, dragonhooks/scrolling cloud patterns, crane/scrollwork patterns, and lotuspatterns, totaling 14 types. Among the branched-corner patternshadow walls, there are 6 with scrollwork patterns, accounting for24% of the total quantity, 3 with Ba Xiang patterns, accounting for12%, 2 with connected thunder patterns and bat patternsrespectively, each accounting for 8% of the total branched-cornerpattern shadow walls, and 3 with scrolling cloud patterns,accounting for 12%. The remaining Ruyi, dragon hooks,crane/lotus, plum blossom/lotus/peony/chrysanthemum, celestialsoldier/celestial horse, figures/scrolling clouds, dragonhooks/scrolling cloud patterns, crane/scrollwork patterns, and lotuspatterns each have 1 shadow wall, accounting for 4% of the totalbranched-corner pattern shadow walls.Fourthly, through analysis, the central patterns of the shadowwalls inside and outside the main gates are mainly concentrated infour categories: animal patterns, plant patterns, decorative patterns,and scenes with figures, totaling 50 pattern types. Among them,there are 13 animal patterns, including dragon, eagle, bat, qilin(mythical creature), deer, crane, celestial horse, lion, magpie, bee,monkey, butterfly, and fish, accounting for 26% of the total patterntypes. There are 12 plant patterns, including gourd, vine,chrysanthemum, lotus, grape, pine, pomegranate, plum blossom,peony, willow, lingzhi mushroom, and bamboo, accounting for 24%of the total quantity. Decorative patterns include 16 pattern types,such as clouds, scales, text, vases, connected thunder patterns,square victory patterns, flowing water patterns with the character"Wang" (ten thousand), Ba Xiang, hidden Eight Immortals, EightTreasures, scrollwork, calligraphy and painting, interlaced patterns,auspicious knot patterns, tortoiseshell patterns, and embroideredball patterns, accounting for 32% of the total pattern types. Sceneswith figures include 9 pattern types, such as mountains, rocks,water, pavilions, sun, young scholars, farmers, literati, and soldiers,accounting for 18% of the total pattern types.Fifthly, through the correlation analysis of several common typesof patterns in the shadow walls inside and outside the main gates,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qilin andbutterfly patterns in the animal patterns. Deer, crane, and magpiepatterns, as well as deer and bee patterns, and magpie and beepatterns, frequently appear together and show correlation. In theplant patterns, willow and gourd patterns frequently appeartogether and showss correlation, vine and grape, pomegranatepatterns also frequently appear together and show correlation,chrysanthemum and pomegranate, lotus and peony, pine andwillow, lingzhi mushroom and bamboo patterns frequently appeartogether and show strong correlation, while plum blossom andpeony, willow and bamboo patterns show correlation. Pomegranateand peony patterns frequently appear together and show correlationin the decorative patterns. The decorative patterns of scales andvictorious motifs in the ornamentation category show a correlation,as they frequently appear together.