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OVID-19 대유행 상황에서 여가스포츠 공간의 혼잡지각과 위험지각에 따른 여가제약 관계 연구 : Edward T. Hall의 ‘근접학’을 기준으로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Leisure Constraints Depending on Perceived Crowding and Perceived Risk of Leisure Sports Space In the Situation of COVID-19 Pandemic: Based on Edward T. Hall’s ‘Proxemic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COVID-19
여가스포츠 활동
여가스포츠 공간
혼잡지각
위험지각
여가제약
근접학
COVID-19
Leisure Sports Activity
Leisure Sports Space
Perceived Crowding
Perceived Risk
Leisure Constraint
Proxemics
Language
Korean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leisure constraints depending on perceived crowding and perceived risk caused by the COVID-19 while doing leisure sports activities in leisure sports spaces, where a large number of people use together.For this study, perceived crowding and perceived risk among leisure sports participants were examined, based on Hall(1966)’s proxemics. This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ement of leisure sports spaces in future by looking into problems that modern people using leisure sports spaces consider, and safety criteria of risk for infection when doing leisure sports activities during the present COVID-19 pandemic. This study targeted people aged 20 to 60, who use leisure sports spac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Korea, and samples from 800 subjects using leisure sports space were collected through online questionnaires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 subjects were asked to fill out self-evaluating an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responses from a total of 764 subjects were used for analysis excepting 36 ones that filled out twice over, or did not fill out and were unreliable.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and AMOS 26.0. Firstl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tes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questionnaires and for examin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see differences among sub-factors of perceived crowding and perceived risk, which are socio-demographic variables, One-way ANOVA was performed and for extracting a structural behavior model among perceived crowding, perceived risk and leisure constraints, Structures Equation Modeling(SEM) was applied. Finally, the groups were compared to verify differences depending on proxemics.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o compare a free model with no constraints of path coefficients with a constraint model assuming that path coefficients among the four groups are the same, based on proxemics. All levels of statistic significance were p=.05.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ive crowding, perceived risk-personal and social factors depending on gender of leisure sports participa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ive crowding, perceived risk-personal and social factors depending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leisure sports participa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ir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xual and individual constraint factors depending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leisure sports participa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Fourth,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rpersonal constraint factors of proxemics depending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leisure sports participa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Fifth, the structural model fit indices of perceived risk and leisure constraints depending on perceived crowding among leisure sports participa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were appropriate overall. Sixth, the multi-group analysis structural model fit indices of perceived crowding, perceived risk and leisure constraints depending on proxemics among leisure sports participa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were appropriate overall in personal distance, social distance and public distance.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participants perceived crowdedness while doing leisure sports activiti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females perceived crowdedness and risk more than males. Also, perceived crowding and personally perceived risk were high in indoor space. It was revealed that modern people highly perceived crowdedness while doing leisure sports activities in the spread of COVID-19, despite the social distancing system. Females highly perceived personal leisure constraints and interpersonal constraints in public distance were highly perceived. Lastly, structural models of perceived crowding, perceived risk and leisure constraints were appropriate and multi-group analysis structural model fit indices of perceived crowding, perceived risk and leisure constraints depending on proxemics of leisure sports participants during the COVID-10 pandemic were appropriate overall in personal distance, social distance and public distance. Structural models of perceived crowding, perceived risk and leisure constraints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d one another and the path between perceived crowding and risk and leisure constraints was significant. This implies it is important to improve each leisure space as a healthy leisure sports activity space, based on proxemics and there is a need to develop customized leisure sports styles that improve crowdedness for modern people and suit personal lifestyles.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로 인해 다수가 함께 사용하는 여가스포츠 공간에서 여가스포츠활동을 할 때 느끼는 혼잡지각과 위험지각에 따른 여가제약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여가스포츠 공간 참여자의 혼잡지각 및 위험지각을 Hall(1966)의 근접학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현재 COVID-19 대유행하에서 여가스포츠 공간을 이용하는 현대인이 생각하는 문제점과 여가스포츠활동을 할 때 전염 위험에 대한 안전 기준 등을 파악하여 차후 여가스포츠 공간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의 COVID-19 대유행 상황에서 여가스포츠 공간을 이용한 20세 이상 ∼ 60세 이하 참여자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온라인 설문지를 통해 여가스포츠 공간을 사용한 대상자 800명을 표본을 추출하였다. 연구 참여자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기 평가·기재법으로 작성하게 하였으며, 연구 참여자 800명 중 이중기입이나 무기입 등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된 응답 자료 36명분은 분석에서 제외하고 총 764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자료는 통계프로그램 SPSS 26.0과 AMOS 26.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질문지의 타당성 및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의 개인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과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사회인구통계학적 변인과 변수인 혼잡지각과 위험지각의 하위요인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혼잡지각, 위험지각, 여가제약 간의 구조적 행동모형을 도출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Structures Equation Modeling, SEM)을 하였다. 최종적으로 근접학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집단 간 비교를 실시하였다. 경로계수의 제약이 없는 자유모형과 근접학에 따른 4집단 간 경로계수가 같다고 가정하는 제약모형 간에 다중집단분석(multi-group analysis)을 실시하여 비교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 수준은 p=.05 수준에서 검증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COVID-19 대유행하에서 여가스포츠활동 참여자의 성별에 따른 혼잡지각과 위험지각의 차이는 혼잡지각, 위험지각-개인적·사회적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둘째, COVID-19 대유행하에서 여가스포츠활동 참여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혼잡지각과 위험지각의 차이는 근접학과 백신접종 여부에서는 혼잡지각, 위험지각-개인적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셋째, COVID-19 대유행하에서 여가스포츠활동 참여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여가제약의 차이는 성별 개인적 제약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넷째, COVID-19 대유행하에서 여가스포츠활동 참여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여가제약의 차이는 근접학에서 대인적 제약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다섯째, COVID-19 대유행하에서 여가스포츠활동 참여자의 혼잡지각에 따른 위험지각과 여가제약의 구조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전반적으로 적절하였다.여섯째, COVID-19 대유행하에서 여가스포츠활동 참여자의 근접학에 따른 혼잡지각, 위험지각, 여가제약의 다중집단분석 구조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개인적 거리, 사회적 거리, 공적인 거리에서 전반적으로 적절하였다.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참가자는 COVID-19 대유행 상황에서 여가스포츠활동 시 혼잡함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혼잡·위험지각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내공간에서 혼잡과 개인적 위험지각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대인은 COVID-19 확산 상황에서 각 여가스포츠활동을 할 때, 사회적 거리두기 제도를 시행함에도 불구하고 혼잡함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제약의 경우 여성이 개인적인 제약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공적인 거리에서 대인적인 제약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마지막으로 혼잡지각, 위험지각, 여가제약의 구조모형은 적합하며, COVID-19 대유행하에서 여가스포츠활동 참여자의 근접학에 따른 혼잡지각, 위험지각, 여가제약의 다중집단분석 구조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개인적 거리, 사회적 거리, 공적인 거리에서 전반적으로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를 통해 혼잡지각, 위험지각, 여가제약 간의 구조모형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혼잡·위험지각, 여가제약 간의 경로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근접학에 따라 각 여가 공간을 건강한 여가스포츠활동 공간으로 개선하는 것이 중요함을 보여주며, 또한 현대인을 위한 혼잡함 해소 교육과 개인의 생활에 따른 맞춤형 여가스포츠 스타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