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시기 중국 대외정책의 변화와 지속성 : 덩샤오핑, 장쩌민, 후진타오의 외교정책을 중심으로 / The Change and Continuity of Chinese Diplomacy in A New Period of Transition: A Comparative Study on Foreign Policies of Deng Xiaoping, Jiang Zemin and Hu Jintao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role of conceptual elements in China's foreign policy transformation in the new period. eps. since China's opening up to the outside world. It is self-evident that, led by the three generations of China's central collective leadership, China has undergone various diplomatic tests and has made great progress. Slightly comparing China's foreign policies under the three generations, it is not har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transitions and well as inheritance. Among them, the differences of the second generation are most eminent. If judging by time, the year 1982 marks ad new starting-point where China's diplomacy diverted from the former revolutionary path to cooperation and construction. And this coincident complies with China's domestic reforms and international opening-up. The central argument of this thesis is that the changing conceptual views of the three generation of China's central collective perception on the world, on China itself has been constructing China's foreign policies. However, in the traditional China diplomacy research, conceptual perspective is often neglected. In this thesis, by applying the methods of comparative analysis and case study, the author attempts to, from the conceptual perspective, observe the relevance between the changes of political leaders' views and the transitions of new China's diplomacy. In the context of foreign policy, conceptual view is not only a direct perception of what the material world is, but also the value judgment of what it should be. The two are closely interwind and hard to be separated distinctively. When talking about China's foreign policies, conceptual view concerns how to perceive the world as well as how to recognize self-identity. Specifically, on the view of the theme of the times, Chinese leaders have experienced the transformation from war and revolution to peace and development; on the view of international structure, Chinese leaders have walked through the long path from two camps, three worlds, and multi-polarization to the harmonious world; and on the view of self identity, China has transformed from the previous world revolutionary to a member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now the responsible constructor. These changes eminently reflect the distinctive diplomatic thoughts of three generations with historical characteristics. Namely, Deng Xiaoping's pragmatic thought based upon domestic economic construction, Jiang Zemin's reserved thought of maintaining peace and seeking for the common and Hu Jintao's opening thought of constructive participation and construction of the harmonious world. Further questioning the reasons of the transformation of conceptual views, there have already existed two explanatory modes. one is domestic politics mode, assuming that the adaptations of foreign policy is the results of transformation in national development strategy; the other is international environment mode, assuming that the transformation of foreign policy is more influenced by the changes of international strategic structure and the influences exerted by China's economic and political interrelations with the outside world. In this thesis, the author argues that it is logically rigid to explain China's diplomatic behavior just through any unilateral mode. It should be comprehensively analyzed from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level. As for the international level. it could be judged by the source of security threat, the international strategic structure and the influence of international system upon national behavior. And for the domestic level, it includes the judgment on major contradictions, the determination of national development strategy and the choice of development path and so forth.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at changed historical and spatial conditions can only bring about specific adjustments to foreign policies through the switch of leaders' conceptual views. To some extent, conceptual elements functions as the route map, for it can not only explain the reason why China adopted a type of policy in specific period of time, but also it foresees the diplomatic trend that China may adopt in the future, as conceptual elements also contain kinds of value judgments.
본 논문의 목적은 신시기 중국 외교정책의 지속과 변화에 있어 인식의 요소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토하고, 3대 지도자 시기 외교정책의 변화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개혁개방 이후 덩샤오핑, 장쩌민, 그리고 후진타오 시기를 비교 분석해보면, 이 시기 동안의 외교정책이 계승, 발전, 변화해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시대별로 중국의 대외인식과 외교 정책을 분석하고 구체적인 사례로서 대미국․대러시아 외교정책을 비교분석한다. 이 과정에서 정부 공식문서와 지도자의 연설을 활용함으로써 중국의 대외인식과 그것의 변화가 실제 외교정책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도록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국제정세에 대한 중국의 인식, 특히 지도자의 인식과 그의 변화가 구체적인 대외정책의 전개와 외교전략에 충실히 반영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의 핵심 주장은 중국 국내외 정세에 대한 3대 지도자 집단의 인식 변화가 중국 외교정책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 중국 외교정책 연구에서는 인식이 갖고 있는 중요성은 무시되는 경향이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비교분석 및 사례분석의 연구방법을 활용해 지도자의 인식 변화와 신시기 중국 외교정책의 변화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도록 한다. 본 논문에서 인식은 국제정세에 대한 인식 뿐 아니라 중국의 국제적 지위에 대한 인식을 모두 포함한다. 신시기 중국은 ‘시대의 주제’를 “전쟁과 혁명“에서 “평화와 발전“으로 변화하였는데, 이는 국제구조가 미․소 중심의 “양극체제“에서 냉전 종식 이후 “다극체제“로의 변화에서 기인했다고 하겠다. 또한 자국의 지위에 대한 인식 역시 “세계 혁명자”로부터 “국제사회의 구성원”으로 그리고 “책임 있는 강대국“으로까지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3대 지도자 시기의 인식 변화와 그 맥락을 같이 하고 있는 것이다. 즉 국내문제의 개선과 국가발전을 강조했던 덩샤오핑의 실용사상, 장쩌민의 “도광양회․유소작위” 원칙, 그리고 국제사회로의 적극적 기여를 강조했던 후진타오의 “조화로운 세계”가 바로 그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듯이 중국 외교정책의 지속과 변화는 지도자의 인식과 직접적 관련을 맺고 있다. 물론 중국의 외교정책이 국내적 요인과 국제적 요인으로부터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부정할 수는 없지만, 그보다 중요한 것은 정책결정자 혹은 지도부가 국내외 정세를 어떻게 인식하고 어떠한 전략을 선택하는지에 따라 중국 외교정책 변화의 폭과 방향이 결정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은 신시기 이후 중국 외교정책의 지속과 변화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향후 중국 대외정책의 방향을 예측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