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무라카미 다카시(Murakami Takashi)의 ‘수퍼플랫’미학에 대한 고찰 / A Study about Murakami Takashi’s Superflat Aesthetic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논문은 일본의 ‘네오팝(Neo Pop)’ 작가인 무라카미 다카시의 ‘수퍼플랫(superflat)’ 미학과 그가 전개한 예술기업론에 대한 연구이다. 팝아트의 동시대적인 일본 버전이라 할 수 있는 일본의 네오팝은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 대중문화에 탐닉하는 ‘오타쿠’ 문화를 적극 수용하여 순수미술과 접목시켜 미술의 영역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본 논문은 오타쿠 문화와 더불어 일본 전통문화에서 찾을 수 있는 ‘가와이’, 그로테스크, ‘모노노아와레’ 등의 감성에 대한 연구를 무라카미 다카시의 미학을 연구하기 위한 이론적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이론적 근거를 통해, 무라카미 다카시가 ‘수퍼플랫’이란 용어를 사용하게 된 계기와 그의 수퍼플랫 미학이 어떻게 정립하게 되었는지를 기술하였고, 그의 미학이 어떻게 전개되어 갔는지를 작품을 통해 설명하였다. 요컨대 수퍼플랫의 근본적 시각은 고급문화와 저급문화, 순수예술과 대중예술 간의 차이가 없다고 보는 점이다. 그가 수퍼플랫 미학에서 의도하고 있는 것은 일본의 미술사로부터 일본적인 특성을 담은 보편적인 미의식을 끌어내어 세계미술사의 문맥에 편입시키는 것이었다. 무라카미 다카시는 인간의 욕망을 부정적으로 보지 않고 예술가의 목적은 욕망을 가진 사람의 마음을 구제하는 일이라고 말한다. 현대에 살고 있는 인간의 내면에 숨겨진 욕망을 리얼하게 담아내고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일이야말로 그가 추구하는 예술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무라카미 다카시의 예술기업론에 대하여도 기술하였는데, 그가 그의 저서 『예술기업론』에서 강조하는 것은 세계미술계에 도전하기 위해서는 세계미술을 주도하고 있는 서양미술사의 문맥을 반드시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에게 있어 예술작품의 가치를 높이는 방법은 자국의 독특한 정체성을 담고 있는 작품을 서양미술사의 문맥에 얹는 일이었다. 그는 ‘카이카이키키’를 통해서 각종 아트상품을 제작 및 판매하고 작가를 발굴하는 등 예술기업을 실천하고 있으며, 루이비통과 같은 명품 브랜드와 협업도 진행하였다. 무라카미는 명성과 부를 추구하고 유명해지기 위해 노력했던 워홀의 뒤를 좇았다. 무라카미의 예술기업론은 워홀의 비즈니스 아트를 계승한 것이라 하겠다. 아시아 미술에 대한 국제미술계의 관심이 높아진 요즈음, 본 연구는 국내미술의 위상과 정체성을 찾는 데 중요한 사례와 대안을 제시해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현대미술사에서 대중소비사회를 배경으로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팝아트는 아시아 미술에까지 영향을 미쳐 한국, 일본, 중국에서 변용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일본은 ‘네오팝’ 혹은 ‘마이크로팝’으로, 중국은 ‘정치적 팝’으로 전개되었는데 각기 그들만이 지니고 있는 경험을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팝아트는 대중문화를 광범위하게 차용하는 형태를 띠고 있는데, 해외시장규모는 중국과 일본에 아직 비교가 되지 않는다. 우리만이 갖고 있는 것을 우리의 예술로 보여줄 때 비로소 우리의 예술은 세계시장에서 호응을 얻게 될 것이다.
This thesis is a study about the 'superflat' aesthetics of Murakami Takashi who is a Japanese 'Neo Pop' artist and the theory of business art he has been unfolded. Japanese Neo Pop which could be the contemporary Japanese version accepted wholeheartedly 'Otaku' culture indulging in so-called 'subcultures' as comics, animations, games and so on has been expanded it's area by grafting on fine arts. In this thesis, the studies of Japanese sensibilities as 'kawai', grotesque, 'mono no aware' and so on findable in Japanese traditional culture along with Otaku culture form the theoretical basis to study Murakami Takashi's esthetics. Through this theoretical basis, I described how he came into use the term 'superflat' and how his superflat aesthetics was founded and how his aesthetics has been unfolded. In short, the basic viewpoint of 'superflat' take the view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high culture and low culture, between fine art and popular art. What Murakami Takashi is intending to is that the universal aesthetic sense educed from Japanese art history and inserted it into the context of world art history. Murakami Takashi had not a negative view of human desires and said that the purpose of artists is to relieve the souls of human beings with desires. The core of his pursuit of art is to reflect realistically and express effectively the inner desires hidden in modern humans. In this thesis, I also described the theory of business art of Murakami Takashi. His emphasis in his 『The theory of business art』 is that an artist to challenge to the world art world have to know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western art which is leading the world art. For him, the way to increase the value of an artwork is to insert a work which contains its own unique identity into the context of western art history. He has practiced the business art that produces and sales various art goods, and finds artists and so on through 'Kaikaikiki'. He also has proceeded the collaboration with Louis Vuitton. He has followed Andy Warhol who pursued fame and fortune, and tried to be famous. His theory of business art could be a succession of Warhol's business art. The international art world is showing more interests in Asian art in these days. I think this study will suggest important cases and alternatives to find its status and identity of the domestic art. Pop art which exerting powerful influences in the background with mass consumption society in contemporary art history influenced the Asian art and showed transforms in Korea, Japan, and China. It develops into 'Neo pop' or 'Micro pop' in Japan and 'Political pop' in China. They have been expressing in various ways their own experiences. Our pop art assumes the form of borrowing the popular culture, but its overseas market scale still cannot compare with China, Japan. When our art shows what we alone have, our art at least will receive fervent response in world mark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