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상캬와 요가 철학의 쁘라끄리띠와 독존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Prakr?ti & Kaivalya of Sa?m?khya-Yoga Philosophy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논문은 상캬와 요가 철학에서 쁘라끄리띠(prakr?ti)와 독존(kaivalya)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상캬와 요가 철학의 형이상학은 이원적 실재론으로 뿌루샤와 쁘라끄리띠라는 두 개의 독립적인 실재를 수용하여 우주 창조를 설명한다. 따라서 상캬와 요가철학에서 우주 창조는 뿌루샤와 쁘라끄리띠의 결합(sam?yoga)에 의해 쁘라끄리띠의 구성요소인 구나(gun?a)의 평형상태(sa?mya?vastha)가 깨지면서 비롯된다. 그러므로 쁘라끄리띠는 세상을 전개하는 실재이며 세상은 쁘라끄리띠의 무수한 현현들로 설명된다. 하지만 본래 평형상태인 쁘라끄리띠가 전변하면서 만들어진 세상은 전변의 속성상 무지(avidya?)로 인해 고통(duh?kha)이 수반된다. 따라서 고통으로부터 완전한 자유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무지를 소멸하고 쁘라끄리띠는 본래 자신의 자리인 평형상태로 되돌아가야 한다. 이러한 되돌아감이 바로 해탈(moks?a)이다. 이처럼 해탈은 쁘라끄리띠의 작용이며 세 구나가 전변 이전의 평형상태로 돌아가는 것이다. 그러면 뿌루샤는 본래 자신의 자리에 홀로 존재(獨存)하게 된다. 상캬와 요가철학에서 독존이란 무지를 소멸하고 식별지(vivekakhya?ti)를 계발하여 뿌루샤와 쁘라끄리띠가 서로 별개라는 것을 아는 것으로, 이때 뿌루샤는 쁘라끄리띠와 다름을 알며 홀로 존재하는 독존의 상태가 된다. 아울러 쁘라끄리띠도 뿌루샤의 목적(purus??a?rtha)을 마친 구나들이 다시 본래 자리인 물라쁘라끄리띠로 환원(pratiprsava)하여 뿌루샤와는 별개로 홀로 존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를 획득하기 위해서 상캬철학은 지혜에 의한 고통으로부터의 완전한 자유를 추구하고, 요가철학은 내적기관인 찟따(citta)를 정화하고 순수해진 찟따를 통해 독존을 성취하고자 했다.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캬와 요가 철학의 쁘라끄리띠와 실질적인 전변체인 세 구나 그리고 요가철학에서 강조하는 찟따에 대한 연구를 통해 쁘라끄리띠의 정화와 구나의 초월을 중심으로 독존을 연구하였다. 제 2장에서는 상캬와 요가사상의 기원과 계에 대해 고찰하였다. 상캬와 요가 철학은 그 시원을 분명하게 파악하기 어렵지만 상캬는 다양한 사상을 받아들여 그들만의 고유한 철학체계를 구축하였고, 아울러 요가철학도 자신들만의 고유한 사상을 가지며 발전하였다. 그러나 상캬철학이 그들만의 철학체계를 가지고 발전한 반면, 요가철학에서는 자신들만의 고유한 형이상학체계를 가지고 있지 않아 상캬철학의 형이상학 대부분을 수용하였다. 그러한 이유로 쁘라끄리띠나 구나와 같은 공통의 용어를 사용하였고, 구나 전변론과 같은 이론도 그대로 받아들였다. 다만 두 학파는 독존을 성취하는 방법론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였는데, 상캬철학에서는 독존을 성취하기 위한 방편으로 지혜(prajn?a?)를 강조했다면, 요가철학에서는 지혜뿐만 아니라 직접적으로 쁘라끄리띠와 세 구나를 활용하여 적극적인 해탈의 방법들을 모색하였다. 제 3장에서는 전반적인 쁘라끄리띠에 대해 서술하였다. 쁘라끄리띠는 샹캬철학의 고유어가 아닌 베다시대부터 통용되던 단어로, 여러 분야와 문헌들에서 다양한 의미를 지니며 중요하게 사용되었다. 특히 상캬철학에서 쁘라끄리띠는 두 개의 궁극적 실재중 하나이면서 쁘라끄리띠에서 전변되어 이 세상이 전개된다는 의미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따라서 상캬철학에서는 쁘라끄리띠를 아직 현현되기 전의 미현현(avyakta)의 쁘라끄리띠와 현현(vyakta)된 쁘라끄리띠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미현현과 현현의 쁘라끄리띠는 본질적으로 서로 다른 것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전적으로 동일하다고 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궁극의 실재인 미현현의 쁘라끄리띠와 또 다른 궁극의 실재인 뿌루샤도 많은 공통의 특징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뿌루샤와 쁘라끄리띠는 서로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전반적인 쁘라끄리띠의 고찰을 통해 쁘라끄리띠의 이해를 도왔다. 제 4장에서는 SK와 YS에서 실질적인 행위자인 구나(gun?a)를 중심으로 구나의 특징과 기능 그리고 YS에서 구체적인 구나의 활용까지 살펴보았다. 일반적으로 삿뜨와(sattva)는 기쁨, 즐거움, 가벼움, 빛, 그리고 조명하는 성질을, 라자스(rajas)는 움직임, 혐오, 자극, 활동하는 성질을, 따마스(tamas)는 낙담, 억제, 무거움, 덮개, 그리고 멈추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처럼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진 구나들은 지배, 의존, 생성, 작용, 동반하여 작용한다. 또한 요가철학에서는 직접적으로 구나에 대해 언급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는데, 구나를 차별(vi?e?a) 무차별(avi?e?a), 표식뿐인 것(li?gam?tra), 표식이 없는 것(ali?ga), 이렇게 네 부분으로 나눠 전변(parin?a?ma)을 설명하고, 다시 역창조(pratisarga)할 때 차별부터 쁘라끄리띠로 귀몰(歸沒)하는 것으로 이해했다. 제 5장에서는 구나들의 집합체이면서 요가철학에서 독존을 위한 도구로 삼았던 찟따(citta)에 대해 정리하였다. 먼저 찟따의 시원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찟따는 R?V때부터 사용되던 용어로 그 의미는 다양하지만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마음’을 의미하기도 하고, ‘보다 깊은 내면의 마음’, 또는 ‘의식’을 의미하
