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진실의 매체성을 통한 시각화 연구-〈모나리자 신드롬〉과 〈귀엽고 자그마한 친구들〉 / A Study on Visualization through the Medium of Post-truth-〈Mona Lisa Syndrome〉 and 〈Cute and Petite Friend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탈진실
데이터 이미지
여성 스테레오타입 이미지
귀여움
동물 밈
아포페니아
Language
Korean
Abstract
Many people refer to the recent period, including the present, as the 'era of post-truth'. Yet, post-truth is not a new phenomenon that has not appeared before. The term, 'post-truth' was given from the development of media and technology and political and economic needs, it gained attention, since it emerg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and became active. The aim of this dissertation is to study and analyze my works of arts being visualized in painting and video whose an image created though apophenia, I dismantle and reassemble the information value of the data image that functions as post-truth in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resulting in the system of signals and noise inverted. I am interested in images of women and animals among things that have long functioned as post-truth. is a series of paintings that work with female stereotype images operating as post-truth. is a video work based on Internet animal memes, which acts as post-truth through being consumed with the effect of 'cuteness' or as an impression. This dissertation begins with a study on the concept of post-truth and the syndromic things in which post-truth is created in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Excessive information and overload of information processing lead to a state in which 'human users are obsessed with acquiring and processing more information' and 'ignorance of selectively viewing only what they want to believe while avoiding uncomfortable feelings'. In this situation, the classification of signals and noise is made based on beliefs and defense mechanisms, not true/false judgments. The classification is made through confirmation bias and intentional rationalization. In the relationship of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data images transform almost everything in the material world, even including human beings who are the users, into data. I conduct research and analysis on situations in which data images, including humans, are classified as signals and noises and redacted in a post-truth situation where truth/false is ambiguous and distinction is meaningless. And based on David Joselit's concept of 'picture' and 'format', I intend to examine the new definitions of images and works of art from the perspective of a flow that freely traverses material and immaterial media in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Then, I continue the study on female stereotype images and cute animal memes that operate as post-truth by traversing the digital environment and the material world. Female stereotype images function as post-truth by putting forward overrepresented female images depending on the times, society and culture to cover up and edit diverse women. Cute animal memes prioritize all non-human species based on 'cuteness' and overrepresent the meaning of 'animal = cuteness', which leads to a collective human behavior that affects the life of animals, material beings. Next, I conduct descriptiv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In terms of the subject matter of , I first study the work of Cindy Sherman, who is constantly working on the theme of female stereotype images that are repeated in the media. And, as a preceding study on the working method of , I look into < Redaction Painting> by Jenny Holzer, who edited redacted document files downloaded from the Internet and made them into paintings. As a precedent study for , I study Pierre Huyghe's , which expresses an animal that has become a meme in a way that blurs the boundaries between animals and humans and are the works of overturning the system that classifies signals and noises of data images that operate as post-truth, creating images built with patterns of noise and producing storage media. They are the records of actions that reflect on the positions and situations of women, companion animals, image consumers and producers, digital media users, and individuals who are transformed into data in the daily life built by image overload and post-truth. The production of these works is to raise questions about what we should see, what we should do, and what we can do, as we repeat the cycle of reformatting and consuming data at every moment in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where post-truth is accelerating. And this dissertation is an attempt to analyze art practice as a means of raising questions about it in the contemporary post-truth situation, and to study whether it can be an effective means.
