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김덕수 사물놀이와 국립국악원 사물놀이 비교연구 : 호남우도 '질굿'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Samulnori of Kim Deok-soo and Samulnori of the Nationl Gugak Center : Focusing on Honam Udo ‘Jilgut’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사물놀이
질굿
Language
Korea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minate the musical features of Kim Deok-soo’s Samulnori and the National Gugak Center’s Samulnori by comparing their rhythmic patterns, and to understand their contents in depth. Therefore, based on the 10th anniversary album of Kim Deok-soo Samulnori and the music released by the National Gugak Center, a range of Honam Udo Jilgut rhythmic pattern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comparison. The results are as follows.Firstly, in 1978, Kim Deok-soo presented a performance in an indoor setting where four musicians played the Nongak rhythm, which he later developed and named Samulnori. A few years later, in 1984, the National Gugak Center’s Samulnori was established, with the late Kim Yong-bae as its main figure, and it has beenactive to this day. Secondly, Kim Deok-Soo's Samulnori Ochaejilgut repeats a rhythmic pattern based on five measures. The initial rhythmic pattern presented in the beginning repeats throughout the performance. The rhythmic pattern of Woojilgut starts directly with the main phrase and follows a five-measure basic paragraph. It then repeats the same type of pattern four more times, accompanied by a mixed rhythmic pattern. In addition, four measures of Jwajilgut form one unit. It begins with the main phrase and incorporates the technique of Huduruk in the latter part, intensifying the overall tension through this performance technique.On the other hand, Ochaejilgut from the National Gugak Center’s Samulnori shows mixed-beat structure that repeats a particular type six times. In this case, each paragraph exhibits the characteristic of slight variations in the janggu rhythm. Woojilgut follows a five-measure unit without any change in the phrases. In the final closing, there is a section where the janggu, kkwaenggwari, and buk play a rapid and energetic rhythm for six beats, concluding the performance. As for Jwajilgut, it begins with all four instruments playing the rhythmic pattern of 3+2+3+2 together and it continues without any variations. Then, the tempo gradually accelerates from the initial speed, leading to a conclusion without a specific closing rhythm.Thirdly, when comparing Kim Deok-Soo's Samulnori and the National Gugak Center’s Samulnori, they shared a similarity in that they both had a similar pattern of predominantly mixed-beat structure with a combination of 2-beat and 3-beat rhythms. Additionally, as the performance progressed towards the latter part, both performances shared the characteristic of gradually increasing tempo. However, Kim Deok-soo's Samulnori showed dramatic changes in tempo with a wide range, while the National Gugak Center’s Samulnori showed relatively gradual tempo changes.Furthermore, in general, the rhythmic patterns of the National Gugak Center’s Samulnori showed a tendency towards simplicity compared to Kim Deok-soo's Samulnori. Particularly in Kim Deok-soo's Samulnori, there were numerous attempts to introduce divided rhythms in the janggu part, as well as alternating performances between chae-pyeon and gung-pyeon, avoiding a repetitive pattern. Additionally, Huduruk rhythmic patterns added a relatively brilliant element to the performance. In terms of kkwaenggwari, while the National Gugak Center’s Samulnori often tended to divide the rhythm in the original beats, Kim Deok-soo's Samulnori tended to add a lot of appoggiaturas.We have analyzed and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minent sections of Jilgut in Honam Udo Samulnori of Kim Deok-soo and the National Gugak Center. Based on this analysis, we aim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rhythmic patterns for each instrument, and we anticipate that it will serve as an opportunityfor performers to try and develop various rhythmic patterns in future performances based on existing Samulnori.
본 연구는 김덕수의 사물놀이와 국립국악원 사물놀이의 가락을 비교함으로써 각각의 사물놀이의 음악적 특징을 밝히고 그 내용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 김덕수패 사물놀이 창단 10주년 기념 앨범과 국립국악원에서 발매한 음원을 토대로 호남우도 질굿 가락에 범위를 두어 채보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김덕수는 1978년 실내에서 4명의 연주자가 농악가락을 연주하는 형태의 공연을 올렸고, 이를 사물놀이라는 이름으로 만들어서 발전시켰다. 국립국악원 사물놀이는 몇 년 뒤인 1984년 故김용배를 주축으로 창단되어 현재까지 활발한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둘째, 김덕수 사물놀이의 오채질굿은 다섯마디를 기준으로 하는 한 패턴의 장단이 반복되며, 처음에 제시한 장단의 리듬형과 비슷한 리듬형이 계속 반복된다. 우질굿은 바로 본장단으로 시작하여 다섯마디를 기본 단락으로 하며, 같은 유형을 네 번 더 반복하는 형태와 혼합박의 리듬형이 계속된다. 또한 좌질굿은 네 마디가 하나의 장단 유형이 된다. 바로 본장단으로 시작하며 후반부에 후두룩 기법이 등장하게 되는데, 이 연주기법으로 인해 더욱 긴장감을 고조시킨다. 한편, 국립국악원 사물놀이의 오채질굿은 혼합박 구조로 된 유형이 6번 반복되는 형태를 보여주는데, 이때 단락마다 장구가락이 조금씩 변화하는 특징을 보인다. 우질굿은 내는장단없이 다섯마디를 한 단위로 한다. 마지막 종지장단에는 뒤 6박을 장구와 꽹과리 그리고 북이 털어서 연주하며 끝맺는다. 좌질굿은 시작부터 네 개의 악기가 함께 3+2+3+2의 리듬형으로 내는장단을 연주하며 변박없이 이어진다. 그리고 처음 제시된 속도에서 점차 빨라져서 종지장단 없이 끝맺는다.셋째, 김덕수 사물놀이와 국립국악원 사물놀이를 비교하였을 때 두 개의 사물놀이 모두 대체로 2박과 3박이 섞인 불균등한 혼합박의 형태를 가지고 있었으며 후반부로 갈수록 속도가 점점 빨라진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보였다. 다만 김덕수 사물놀이는 속도의 폭을 크게 하여 극적인 변화를 보여주었고, 국립국악원 사물놀이는 비교적 완만한 속도의 변화를 보여주었다. 또한 대체적으로 국립국악원 사물놀이의 가락은 김덕수 사물놀이에 비해 간결한 경향이 있었고, 김덕수 사물놀이는 특히 장구 가락에 분할된 리듬 그리고 채편과 궁편의 합장단을 피하고 번갈아 연주하는 것을 많이 시도하였다는 점과 후두룩 가락을 첨가하였다는 점에서 상대적으로 화려하였다. 꽹과리에 있어서도 국립국악원 사물놀이가 원래의 박에서 리듬분할을 하는 형태를 많이 보였다면 김덕수 사물놀이는 앞꾸밈음을 많이 첨가하여 연주하는 경향을 보였다.지금까지 김덕수 그리고 국립국악원 호남우도 사물놀이 중 질굿 부분의 특징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이것을 토대로 각 악기의 연주가락에 대한 이해를 돕고, 연주자들이 기존의 사물놀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행할 사물놀이에 다양한 가락을 시도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