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飜譯 『상실의 건축물』과『아흔아홉 가지 역사』 줄리아 조 지음 / The Architecture of Loss and 99 H istories by Julia Cho English-Korean Translation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미국 드라마
이산 정체성
가족
소통
의역
Language
Korean
Abstract
Julia Cho(1975) is a contemporary Korean-American playwright and screenwriter known for her poetic language and compelling stories. Many of her works delve into ‘Family’, which is a universal theme, but she often tackles Korean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within the context of American society. Unlike Sung Rno and Diana Son, who are also renowned Korean-American dramatists that pursue pan-Asianism, Cho has rather explicitly described the uniqueness of Korean immigrant families’ cultural clashes and their diasporic pain. The Architecture of Loss and 99 Histories, has its setting in the historical events of the Nogeun-ri Yangmin massacre during the Korean War(1950) and the Los Angeles Riots(1992) respectively, They both vividly depict the individual traumas driven by the historical violence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pain that their family had to endure. Through various dramatic licenses, Cho melts down the grim reality through daily conversation with family, which explains how the parents become the Abjection under social violence, and the children try to heal the family wounds through communication and reconciliation with the past. Two plays lead us to contemplate what it is to be an Asian American in the United States, where the social conflicts over race still remain across the nation. Cho implies that accepting parent's historical and cultural roots could be the first step for Asian Americans to establish their own identities as U.S. citizens, rather than assimilating to the Model Minority myth or being alienated from the mainstream society. Reflecting on the trend of Korean society, where the proportion of international marriage and multicultural family has been increasing, these two plays provide Korean Audiences with significant implications. Drama is the art of language on stage. It becomes much more highlighted when spoken through the actor's voice than read through the readers. Since the writer's philosophy is embedded into the character's lively conversation, drama is inevitably pursuing a natural language formation when it comes to translation. Considering Cho’s writings contain particular linguistic properties such as poetic rhymes, puns, humor and meaningful ideas of history in the simple and casual form of language, the translation needs to be dynamic and focus on translating English into natural Korean expressions for making cultural adjustments.
줄리아 조(Julia Cho, 1975)는 1990년대 이후 미국 드라마계의 유망주로 등단한 한국계 미국인 극작가이다. 사막 3부작이라 불리는 Architecture of Loss(2004), BFE(2005), Durango(2006), 외에 The Language Archive(2009), Office Hour(2016), Aubergine(2017) 등 10편이 넘는 다양한 연극 대본을 창작하였으며, 현재 영화와 텔레비전 각본가로도 활동 중이다. 조는 미국 사회의 보편적 가치인 ‘가족’을 주제로 한 다수의 작품으로 미국 연극계의 주류 반열에 오르지만, 작품 대부분이 미국 문화의 보편성 속에 한국적 특수성을 절묘하게 담고 있다. 성 노(Sung Rno), 다이아나 손(Diana Son) 등과 함께 아시아계 미국 극작가의 3세대를 대표하는 조는 범아시아성을 추구하는 그들과는 달리 한국계 이민가정만의 세대간 문화차 및 이산 정체성의 아픔을 직접적으로 다룬다. 『상실의 건축물』과 『아흔아홉가지역사』는 각각 한국전쟁(1950) 당시 노근리 양민 학살 사건(No Gun Ri Case)과 LA폭동(1992)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두 작품 모두 미국이 행사한 폭력의 역사로 인해 개인이 얻은 트라우마와 그 개인이 속한 가족이 감당해야 했던 아픔을 생생하게 그려낸다. 작가는 사회가 가한 폭력에 희생당하는 과정에서 비체가 되어 버린 부모의 상처가 다시금 자녀의 정체성 상실로 대물림되는 암울한 현실을 가족 간 일상의 언어로 녹여내고, 과거와의 소통을 통해 가족의 상처를 보듬고 치유하며 새로운 정체성을 찾아 나가는 자녀 세대의 노력을 다양한 극적 장치를 통해 흥미롭게 보여준다. 『상실의 건축물』은 2004년 뉴욕씨애터워크숍(New York Theatre Workshop)에 의해 무대에 오른다. 뉴욕타임즈의 마고 제퍼슨(Margo Jefferson)은 슬픔과 기다림의 구조로 세워진 집과 그 안의 가족이 가진 상실이 감동적으로 그려진 연극이라고 작품을 평한다. 한편, 2003년 버클리레퍼토리씨애터(Berkeley Repertory Theatre)에서의 초연 이후 미국 전역에서 공연된 『아흔아홉 가지 역사』에 관해 L.A.타임즈의 마이크 보엠(Mike Boehm)은 지극히 한국적인 이야기가 미국 관객을 울렸다고 언급한다. 두 작품은 인종을 둘러싼 갈등과 폭력의 문제가 여전히 뜨거운 이슈로 남아있는 미국 사회에서 아시아인으로 살아가는 삶의 근본적 고단함에 관해 생각하게 한다. 작가는 아시아계 미국인이 주류 사회로의 맹목적 편입이나 그로부터의 소외를 뛰어넘어, 미국 시민으로 당당하게 살아가기 위한 출발점을 한국적 뿌리에서 찾는다. 갈등과 반목으로 소원했던 부모 세대와의 소통을 통해 자신의 한국적 뿌리를 이해하고, 미국 사회의 보편성과 조화를 이루는 그들만의 인종적 정체성을 형성해 나가기를 조는 제안한다. 국제결혼 및 다문화 가정의 비중이 급증하고 있는 우리 사회의 현실을 고려해 볼 때, 줄리아 조의 두 작품이 한국 독자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드라마는 무대 위의 언어이다. 독자의 눈을 통해 읽히기보다 배우의 입을 통해 말하여질 때 더욱 빛을 발하는 문학이다. 작가의 철학이 등장인물의 대화에 녹아있기 때문에 원작이 품고 있는 주제 의식을 목표어의 독자에게 충실하고도 자연스럽게 전달하기 위해서 드라마 번역은 의역을 피할 수 없다. 특히 줄리아 조의 글은 짧고 간결한 말 안에 시적 운율과 언어유희, 역사와 유머가 고루 담겨있다. 영어의 형식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우리말로 작가의 언어가 가진 힘과 섬세함을 전달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작가의 의도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 안에서 한국어 독자의 문화와 정서에 부합하는 일상의 우리말 표현으로 번역하는 일에 주안점을 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