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the combination of textual patterns and interlinked thunderpatterns, as they often occur simultaneously. Victorious motifsexhibit a correlation with the simultaneous presence of Bao Xiangpatterns, scrollwork patterns, calligraphy and painting patterns, andEight Treasures patterns, as they frequently occur together. BaoXiang patterns and hidden Eight Immortals patterns have asignificant correlation, as they commonly appear together. HiddenEight Immortals patterns show a correlation with calligraphy andpainting patterns and embroidered ball patterns, as they frequentlyoccur simultaneously.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simultaneous occurrence of Eight Treasures patterns andscrollwork patterns, calligraphy and painting patterns, andembroidered ball patterns, as they frequently appear together.in thepersona pattern,Mountains and rocks, farmers are more likely toappear at the same time,have a correlation.Stone and pavilion,calligraphers, farmers, literati appear at the same time more often,have a correlation.Chapter 6: In this study, various types of decorative patternswere treated as independent variables, while literati figures wereconsidered as dependent variables, and a linear regression analysis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different patternelements. The linear regression analysis confirmed the influencebetween literati figures and various pattern elements. The results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literati figures andvarious pattern elements indicate a strong correlation at a 95%confidence level. Specifically,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between literati figures and the following elements: plant elementsof bamboo, chrysanthemum, and plum blossom; animal element ofcrane; decorative pattern element of hidden Eight Immortalspattern; and human scene elements of mountains and pavilions. Ata 99% confidence level, literati figures exhibited extremely strongcorrelations with the decorative pattern elements of calligraphy andpainting and the human scene element of scholar's attendant.Therefore, literati figur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aforementioned patterns.Chapter 7: This study conducted text mining analysis on theimplied meanings of the decorative patterns on the interior andexterior of gate walls in residential buildings and ancient cities inthe Qin and Jin region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primaryimplied meanings of these patterns were auspiciousness, prosperity,happiness, and longevity. The study also verified the differencesbetween the implied meanings of patterns on the exterior andinterior gate walls. The patterns on the exterior gate walls mainlyemphasized safety, health, happiness, and longevity, playing aprotective role by warding off negative influences and fulfilling thedesire for safety, health, and longevity. On the other hand, thepatterns on the interior gate walls primarily expressed the desirefor auspiciousness, fertility, longevity, and wealth, while ensuringsafety and health. The inner door screen complements andenhances the basic demands of the outer door screen, thusachieving a supplementary and perfecting effect.Chapter 8: This study