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통 예서(隸書)의 조형적 확장성에 관한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ormative Expandability of Traditional Clerical Script: Focused on the Calligraphy Creations of the Researcher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예서(隸書)
조형성
전통성
현대성
확장성
조형예술
Language
Korean
Abstract
This research paper delves into the analysis of the potential expansion of traditional Chinese clerical script into modern stylized art, with a specific emphasis on the works of scholars. Clerical script, a simplified font derived from seal script, is characterized by its rigid structure, a process commonly referred to as 'li bian,' as it introduces decorative and stylistic elements. Hence, exploring the aesthetic structure and formative principles of traditional calligraphy can facilitate a modern reinterpretation of this distinctive script, thereby expanding the scope of modern visual arts.To this end, the paper initiates with a preliminary examination of the formation of traditional clerical script. Subsequently, focusing on the works of scholars, it analyzes modern stylistic techniques in the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clerical script fonts, substantiating the potential fusion of this font's tradition with modernity. To delve deeper into this exploration, the researcher builds a theoretical framework based on the art theory of ancient philosopher Aristotle, the formal aesthetics of Chinese aesthetic pioneer Zhu Guangqian, and modern semiotics theory.This exploration focuses on the fundamental elements of clerical script, including diversity and unity, contrast and harmony, expansiveness, and simplicity. The conclusion drawn is that alphabetical fonts can be elevated to modern visual art, suggesting that letters and characters can be elevated to modern visual art. Modern stylistic techniques, as a means supporting this discussion, involve the selection of Qing Dynasty calligraphers Yi Bingshou and Chen Hongshou, pivotal figures in the establishment of calligraphy styles in Chinese calligraphy history, seamlessly blending ancient brushstrokes with modern sensibilities. The contemporary clerical script artist Wo Xinghua is also analyzed. Initially, the researcher thoroughly examines their script forms, and then compares and analyzes works introduced in the researcher's two exhibitions, "Dong You" and "Xiang." Here, the researcher's works are categorized into those created using traditional calligraphy techniques and experimental works reinterpreted in a modern way. This discussion brings attention to the inevitable fusion and mutual development of traditional and modern clerical scripts. Ultimately, through this study, researchers gain confidence in continuing and expanding the tradition of clerical script stylized art within the realm of modern visual arts. Additionally, the value lies in the potential rejuvenation of traditional artistic calligraphic styles through the researcher's work into modern aesthetic forms.
본 논문은 중국 전통 예서(隸書)의 현대조형예술로의 확장 가능성을 연 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연구이다. 예서는 상형성이 강한 전서 가 간략화된 서체로, 여기에 장식적 조형미까지 더해지면서 ‘예변(隸 變)’으로도 불린다. 이러한 까닭으로 예서의 미적 구조 및 조형 원리의 탐구는 이 독특한 서체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게 하면서 현대시각예술의 범위를 보다 넓게 바라보게 만든다. 이에 본 논문은 전통 예서 조형에 관한 선행연구를 진행하였다. 다음으로 전통 예서를 재해석한 현대적 조 형기법을 분석하면서, 이 서체의 전통·현대와의 융합적 측면을 연구자 의 작품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연구자는 이것의 깊이 있는 논의를 위 해 고대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의 예술론과 중국 미학의 선구자인 주광 첸(朱光潛)의 형식미학, 그리고 현대 기호학 이론을 바탕으로 이론적 틀 을 만들었다. 이러한 탐구는 다양성과 통일성, 대비성과 조화성, 확장성 과 단순성이라는 예서의 기본 요소들에 집중하게 만들었다. 이 과정에서 문자 서체가 현대적 시각예술, 즉 문자와 텍스트가 현대적 조형이미지로 승화될 수 있다는 점을 증명하였다. 동시에 현대적 조형성을 입은 예서 가 비문자적 기호로 읽히면서 다층적 의미 구조를 생산한다는 사실을 확 인하였다. 이는 예술이 기호화되고 기호가 예술화되는 기호학적 관점으 로 이해할 수 있다. 연구자는 이 내용의 심층연구를 위해 중국 서예 역 사상 예서체가 자리 잡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 청대(淸代)의 서예가 이 병수(伊秉綬)와 진홍수(陳鴻壽), 고대 비첩을 현대적 감각으로 융합한 옥흥화(沃興華)의 작품을 고찰하였다. 이어 연구자의 두 번의 개인전 《동유(東遊)》와 《상(象)》에서 소개된 예서 작품을 이들의 작품과 비 교분석하고, 그들 작품의 특징이 연구자에게 수용된 측면까지 고찰하였 다. 세부적으로 연구자의 작품은 전통적 기법으로 제작된 것과, 현대적 으로 재해석한 실험작 등으로 분류·분석하였다. 여기서 전통적 측면은 다양성·통일성·대조성·화합성·확장성·단순성 등의 카테고리에서, 현대적 측면은 문자시리즈와 소멸시리즈 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연구자는 전통과 현대를 넘나드는 예서의 다원적 융합 가능 성과 이것의 상호 발전 필연성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연구자의 작품 은 전통 예서 조형의 맥을 잇고 이를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고, 예서를 현대조형미학의 범주에서 논의할 수 있는 기반을 확보하였다. 그 러므로 본 논문은 새로운 조형기법으로서의 예서 창작과 현대적 맥락으 로서의 예서 해석적 방편을 마련했다는 데 그 가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