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년기 여성을 위한 수어 예배무용 프로그램 연구 / A study on worship dance programs with sign language for elderly women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예배 무용
수어 예배무용
노년기 여성 무용
기독교 무용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노년기 여성의 수어를 통한 예배무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프로그램을 제시함으로써 노인인구의 빠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현시대에 발맞추어 노년기 여성이 예배무용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시도하였다. 특히 노년기 여성의 신체적, 영적, 정서적으로 도움을 주기 위하여 성서를 기반으로 한 주제의 신체 움직임 프로그램과 수어를 통한 예배무용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으며, 이 연구는 실제 사례적용을 통한 질적연구방법으로 60세 이상의 노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1차시를 70분 단위로 하고 상세지도안을 구성하여 일주일에 1번, 총 10차시에 걸쳐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노년기 여성들의 수어 예배무용 프로그램 참여 후 참여자 피드백과, 연구자 관찰을 통하여 프로그램 효과를 살펴본 결과 개인마다 차이는 있었지만 대부분 신체적, 영적, 정서적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적으로 뻣뻣하고 굳어졌던 몸이 스트레칭과 무용 움직임을 통해 관절 가동 범위가 늘어나게 되고 근력이 생김으로 신체 활력 도모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주제 성구를 함께 묵상하고 나누는 시간을 통하여 굳어지고 정체 되어있던 자신의 신앙생활 모습을 되돌아보며 신앙의 회복과 건강한 자아상을 가질 수 있었다. 셋째, 노년기의 특성인 고정화된 인식으로 인한 새로운 형태나 방식의 변화를 어려워하였으나 어떤 것도 노력하면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김으로 새로운 도전과제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수어의 확장과 창작 수업을 통한 예술적 표현으로 내면에 억눌리고 잠재된 감정 표출의 기회가 되어 스트레스가 감소 되는 효과가 있었다. 다섯째, 사회 접촉의 기회가 적은 노년기 여성들이 타인과의 교류를 통하여 친화적인 유대관계가 형성되어 소외감과 고립감이 감소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수어 예배무용 프로그램은 노년기 여성의 건강한 신체 상과 영적 안녕 도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수어를 통한 예배무용 프로그램은 손의 소근육 사용으로 인한 인지 자극과 무용 움직임으로 인한 신체 활력 도모, 신앙의 회복과 정서적 안정을 가져온다는 점에서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겠다. 2024년에는 대한민국 국민 중 5명중 1명이 65세 이상으로 노인인구가 천만 명을 넘어서게 되고 2025년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이 예상된다. 100세 시대를 열게 될 날이 얼마 남지 않은 이 시대에 노년기 여성들이 더욱 건강한 노후의 삶을 보내기 위해 기대되는 교육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주요어】예배 무용, 수어 예배무용, 노년기 여성 무용, 기독교 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