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뇌신경 데이터와 뇌신경권에 관한 연구: 인격권적 관점에서의 고찰 / A Study on Neural Data and Neuro-rights: From the Perspective of Personality Right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뇌신경권
인격권
뇌신경 데이터
빅데이터
뇌신경 프라이버시
인지적 자유
정신적 프라이버시
정신적 완전성
뇌신경윤리
감시자본주의
Language
Korean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discussions surrounding cognitive liberty,neuro-privacy, and mental integrity from the perspective ofNeuro-personality rights. Neuro-rights are the right to freely formone’s neurological conditions without arbitrary interference andindependently control the related contents. It includes the right tofreely choose from various scientific measures applicable to one’sneurological conditions such as brain imaging, neuromodulation, brainstimulation, neuropharmaceuticals, and brain-machine interface tofreely manifest value of being human embedded in one’s neurologicalconditions and control data generated from the usage of theaforementioned measures. The right to control one’s neurological dataentails the independent decision power over collection and usage ofone’s data and the right to object to any way such data may beemployed to negatively impact oneself.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neuro-rights are rights that allow for a more concrete realization ofhuman dignity and values in relation to neurological conditions basedon self-determination, self-responsibility, and self-control through themedium of one’s personalities. Neuro-rights entail factors such asright to personal liberty, right to privacy, right to self-determination,right to informational self-determination, and freedom of conscienceand also include, from the perspective of personality, factors that arenot necessarily included in individual fundamental rights. They canthereby become a concept that provides a useful basis for protectingan individual’s personality and freedom in a new economic norm thatemphasizes data usage in addition to various legal issues coveringdifferent aspects of a society including litigation procedures,employment relationships, and educational relationships. In particular,as the basis for inferring one’s conscious or unconscious mind,preferences, propensity, emotion, etc., neurological data have becomeincreasingly important amid the rapid growth of data industries drivenby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his is because neurologicaldata have characteristics that are in line with the demand for big datathat aim to utilize the volume and variety of accumulated data torapidly generate new values, in particular, data about one’s charactersand predicted behaviors. Traditionally, neurological data were mainlygenerated and collected by medical and research institutions; however,neurological data are being increasingly generated and collected indaily life through EEG devices, brain-machine interfaces, emotionalICT devices, and similar devices that can be purchased individually. Ingeneral, increasingly individualized and modularized, the methods ofgeneration and collection of neurological data have now retained newfeatures of ‘context dependence’ and ‘possibility to infer’. However, noclear and objective study has been conducted on the legal nature andsensitivity of such data, and there exist regulatory loopholes due tothe limits of ex ante and ex post facto data rights of current privacylaws. Also a lever to object to profiling based on neurological data isneeded. Moreover, it is necessary to count the quality of data privacyas a non-price factor for competition to minimize the risk ofexploitative misuse or abuse of neurological data in the changingmarket where so-called ‘surveillance capitalism’ are rapidly emerging,thereby preventing abuse of the market controlling status andprotecting consumers’ welfare.
본 논문은 뇌신경윤리의 주요 이슈 중 하나인 인지적 자유, 뇌신경 프라이버시, 정신적 완전성 등에 관한 논의를 ‘뇌신경권’이라는 인격권의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뇌신경권은 뇌신경적 상태의 형성을 외부로부터 간섭받지 않고 자유롭게 영위하고 그와 관련된 내용을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한다. 뇌신경 영상 기술, 뇌신경 조절 기술, 뇌신경 자극 기술, 뇌신경 약물, 뇌-기계 인터페이스 등 자신의 뇌신경적 상태에 적용할 수 있는 여러 신경과학적 수단들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뇌신경적 상태에 내재된 인격적 가치를 자유롭게 발현할 수 있는 권리와 이러한 수단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에 대한 통제권도 본인에게 있다. 뇌신경 데이터에 관한 통제는 데이터의 수집·이용 등에 관한 자유로운 결정권의 보장과 더불어 데이터가 본인에게 부당하게 불리한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해 이의제기를 할 수 있는 권리도 포함한다. 그러므로 뇌신경권은 자신의 인격과 의사를 매개로 하여 자기결정, 자기책임, 자기지배에 의하여 자신의 권리와 의무를 형성할 수 있는 존재, 즉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지닌 존재라는 의미를 뇌신경적 상태 및 그 데이터와 관련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실현하고자 하는 권리라고 할 수 있다. 뇌신경권의 내용에는 신체의 자유,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자기결정권, 개인정보자기결정권, 양심의 자유 등의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지만, 개별 기본권으로 포섭되지 못하는 문제들도 인격권적 관점에서 모두 포섭할 수 있다. 이로써 뇌신경권은 소송절차, 고용관계, 교육관계 등 사회생활의 전반에 걸친 법적 문제 외에 데이터의 활용이 강조되는 새로운 경제 질서의 흐름 속에서 개인의 인격과 자유를 보호하기 위한 기초를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개념이 될 수 있다. 특히,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에 의한 데이터 산업의 급성장 속에서 사람의 생각, 선호, 성향, 정서 등에 관한 추론 자료가 될 수 있는 뇌신경 데이터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된다. 누적된 데이터의 양과 다양성을 활용해서 빠르게 새로운 가치 즉, 사람의 특성과 행동 예측에 관한 정보를 창출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빅데이터의 수요에 매우 부합하는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뇌신경 데이터를 생성·수집하는 수단이 과거에는 의료기관이나 연구기관에 집중되어 있었지만, 개인이 직접 구매할 수 있는 EEG 기기, 뇌-기계 인터페이스, 감성 ICT 기기 등 일상생활 전반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처럼 뇌신경 데이터의 생성 및 수집 수단이 개인화, 모듈화되면서 ‘맥락의존성’, ‘추론가능성’이라는 새로운 특징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데이터의 법적 성질과 민감도에 대해서 아직 명확하고 객관적인 고찰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현행 개인정보보호법제의 사전·사후 통제권의 한계로 인한 규율의 공백도 존재한다. 특히 뇌신경 데이터를 이용한 프로파일링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아울러 데이터 자본주의, 감시 자본주의 등 데이터 시장의 변화 속에서 뇌신경 데이터의 착취적인 오·남용의 위험에 대응하기 위한 간접적인 수단으로 데이터 프라이버시 품질을 비가격적 경쟁의 요소로 평가함으로써 시장지배적 지위의 남용을 방지하고 이용자들의 후생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