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 창업사례 분석과 지원정책의 새로운 방안 모색 : 창업의지의 실증분석과 창업사례 중심 / Startup Cases Analysis of North Korean Refugees and Searching for New Plans of Support Policy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북한이탈주민
정착 지원정책
기업가정신
자기효능감
창업의지
사회적 네트워크
사적유대
공적유대
민간주도형
환류시스템
Language
Korean
Abstract
At the time of the 75th anniversary of the division of north and south korea, this study attempts to change the situation, with the majority of the 330,000 north korean refugees still unstable in south korea. Entrepreneurship was encouraged as an alternative for the stable settlement in south korea and the significant effects of entrepreneurship, self-efficacy and social network were analyzed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of entrepreneur intention. Especially,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ship and self-efficacy on the entrepreneur intention be significant as mediating factors of friends, family, and north korean refugees. This confirms the importance of the private network, a strong solidarity among the social networks, for north korean refugees' entrepreneur intention. In addition,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have been completed in the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analyzed the case of north korean refugees' startup cases and suggested a new plans of support policy. The cases of north korean refugees' startups were analyz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from the beginning of defection, not from the startup. This study provides in-depth analysis on the north korean refugees’reasons and processes of defection, the arrival and departure of south korea, the beginning and course of life in south korea, the beginning and process of startup, what to say to north korean refugees and what to say to the government or institution. In particular, I would like to refer many north korean refugees to startup by exemplifying the process and the actual startup process. In addition, this study created a new paradigm for north korean refugees not only for startup but also for supporting policies for settlement in south korea. Apart from the government-led support policy, private-led support policy should be expanded not only to the government but also to support and invest in north korean refugees. To this end, the government focuses on the growth of north korean refugees by additional support and investments to north korean refugees if they are individuals, organizations, and companies. These are new plans for support policy that can be achieved through the active social activities of north korean refugees. It implies that they should make efforts to build their social networks and receive support and investment. New plans for support policy create successful cases for north korean refugees so that the support and investment can be virtuous cycle. It is a private-led one-cycle support policy that reinvests the part to the government so that the government can secure the budget with the benefit of recovery. The north korean refugees' support policy is government-led and the system is well established. But now, let's take the initiative by the private sector, so that the north korean refugees themselves can achieve growth through active social activities.
본 연구는 남북이 분단된 지 75주년을 맞을 시점에서 33만 명 남짓의 북한이탈주민 중 대다수가 여전히 남한에서의 정착이 불안정한 상황을 변화시키고자 시작하였다. 남한에서 안정적인 정착을 할 수 있도록 그 대안으로 창업을 독려하였으며 그 방법으로 창업의지의 실증분석을 통하여 기업가정신과 자기효능감 그리고 사회적 네트워크의 유의미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사회적 네트워크 중 사적유대의 요소인 친구, 가족, 탈북민의 영향을 매개요인으로 기업가정신과 자기효능감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이로 북한이탈주민의 창업의지에 있어 사회적 네트워크 중 사적유대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그동안 실증분석에서 마무리 되었던 선행연구들과 달리 북한이탈주민의 창업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한 새로운 지원정책의 새로운 방안을 모색하였다. 북한이탈주민의 창업사례는 창업의 시작이 아닌 탈북의 시작에서부터 집중적으로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의 탈북의 계기와 과정, 남한도착과 하나원, 남한 생활의 시작과 교육과정, 창업의 시작과 과정, 북한이탈주민에게 하고 싶은 말, 정부나 기관에 하고 싶은 말 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북한이탈주민이 창업에 이르는 과정과 실제 창업 과정을 사례화 하여 많은 북한이탈주민이 창업을 하는데 참고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아울러, 북한이탈주민이 창업뿐 아니라, 남한 정착에 있어서 필요한 지원정책에 대한 새로운 방안을 만들었다. 그동안의 정부주도형 지원정책에서 벗어나 민간주도형 지원정책을 통하여 정부뿐 아니라 개인, 단체, 기업이 북한이탈주민의 지원과 투자를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정부는 개인, 단체, 기업이 북한이탈주민에게 지원과 투자를 할 경우 그에 상응하는 지원과 투자를 추가적으로 하여 북한이탈주민의 성장을 집중시키는 것이다. 이는 북한이탈주민의 활발한 사회활동을 통하여 달성될 수 있는 새로운 지원정책의 모형으로 북한이탈주민 스스로가 사회적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지원과 투자를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지원정책의 새로운 방안은 북한이탈주민 성공사례를 만들어 지원과 투자가 선순환 될 수 있도록 성공사례의 북한이탈주민이 개인, 단체, 기업이 되어 다시 새로운 북한이탈주민을 지원하고 투자하며, 지원과 투자받은 부분을 정부에 재투자하여 정부는 회수의 이득으로 예산을 지속적으로 확보하는 민간주도형의 one-cycle 환류시스템 지원정책이라 할 수 있겠다. 그동안 북한이탈주민 지원정책은 정부주도형으로 그 체계가 훌륭하게 구축되어 있다. 하지만 이제는 민간이 주도할 수 있도록 하여 북한이탈주민 스스로가 활발한 사회활동을 통한 성장을 이룰 수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