In this research paper, I have investigated prakr????ti and kaivalya in Sa?m?khya and Yoga philosophy. Sa?m?khya and Yoga philosophy‘s metaphysics is dualistic realism, a pure consciousness purus?a and a pure substance prakr??ti, two independent principles can be explained the creation. but since purus?a are an inactive and immutable existence, the only prakr????ti is a practical active principle and prakr????ti is composed of 3 gun?as and the world is developed by the works of 3 gun?as. When gun?a’works stop, prakr?ti works no longer. and then gun?as again return to mu?laprak?r??ti(pratiprasava). Like this, apavarga of prakr?ti is that prakr????ti will be alone through gun?as return and then prakr?ti remains a balance state of the three gun?as(sa?mya?vas?t?ha?). so kaivalya is defined as a state of balance or equilibrium of the three gun?as in Sa?m?khya and Yoga philosophy.In Sa?m?khya and Yoga philosophy, kaivalya is an extinction of an ignorance and is developing a discernment knowledge, both schools have the same purpose of liberation, and are similar to the basic approach to the ultimate reality, but another point is the methodology for liberation. Sa?m?khya philosophy emphasized the wisdom to gain complete freedom from pain on the other hand, Yoga philosophy emphasizes the practical training for purifying the mind in order to suppress the mind’s modifications. Yoga philosophy hoped to gain kaivalya through a constant practice and a detachment heart.Therefore, in this paper, I have wanted to find a way of kaivalya through the study of prakr???ti and a changing substantial reality of three gun?as in Sa?m?khya and Yoga philosophy,1. I have discussed about the origins and mechanisms of Sa?m?khya and Yoga, Yoga philosophy had a unique practice system, it was also accepted as a means of the performing practice in other schools. However, Sa?m?khya holds the philosophical system of their own. while Yoga philosophy did not have a metaphysics system. so Yoga accepted most of Sa?m?khya metaphysical philosophy. For this reason, they used the common terms, such as prakr??ti or gun?a. also Yoga accepted gun?a transformation theory. But just only two school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ethodology to obtain the liberation. The Sa?m?khya philosophy has chosen wisdom as a way to achieve liberation. Yoga philosophy was actively looking for ways of liberation by utilizing prakr??ti and three gun?as 2. I‘ve had the overall consideration on prakr??ti. Etymologically, prakr??ti has a same meanings such as ‘make ahead’, ‘is created’ or ‘produce’. In such an etymological meaning, it is a term derived from a ‘material principle’. later, prakr??ti of such meanings was utilized in various ways. In Sa?m?khya and Yoga philosophy, among these meanings, one of the two ultimate principles was used as a material principle Also, I’ve investigated classifying the non-manifestation and manifestation of prakr??ti in Sa?m?khya and Yoga philosophy, the non-manifestation and manifestation of prakr??ti are not inherently different thing. Yet it can not be considered the same entirely. Also, the non-manifestation of prakr??ti is a lot of common features. that is, non-manifestation of prakr????ti is without beginning and one and without depending and the chief. 