employed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research method, consulting and evaluating 15 researchexperts in the relevant field, to establish a value evaluation systemfor gate wall patterns. The evaluation system consisted of sixprimary indicators and 30 secondary indicators. Based on thecalculated weight values, the weight values of the six primaryindicators were as follows: historical values (0.3294), cultural value(0.2334), functional value (0.1549), artistic value (0.1334), scientificvalue (0.0778), and landscape value (0.0711). The weight values ofthe 30 secondary indicators were as follows: historical significance(0.1173) > rarity in history (0.0852) > richness and profundity ofcultural connotation (0.0699) > reflection of Feng Shui culture(0.0683) > representative of a specific era (0.0566) > blocking ofsightlines (0.0526) > exquisite craftsmanship (0.0434) > reflectionof regional culture (0.0389) > enclosure of entrance space (0.0363)> completeness of historical content (0.0357) > relation to historicalfigures (0.0345) > unique artistic achievements > buffering ofairflow (0.0304) > creation of spatial hierarchy (0.0253) >aesthetics (0.0237) > representativeness of pattern symbolism(0.0231) > necessity of preservation and maintenance (0.0221) >representativeness of the era (0.0221) > harmony of proportion andscale (0.0220) > diversity of decorative techniques (0.0211) >obstruction of negative energy (0.0191) > matching ofenvironmental atmosphere (0.0184) > richness of types (0.0169) >psychological need for security (0.0165) > representativeness ofdesign techniques and traditional craftsmanship (0.0149) > overallcoordination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0.0122) >reasonableness of proportion and scale (0.0121) > authenticity anduniqueness of materials (0.0117) > enhancement of spatial quality(0.0077) > creation of environmental comfort (0.0075).Chapter 9: Based on the study of Yingbi characteristics andvalue evaluation results, this study proposes a Yingbi heritageconservation plan. The Yingbi patterns are rich in content,exquisitely carved, and well-composed, and by applying thecharacteristics depicted in these patterns to modern decorativepattern design, the cultural, historical, and artistic values can beeffectively inherited and represented. This provides a theoreticaland practical basis for modern design. The functional value of gatewalls mainly manifests in their spiritual and practical functions.People express their aspirations for fertility, longevity, andprosperity through Yingbi culture. In contemporary residentialspace design, various forms and materials are employed in thedesign of entrance spaces, reflecting people's demands for spiritualand practical functions, as well as their basic requirements forspace concealment, hierarchy enhancement, and blessings. Themanifestation of functional value is closely related to scientificvalue. The combination of factors such as size, proportion, andmaterials in scientific value can demonstrate the landscape value ofYingbi. The existence of Yingbi relies on architectural spaces,forming a well-coordinated and harmonious scene with the overallarchitecture. They appear as architectural ornaments, along withbuildings and plants, composing a complete landscape space.Additionally, the central patterns on the gate walls create amicrocosm of the landscape scene, presenting a unique and vividexperience. The Yingbi vividly demonstrates the landscape valuethrough the combination of borrowed and real scenes.
