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名節茶禮 文化의 문제점 考察 및 방향성 硏究 / A Study on the Problems and Direction of Korean Holiday Memorial ceremony Culture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차례
명절
세시풍속
내용과형식
제사
Language
Korean
Abstract
이 논문은 名節茶禮 文化의 문제점 考察 및 방향성을 硏究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茶禮文化의 배경, 차례문화의 내용적 문제점과 대안, 차례문화의 형식적 문제점과 대안에 초점을 맞추어 규명한 것이다. 해마다 차례를 지내는 인구수가 낮아지고 있는 큰 이유 중 하나가 차례를 지내는 것이 큰 의미가 없다고 여기는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사회적 배경을 고려하여 시대에 발맞춰 명절차례를 계승할 방법이 없을까에 대한 고민으로 시작되었다. 이런 점에서 명절차례 문화의 문제점을 고찰하고 그 방향성을 연구함으로써 그 효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명절 차례에 관해 儒學의 입장에서 그 본뜻은 어떠한지를 고찰하고 우리가 계승해야 할 전통과 개선해야 할 관습을 구분 지어 밝힌 본고는 “비판계승적 시각”에서 작성되었다. 유학의 근본은 禮에 있다. 예란 진실한 마음[내용]도 중요하지만 그걸 표현[형식]도 못지 않게 중요하다. 따라서 차례 문화의 문제점을 내용적 측면과 형식적 측면으로 나누어 연구할 필요가 있고, 이에 따른 현실적 대안을 제시했다. 내용과 형식의 기준은 차례 시 가져야 할 마음가짐과 유학의 本意를 ’내용‘으로 구분했고, 차례의 모든 절차와 물질적 요소를 ’형식‘으로 구분했다. 내용적으로는 우리가 덜어내야 할 마음가짐은 무엇이며, 반드시 기억해야 할 자세는 무엇인지를 논했다. 반면 형식적으로는 어떤 절차를 생략하거나 꾸준히 계승해야 하는지 또한 어떤 재물은 虛禮이고 正禮인지를 구분하여 논했다. 그 구분의 근거는 사회적 배경을 토대로 했다. 내용적 문제로 1). 차례문화의 필요성 감퇴, 2). 가족 간 유대감 형성 결여, 3). 세시풍속의 중요도 상실에 초점을 맞추어 논했다. 반면 형식적 문제로 1). 가구 형태의 변화, 2). 장자중심의 진행과 명절스트레스, 3). 차례상의 허례허식, 4). 차례주의 전통성 상실에 초점을 맞추어 논했다. 예라는 것은 굉장히 효율적이고 합당함을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따라서 시의성을 지니고, 가변성을 지니는 것이 禮다. 현대에서 불편하다고 느끼는 전통적인 禮制를 강조해선 안 되는 이유다. 용례로 살피자면, 차례의 내용적 가치가 있는 부분은 차례의 순기능을 찾으면 알 수 있다. 차례를 통해 조상 그리고 가족과 소통하여 사랑을 느끼는 것은 오래도록 지켜나가야 할 우리의 문화다. 그 마음가짐에 따라 가족과 명절이라는 축제를 즐기면 된다. 반면 형식적 문제를 보자. 신분제 폐지 이후 시작된 차례상의 過禮가 오늘날까지 이어지며 명절 스트레스의 주원인이다. 이는 개혁이 절실한 부분이다. 사회의 변화에 부합하지 않는 명절문화를 비판하는 현대인들의 마음은 충분히 공감하나 우리 또한 명절을 어떤 자세로 대했는지도 재고해 보아야 할 문제다. 너무 고답적인 절차로 치부시키진 않았는지, 불필요한 옛것으로 소외시키진 않았는지, 그저 여행을 떠나는 휴일로만 생각하진 않았는지. 다시 한번 돌아볼 필요가 있다. 차례란 조상께 제찬으로써 계절을 알리는 것이다. 이로써 가족의 결속력을 다지고 모두가 명절을 즐기는 축제라는 의미가 있었다. 또 다른 의미로, 차례란 조상을 향한 공경을 형식으로 표현한 것이었다. 형식에 내재된 의미는 계승하고, 지엽적인 형식은 시의성에 맞게 변화시키는 것이 올바른 계승 방식이다. 본고를 통해 명절 차례 문화가 시대의 흐름에 맞춰 발전하고 계승되길 바란다.
The number of people who hold ancestral rites every year is decreasing. For the biggest reason, having a turn doesn't mean muchIt was found that 43.7%. Furthermore, the divorce rate increases by 10-20% before and after the holiday, and when holiday syndrome appears to be centered on women, it is called "daughter-in-law syndrome," which shows that women are suffering from preparing for the holiday memorial service. In addition, the Blue House petition to abolish the holiday at all is on the verge of disappearing not only the ritual culture but also the holiday itself. Considering this social background, this paper began with concerns about whether there is a way to inherit the holiday sequence in line with the times. Therefore, it is intended to increase its effectiveness by examining the problems of culture during the holiday season and studying its direction. Regarding the turn of the holiday, we considered the original meaning of studying abroad and separated the traditions we should inherit from the customs that should be improved. Therefore, this paper reveals that it is written from a "critical successive perspective." The copy of studying abroad shall be placed in 禮. 禮's true mind (content) is also important, but it becomes 禮 only when it is performed in expression (form). Therefore, the problems of ancestral rites culture were studied by dividing them into content and formal aspects, and realistic alternatives were presented accordingly. The standard of content and form was divided into the contents of the mindset to have at the turn and the original version of studying abroad, and all procedures and material elements of the turn were divided into forms. In terms of content, we discussed what mindset we should take away and what attitude we must remember, while formally, we also distinguished which procedures should be omitted or steadily inherited. The basis for the distinction was based on a social background. As a content problem, 1. the need for ancestral rites culture decreased 2. the formation of family bonds 3. the loss of importance of seasonal customs was considered. On the other hand, as a formal problem, 1. Changes in the form of households 2. Progress of the elderly and holiday stress 3. empty formalities and vanity of ancestral rites 4. Loss of tradition of ancestral rites was discussed.An example is a very efficient and reasonable one. Therefore, it is 禮 that has timeliness and variability. This is why we should not emphasize the tradition that we feel uncomfortable in modern times. As an example, the part with the content value of the order can be found by finding the net function of the order. It is our culture that should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to feel love by communicating with ancestors and families through turns. You can enjoy a festival called the holiday with your family according to your mindset. On the other hand, let's look at the formalities. The ritual ceremony, which began after the abolition of the status system, continues to this day and is the main cause of holiday stress. This is where reform is urgently needed. I fully sympathize with modern people's criticism of holiday culture that does not conform to these changes in society, but I think it is also a matter to reconsider how we treated the holiday. Didn't you dismiss it as a very difficult procedure, didn't you alienate it as an unnecessary old thing, or thought it was just a holiday to go on a trip. It is necessary to look back again. Ritual is to announce the season as a memorial service to ancestors. As a result, it is a festival that strengthens family solidarity and everyone enjoys the holiday. In other ways, it can be said that the order is an expression of respect for ancestors in the form of a form. The correct method of succession is to inherit the meaning inherent in the form and to change the peripheral form according to the timeliness. Through this paper, I hope that the culture of the holiday ritual will develop and be inherited in line with the trend of the ti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