3. I have studied the features and functions of gun?as and the use of gun?as as the real actors in Yoga philosophy. Generally, sattva has the property in joy, happy, light, shine, and rajas has the property in activity, movement, disgust, irritation. also tamas has the property in discouragement, depression, heaviness, stopping characteristics and cover, and so on. Like this, gun?a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have the property in dominant, depending, generated, associated and acting. Also, Yoga philosophy was referring to direct and utilize gun?a actively.YS explained gun?as-transformation divided into four sections : difference(vi?e?a), Indifference(avi?e?a), only a mark(li?gam?tra), no a mark(ali?ga), when it is the creation evolution to differences(vi?e?a) from no a mark(ali?g?) in turn, prakr?ti is ubiquitous in the world. when it is the reverse creation to no a mark(ali?g?) from differences(vi?e?a) upside down, prakr?ti has returned to mu?laprak?r?ti. Thus, the utilization of gun?a in Yoga philosophy was used to explore the methods in order to applied to perform directly works through gun?a4. I have studied the aggregate of gun?a of mind(citta) as a tool for liberation in the Yoga philosophy First, I have investigated the origins of the citta. citta's meanings has varied from the times of ?V. but then citta refers to the universal mind. In Yoga philosophy in order to emphasize the psychological part, including intellect, ego, heart, citta was actively utilized. However, citta is rarely used as the specific internal organs in Sa?m?khya philosophy. Therefore YS has explained that the definition of Sama?dhi is stopping a modification of mind. that is, among various a state of minds, rajas and tamas had stopped, then sattva had become the predominant. Finally sattva has stopped even. then it is the purpose of yoga5. Focusing on the purification of prakr??ti, I have investigated how to transcend gun?as through the purification of prakr??ti, I’ve studied a ways to purify gun?as through as????tan?ga, purification of mind, identification, sama?dhi, and discrimination wisdom, then the transformation has stopped and liberation has achieved through such a purification gun?a 6. Also, Sa?m?khya and Yoga philosophy have dualistic realism. Each of two independent principles can be explained by kaivalya. One is of apavarga of prakr?i, and the other is kaivalya of purus?a. In terms of purus?a, through a wisdom(prajn?a?), when it obtains the concepts which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purus?a and prakr?ti, purus?a achieves a kaivalya.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prakr?ti, prakr?ti completed the purpose 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