영벽은 고대 민거 건축 문화의 축소판이라고 하였다. 중국 특유의민거 건축 소품으로서 중국의 전통 민족 문화의 정수를 농축하고 있다. 영벽은 최초에는 ‘나무’(樹)로 불렸고 일반적으로 시야를 막아주고공간을 미화하는 작용을 한다. 秦晉지역의 영벽에는 보통 ‘복’ ‘수’등의 글자가 새겨져 있어 복과 수운에 대한 사람들의 갈망을 표현한다.본고는 화하(華夏) 문명의 중요한 발원지이며 주진한당(周秦漢唐)시기 전국의 정치·경제·문화 중심지였던 晉中, 關中지역 민거 건축의영벽을 주요 대상으로 하였다. 영벽이 陜西서주 건축 유적지에서 최초로 발굴되었으므로 陜西關中을 연구 지역으로 선택했다 하였다.山西는 민거 건축 보존이 제일 완전하고 규모가 제일 큰 구역이다 본연구의 대량의 영벽의 실례를 제공한다. 이리 하여 陜西關中과 山西晉中지역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것은 대표성을 지니고 있다. 위치,구조, 재질, 문양 등 특성 내용에 대한 체계적인 고찰 연구를 바탕으로 영벽의 가치 평가 체계를 구축하고 결과에 따라 해당 전승 방안을제안 한다.본 연구는 주로 아래의 5개 부분으로 나뉜다.제1장은 서론으로 주로 본고의 연구 배경과 목적 및 연구 의의를서술한다.제2장에서는 본고의 연구 범위와 연구방법을 서술한다.제3장은 기초 이론 연구이다. 우선 문헌 연구를 통해 관련 문헌을수집하고 영벽의 기원, 발전, 유형구조 및 작용 등에 대한 전면적인요해를 통하여 본고의 이론기초와 기반으로 국내외 영벽 연구현황에대하여 정리를 한다. 이를 통해 현재 연구의 공백을 찾아내어 이를연구의 방향과 중점으로 삼는다.제4장은 본고의 핵심 부분으로서 우선 秦晉의 대문 내외 영벽의 위치, 구조, 종류, 재질, 문양 등 특성에 관한 정리와 기술통계를 진행한다. 다음으로는 SPSS 소프트웨어를 통해 문양의 특성과 종류에 대해상관성 분석 및 회귀성 분석을 진행한다. 세 번째는 텍스트 마이닝을통해 문양우의에 대해 분석한다. 네 번째는 AHP 계층분석을 통해 영벽의 가치를 평가하고 분석한다. 마지막으로는 결과를 통해 대문 내외 영벽의 전승 방안을 제안한다.제5장은 본고의 결론으로 다음과 같다:첫째, 조사 결과에 따르면 秦晉민거 건축 대문 내외 영벽의 소재 유형은 문자류, 동식물류, 문식류, 인물장면류 및 기타류 등 5가지로 영벽의 수는 총 77개이다. 그중 문자류 영벽은 18개로 전체 비율의 23%를 차지하고, 동식물류 영벽은 22개로 전체의 29%, 문식류 영벽은 19개로 전체의 25% 비중을 차지한다. 인물장면류 7개로 전체의 9%, 기타류 11개로 전체의 14%를 차지한다. 이로부터 秦晉민거 건축 대문내외 영벽 소재유형은 동식물류가 주요 종류이고 다음으로는 문식류,문자류, 기타류 그리고 인물장면류이다.둘째, 대문 내외 영벽의 위치 유형을 보면 秦晉민거 원락의 대문내외 영벽은 주로 사합원내(四合院內) 영벽, 삼합원내거중(三合院內居中) 영벽, 촌구(村口) 영벽 그리고 사합원외(四合院外) 영벽의 4가지종류가 있다. 그중 사합원내영벽은 49개의 영벽으로 전체 비율의 64%를 차지하고, 삼합원내거중영벽은 11개로 전체의 14%, 촌구영벽은 7개로 전체의 9%, 사합원외영벽은 10개로 전체의 13%를 차지한다. 그중 사합원내영벽의 개수가 가장 많고 삼합원내거중영벽, 사합원외영벽, 촌구영벽의 차례로 그 뒤를 잇고 있다.셋째, 조사통계를 통해 알 수 있듯이 晉中, 關中의 대문 내외 영벽벽심에 분각화 무늬가 있는 영벽은 25개로 전체의 32%를 차지하고,분각화 무늬가 없는 영벽은 52개로 전체 비율의 68%를 차지한다. 또19개의 영벽은 같은 분각화 무늬 유형으로 전체의 76%를 차지하고,5개의 영벽은 2종류의 분각화 무늬 유형으로 20%를 차지하며, 4종류의 분각화 무늬 유형은 전체의 4%를 차지한다. 그중 직각 이등변 삼각형이 21개로 전체의 84%를 차지하고, 직각 불규칙 삼각형이 4개로전체의 16%를 차지한다. 영벽 벽심에 겉은 분각화 무늬가 있는 문양에는 권초(卷草), 여의(如意), 박쥐(蝙蝠), 용괴(龍拐), 보상화(寶相花),구연뇌문(勾連雷紋), 학(鶴)·연꽃(蓮花), 매화·연꽃·모란·국화, 천병(天兵)·천마(天馬), 인물·권운(卷雲), 권운문(卷雲紋), 용괴·권운문, 학·권초문, 연꽃무늬 등 총 14가지가 있다. 권초문 영벽 분각화는 6개로 전체분각화 영벽의 24%를 차지하고, 보상화 영벽 분각화는 3개로 전체분각화 영벽의 12%, 연년뇌문과 박쥐문 분각화 영벽은 각각 2개로 전체의 8%, 권운문 영벽 분각화는 3개로 전체의 12%, 그리고 기타 여의, 용괴, 학·연꽃, 매화·연꽃·모란·국화, 천병·천마, 인물·권운, 용괴·권운문, 학·권초문, 연꽃무늬 분각화 영벽은 각각 1개로 전체의 4%를차지한다.넷째, 분석을 통하여 대문 내외 영벽의 벽심 문양은 주로 동물류,식물류, 문식류 및 인물 장면의 4가지 범주에 집중되어 있으며 총 50개의 문양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중 동물 문양은 용(龍), 매(鷹), 박쥐, 기린(麒麟), 사슴, 학 천마(天馬), 사자, 까치, 꿀벌, 원숭이,나비및 어문(魚紋) 등 13가지로 전체 문양의 26%를 차지한다. 식물문양은 조롱박(葫蘆), 덩굴(藤蔓), 국화, 연꽃, 포도, 소나무(松), 석류,매화, 모란, 버드나무(柳), 영지(靈芝), 대나무 문양 등 12가지로 전체의 24%를 차지한다. 문식류(紋飾類) 문양은 운기(雲氣), 중린(重麟),문자, 화병, 연연뇌문, 방승문(方勝紋), 만자유수문(萬字流水紋), 보상화, 암팔선(暗八仙), 팔보(八寶), 권초, 서화(書畫), 반강문(盤絳紋), 회문(回紋), 거북문(龜背紋), 수구문(繡球紋) 등 16가지로 총 문양의 32%를 차지한다. 인물장면류 문양은 산, 돌, 물, 루정(樓亭), 일, 서동, 농부, 문인 및 병장문(兵將紋) 등 9가지로 전체의 18%를 차지한다.