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포괄적인 음악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지도방안 연구 : 중학교 3학년 제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Pedagogical Method for Comprehensive Education on Music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현대사회는 모든 것이 급변하면서 다양성과 창의성, 연계성과 포괄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음악과 교육과정에도 영향을 주었다. 이로 인해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학생의 창의성 발달과 다양성을 강조하는 활동을 도입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에게 포괄적인 음악성을 길러 주기 위해 음악의 모든 활동을 다루어 종합적이고 통합적인 음악경험을 할 수 있는 교수·학습지도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효과적인 교수․ 학습지도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첫 번째로 포괄적 음악교육의 등장 배경과 포괄적 음악성의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고, 두 번째로 포괄적인 음악성을 함양시켜 주기 위해 적용할 수 있는 프로세스의 통합적 음악학습이론과 프로세스의 이론에 기초가 되는 고든의 음악학습이론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세 번째로 현재 중학교 3학년 음악교과에 적용되는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을 고찰하였고, 마지막으로 음악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이 학교에서 배우는 교과목 중 음악수업은 꼭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며 지금까지 음악수업에 관심과 흥미를 가지고 참여하지 않았다고 응답하였고, 이해와 활동영역 중 가장 흥미로운 영역은 감상이고 가장 어려운 영역은 이해라는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세광음악출판사 중학교 3학년 음악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활동영역에 비해 이해영역의 비중은 현저히 낮았으며 감상, 가창, 기악, 창작의 4가지 활동 비율의 편차도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설문조사와 교과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제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 포괄적인 음악성을 위한 교수·학습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위와 같이 연구된 포괄적인 음악교육을 위한 교수·학습지도방안을 실제 학교 음악수업에 적용하였을 때, 다양한 음악활동에 학생들이 흥미를 느끼고, 음악수업에 관심과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기를 기대한다.
In the modern society, changes come at an unprecedented speed requiring its members to acquire diversity, creativity, connectivity and comprehensiveness. Such a phenomenon came to affect music as well as the education. To accommodate to the changing needs, activities that focused on diversity and development of students' creativity were integrated into the 7th curriculum for music and education. Against this backdro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odel pedagogy that is inclusive of all musical activities to provide an integral and consolidated musical experience to enhance comprehensive musicality in students. In order to propose an effici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e paper looks first into the backgrounds of which the comprehensive musical education came about and the effects of comprehensive musicality. Secondly, the paper looks into the Gordon Music Learning Theory, which serves as the fundamental part of the theory and the process of the comprehensive music learning that may be applied in order to foster a comprehensive musicality in students. Thirdly, the papers considers the 7th curriculum for music and education that is applied in music classes for thi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nd, finally, takes look at the survey on the students' perception of music classes. The survey showed that the students do not feel music lessons necessary in their school curriculum and that they do not participate in music classes with much enthusiasm or interest. With regards to the areas of understanding and activities, students answered that they are mostly interested in the listening part and had difficulties in the areas of musical understanding. Also, an analysis done on Music text books for the thir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by Sekwang Music Publishing showed that the books allotted more pages to the activity-related areas and less on the part dealing with musical comprehension. The ratio among four areas of musical activities, areas of listening, singing, playing musical instruments, and composing, also differed much from each other. The paper uses that results of the survey and the text book analysis to present a pedagogy to foster comprehensive musicality on the basis of the 7th curriculum.In conclusion, when the new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foster comprehensive musicality found on the basis of this study, the result of it is expected to be demonstrated by increased student interest in musical activities and heightened attention and participation during music clas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