많은 이들이 현재를 포함한 최근 몇 년을 탈진실(Post-truth)의 시대라 칭하고 있다. 그러나 탈진실은 이전에 본적 없던 새로운 현상이 아니다. 미디어와 기술의 발달과 정치, 경제적 필요에 의해 ‘탈진실’이라는 이름을 부여받고 수면 위로 모습을 드러내고 활동하면서 주목받게 된 것이다. 본 논문은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탈진실로 기능하는 데이터 이미지를 아포페니아를 통해 해체하고 재조립하여 신호와 잡음의 체계가 뒤집힌 이미지를 생성, 이를 회화와 영상으로 시각화 하는 본 연구자의 작품에 대한 연구 및 분석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자는 탈진실로 오랫동안 기능 해온 것들 중 여성에 대한 이미지와 동물에 대한 이미지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은 탈진실로 작동해온 여성 스테레오타입 이미지를 소재로 작업하는 회화 연작이다. 은 ‘귀여움’이라는 효과, 혹은 인상으로 소비되는 것을 통해 탈진실로 작용하는 인터넷 동물 밈을 소재로 한 영상 작업이다. 본 논문은 탈진실에 대한 개념과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탈진실이 생성되는 증후적인 것들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정보 과잉과 처리에 대한 과부하는 인간 사용자를 더 많은 정보를 습득하고 처리해야한다는 강박과 불편한 감정을 회피하고 믿고 싶은 것만 선택적으로 보려하는 무지가 공존하는 상태로 몰아넣는다. 이러한 상황에서 진실/거짓의 판단이 아닌 믿음과 방어기제를 기준으로 하는 신호와 잡음의 분류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분류는 확증 편향과 의도적 합리화를 통해 실행된다. 디지털 미디어 환경의 관계 속에서 데이터 이미지는 물질세계의 거의 모든 것, 심지어 사용자인 인간까지도 데이터로 변환시킨다. 연구자는 참/ 거짓이 모호한, 구별이 무의미한 탈진실적 상황에서 인간을 포함한 데이터 이미지가 신호와 잡음으로 분류되고 검열되는 상황에 대해 분석을 진행한다. 그리고 데이비드 조슬릿의 ‘그림(픽쳐)’과 ‘포맷’에 대한 개념을 바탕으로 이미지와 예술작품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디지털 미디어 환경 안에서 물질적 매체와 비물질적 매체를 자유로이 횡단하는 흐름이라는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그리고 디지털 환경과 물질세계를 횡단하며 탈진실로 작동하는 여성 스테레오타입 이미지와 귀여운 동물 밈에 대한 연구를 이어나간다. 여성 스테레오타입 이미지는 시대와 사회, 문화에 따라 과잉 대표되는 여성 이미지를 내세워 다양한 여성들을 가리고 편집하는 방식으로 탈진실로 기능한다. 귀여운 동물 밈은 모든 비인간 종을 ‘귀여움’이라는 기준으로 우선순위를 매기고 ‘동물=귀여움’ 이라는 의미를 과잉 대표시켜 물적 존재인 동물의 생에 영향을 가하는 인간의 집단적 행동을 유도한다. 이어서 선행 연구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 의 소재 측면에서 먼저 미디어에서 반복하는 여성 스테레오타입 이미지를 주제로 꾸준히 작품 활동을 하는 신디 셔먼의 작품을 연구한다. 그리고 의 작업 방식에 대한 선행 연구로 인터넷에서 다운받은 검열된 문서 파일들을 편집하여 회화로 작업한 제니 홀저의 를 살펴본다. 의 선행 연구로는 밈이 된 동물을 동물과 인간의 경계선을 흩트리는 방식으로 표현한 피에르 위그의 을 고찰한다. 과 은 탈진실로 작동하는 데이터 이미지의 신호와 잡음을 분류하는 체계를 뒤집어 잡음의 패턴으로 구축된 이미지를 만들고 저장 매체를 제작하는 작업이다. 이는 이미지 과잉 상태와 탈진실이 구축하는 일상 속에서 여성, 반려종, 이미지 소비자이자 생산자, 디지털 미디어 사용자이자 데이터로 변환되는 개인으로서의 위치와 상황을 짚어 보는 행위의 기록들이다. 연구자의 이러한 작품 제작은 탈진실이 가속화되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 속에서 매순간 하나의 데이터로 재포맷되고 동시에 데이터를 소비하는 순환을 반복하는 우리가 무엇을 보고, 무엇을 해야 하며,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논문은 동시대 탈진실적 상황에서 이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수단으로서의 미술 실천을 분석하고 이것이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해 고찰 및 연구하는 시도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