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과 북한의 적대국가 미국과의 관계 맺기 -마오쩌둥·닉슨 정상외교와 김정은·트럼프 정상외교 분석을 중심으로-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미중정상회담
북미정상회담
정상외교
마오쩌둥
닉슨
김정은
트럼프
관계 맺기
공동의 적
China-US summit
North Korea-US summit
Summit Diplomacy
Mao Zedong
Nixon
Kim Jong Un
Trump
building ties with Adversaries
common enemy
中美首脑峰会
朝美首脑峰会
首脑外交
毛泽东
尼克松
金正恩
特朗普
建立联系
共同的敌人
Language
Korean
Abstract
本文以1972年2月的首次中美峰会和2018年6月的首次朝美峰会为中心,研究了中国和朝鲜与对手美国建立关系的过程。通过探讨两国国内与国际因素、两国最高领导人的认识来分析首次首脑峰会得以成功举行的原因与两次峰会的异同。由于中国与朝鲜同美国的对立由来已久,中朝若无毛泽东与金正恩两位国家最高领导人的决断,同美国改善关系是无从谈起的。美国总统尼克松和特朗普也需要做出决定,因为他们不信任官僚体系,偏好通过身边少数人并采用“自上而下”的决策方式来解决问题。 对于毛泽东和尼克松来说,两国领导人的会晤意愿加之美苏冷战背景下的中苏关系决裂、越南战争等国际因素以及中国文化大革命、美国深陷战争泥潭等国内因素的共同作用下,推动了首次峰会的成功举办以及《上海联合公报》的签署。 金正恩与特朗普在首次会晤的同时并签署了《新加披联合声明》,这既是对中美战略竞争等国际因素与国内经济问题因素的回应,也是两位领导人将“自上而下”的决策方式放在首位的结果。由于这两次会谈是“敌对国家”最高领导人之间的首次会晤,两国领导人倾向以合作的态度来“建立联系”并就“象征性成果”达成一致,而不是立即解决台湾问题或无核化等棘手问题。 两次首脑会谈也推动了后续的会晤,但在首次外交接触中并未实现“外交关系正常化”等“实质性成果”,只能退而求其次地满足于缓和紧张局势与改善双边关系。正如20世纪70年代末的中美关系一样,“‘共同敌人’的存在”、“朝鲜的实质性威胁”、“最高领导人的认知”很可能是第二次峰会能否成功的关键因素。
This thesis examines the process of China and North Korea building ties with an adversary, the United States, with a focus on the inaugural U.S.-China summit in February 1972 and the North Korea-U.S. summit in June 2018. The analysis aims to understand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factors that prompted these summits and evaluates the leaders’ perspectives. Additionally, a comparative assessment is made to identif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ummits. Given the longstanding hostility betwee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and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efforts to improve relations demanded determined leadership from Mao Zedong and Kim Jong Un, who wielded significant power in their respective socialist states. U.S. Presidents Nixon and Trump, distrusting bureaucrats, favored a top-down approach, necessitating decisive actions from the leaders. The summit between Mao Zedong and Nixon was influenced by international factors, including the Sino-Soviet split during the Cold War and the ongoing conflict in Vietnam. Domestic considerations such as the Cultural Revolution and the complexities of the Vietnam War also played a role. These combined factors shaped the determination of both leaders to convene the inaugural summit and produce the ‘Shanghai Communique.’ In a similar vein, Kim Jong Un and Trump, opting for a top-down approach, navigated international factors like U.S.-China hegemonic competition and domestic concerns, particularly economic issues, culminating in the signing of the 'Singapore Joint Statement' during their first meeting. The inaugural meetings of both summits, involving leaders from historically hostile nations, prioritized the establishment of relations over immediate resolution of complex issues such as Taiwan or denuclearization. The leaders approached the meeting with a cooperative attitude, intending to “build ties,” and arrived with an agreement to attain ‘symbolic results.’ As both first summits led to subsequent meetings, they did not result in substantial outcomes such as normalizing relations. Instead, they had to settle for tension reduction and improved relations. Similar to the case of China and the United States in the late 1970s, it seems that key factors influencing the future establishment of a second summit diplomacy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would include the presence of a ‘common enemy,’ the actual threat posed by North Korea, and the perception of the top leaders.
본 논문은 중국과 북한이 적대국가인 미국과 관계 맺는 과정을 1972년 2월과 2018년 6월 처음 열린 미중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정상회담의 첫 성사를 국제·국내 요인과 이에 대한 최고지도자의 인식을 통해 분석하고, 두 정상외교의 유사점 및 차이점을 알아본다. 중국과 북한은 미국과 오랜 기간 적대 관계에 있었고, 강력한 권력을 지닌 사회주의 국가의 최고지도자 마오쩌둥과 김정은의 결정 없이는 관계 개선에 나설 수 없었다. 미국의 대통령 닉슨과 트럼프는 관료들을 불신하고, 자신을 중심으로 소수 인원이 문제를 해결하는 ‘탑-다운(Top Down)’ 방식의 의사 결정을 선호했기에 역시 정상들의 결단이 필요했다. 마오쩌둥과 닉슨은 미소 냉전 속 중소 분열, 베트남전쟁 등의 국제 요인과 문화대혁명 및 베트남전의 수렁이란 국내 요인 속에 두 정상의 회담 의지가 결합돼 첫 정상회담과 ‘상하이 코뮈니케’를 이끌어냈다. 김정은과 트럼프는 미중 패권 경쟁이란 국제 요인과 경제 문제 등 국내 요인 속에 역시 탑-다운 방식을 우선하는 두 정상의 의지에 따라 첫 만남과 함께 ‘싱가포르 공동성명’에 서명했다. 두 회담 모두 적대국 최고지도자와의 첫 만남이었던 만큼 정상들은 대만 문제나 비핵화 문제와 같은 난제를 바로 해결하려 하기 보다는 협력적 태도로 ‘관계 맺기’에 목적을 두고, ‘상징적 결과물’ 도출에 합의한 상태에서 회담에 임했다. 두 첫 정상회담은 후속 정상회담으로도 이어졌는데, 1차 정상외교에서는 관계 정상화와 같은 ‘실질적 결과물’ 도출에는 이르지 못했고, 긴장 완화와 관계 개선에 만족해야 했다. 1970년대 후반 중국과 미국의 사례처럼 앞으로 북한과 미국 역시 2차 정상외교가 성사되기 위해선 ‘공동의 적’의 존재, 북한의 실제적 위협, 최고지도자의 인식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