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리더십유형과 직무수행간의 관계의 관한 연구:부하 정서지능의 조절효과 분석 /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leadership style and a subordinate's job performance: the moderating effects of a subordinate's emotional intelligence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중국에 진출한 다국적 기업들은 기존의 조직운영방식의 한계점을 인식하고 새로운 경쟁력의 원천으로 인적자원의 측면에서 잠재 역량을 강조하기 시작하였다. 이런 다국적기업들에게 리더의 혁신적 및 자발적인 행위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변혁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하의 정서지능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중국으로 진출한 한국기업 148명 중국 종업원을 대상으로 변혁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이 직무수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했다. 또한 변혁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과 직무수행과의 관계에서 부하 정서지능에 따른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리더십 유형(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직무수행, 부하의 정서지능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독립변수로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을 설정하고, 종속변수로 직무수행을 설정하여 부하의 정서지능을 조절변수로 설정하였다. 중국 상하이로 진출하고 있는 한국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를 살펴보며 변혁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이 과업수행의 정(+)의 영향을 미친다. 또한 변혁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이 맥락수행의 정(+)의 영향을 미친다. 변혁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과 직무수행의 관계에서 부하의 정서지능 중 정서활용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활용은 높으면 변혁적 리더십과 맥락수행간에 관계가 더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서 제시하였다.
Lots of global companies recognize their limitations of existing, and they realize how important it is to pay attention to human resource capacity. The leader's innovative and spontaneous behavior is an important role at these compani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out how the supervisor's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influenced the employee's emotional intelligence. Survey method was applied by using a sample of 148 employees from Korean companies in the Shanghai of China. The questionnaires were set up in order to achieve the study's aim, "does the supervisor's transformational, transactional leadership affect the job performance?" and is there any control effect depending on the subordinates' emotional intelligence? To test the hypotheses, the data has been collected from the companies. The study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have positive effects on task performance. Second, the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have positive effects on contextual performance. Third, subordinates' emotional intelligence that works as moderator variable has effect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job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nd one dimension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the use of emotion becomes stronger,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contextual performance relationship also becomes stronger. The companies' leaders should pay attention to the subordinate’s emotion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implications of finding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