다섯째, 대문 내외 영벽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여러 유형의 문양을각각 상관 분석한 결과 동물 문양 중 기린과 나비가 상관성(相關性)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슴, 학, 까치, 사슴과 벌, 까치와 벌, 원숭이가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 문양에는 버드나무와 조롱박이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 상관성이 있고 덩굴과 포도, 석류가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상관성이 있으며 국화와 석류, 연꽃과 모란, 소나무와 버드나무, 영지,대나무가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가 매우 많아 상관성이 있으며, 매화는 모란, 버드나무, 대나무와 상관성이 있으며, 석류와 모란이 동시에나타나는 경우가 비교적 많아 상관성이 있다. 문식 문양 중 중린과방승문이 상관성이 있고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방승문와 보상화, 권초문, 서화문, 팔보문이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보상화와 암팔선이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 상관성이 있다. 인물 장면류 문양에서는 산과 돌, 농부가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 상관성이 있으며, 돌과 정자, 서동과 농부, 문인이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도많아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본고는 여러 유형의 문양을 독립변수로, 문인을 종속 변수로 하여 해당 문양 요소 사이들 간의 선형회귀 분석을 진행했다. 선형회귀 분석을 통해 문인과 여러 유형의 문양사이에 영향적인 관계가존재한다는 것을 검증했다. 문인과 장르별 문양요소 사이의 다중 회귀분석 결과는 95%의 유의수준에서 문인과 식물요소 대나무, 국화,매화, 동물요소는 학, 문식요소는 암팔선문, 인물 경관 소재요소로는산, 정자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99% 유의수준에서 문인과 문식요소 문자, 서화, 인물장면요소 서동은 강한 상관성이 있다. 이를 통해 문인은 이상의 문양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일곱째, 이 글은 秦晉지역의 민거 건축에서 대문 내외 영벽 문양우의를 텍스트 마이닝으로 분석하였다.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조사된지역의 영벽 문양우의는 주로 길상 부귀, 행복과 아름다움, 장수라는것을 알 수 있다. 동시에 문외 영벽과 문내 영벽의 문양우의 차이를검증하였으며, 문외 영벽은 주로 평안, 건강, 행복, 장수, 부귀벽사의심리적 기대를 나타내고 문내 영벽은 길상 다자와 장수부귀, 그리고복을 기원하는 아름다운 소망을 더 많이 나타낸다. 문 밖의 영벽은평안과 건강을 가장 중요한 요구로 삼고 있는데,문내 영벽은 길상다자를 가장 중요한 요구로 삼고 있다.여덟째, 본고는 관련 분야의 15명의 연구 전문가들을 대상으로AHP 연구방법과 결합하여 자문 및 평가를 수행하여 영벽 가치 평가체계를 구축한다.전체 평가 체계는 6개의 1급 지표와 30개의 2급 지표로 구성되었고, 가중치 계산을 통해 6개 1등급 지표는 차례로 역사적 가치(0.3294), 문화적 가치(0.2334), 기능적 가치(功能價值)(0.1549), 예술적가치(0.1334), 과학적 가치(0.0778), 경관적 가치 (0.0711)이다. 30개 2급 지표는 차례로 유구한 역사(0.1173) > 역사상 희귀도(0.0852) > 문화적 내포 풍부도(0.0699) > 풍토문화의 표현(0.0683) > 어느 세대를대표하기에 충분한 특색(0.0566) > 시선차단(0.0526) > 공예수준의 정밀도 및 완벽도(0.0434) > 지역문화의 반영도(0.0389) > 입구공간(0.0363) > 역사내용의 완전도(0.0357) > 역사 유명인과의 관계(0.0345) > 독특한 예술성과 > 완충기류(0.0304) > 공간 층차감(0.0184) > 종류의 풍부도(0.0169) > 안정감의 심리적 욕구(0.0165) >설계기법 및 전통 공예기술의 대표성(0.0149) > 주변 환경의 전체협동성(0.0122) > 비례, 척도의 합리성(0.0121) > 사용재료의 진정성과특수성(0.0117) > 공간적 질 향상(0.0077) > 환경쾌적감의 창조(0.0075)이다.아홉번째, 대문 내외 영벽 특성 연구 및 가치 평가 결과에 대한 분석을 통해 역사문화유산보호에 관한 조치에 근거하여 영벽 전승방안을 제안한다. 영벽 문양의 내용이 풍부하고 조각이 정교하며 화면구도가 완전하다. 이런 영벽 문양이 나타나는 특성을 현대 장식 문양설계에 적용하면 문화적 가치, 역사적 가치, 예술적 가치를 더욱 잘전승하고 재현할 수 있다. 영벽의 기능적 가치는 주로 정신적 기능과실용적 기능의 구현으로 사람들은 다자다복(多子多福), 만수무강(萬壽無疆), 공명리록(功名利祿) 등에 대한 심리적 기탁이 영벽문화를 통해전달한다. 현대 거실공간설계에 다양한 조형과 재료의 현관설계가 등장하는데 바로 사람들의 정신적 기능과 실용적 기능에 대한 수요를말한다. 이는 공간 밀폐, 층차감의 향상 및 기복을 원하는 사람들의기본요구를 전하고 있다. 그러나 기능적 가치의 구현은 때마침 과학적 가치와 결합된 부분이며, 과학적 가치에서 영벽의 크기, 비율, 재료등 요소와 기능적 가치와의 완벽한 결합은 영벽의 경관적 가치를 반영할 수 있다. 영벽의 존재는 항상 건축공간에 의존하며 건축공간과전제적으로 엇갈리고 상호 호응하며 조화를 이루는 장면을 형성하고있으며, 건축공간에 소품으로 등장하여 건물, 식물과 함께 완전한 경관 공간을 이루고 있다. 동시에 영벽의 벽심 문양은 경관을 축소하고재현하여 사람들에게 색다른 느낌을 준다. 영벽은 차경(借景)과 실경(實景)의 형식을 통해 경관적 가치를 잘 나타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