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등학교 수학과 수준별 서술형 평가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조사 / A Research of the High school mathematics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about the essay level test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수준별 서술형 평가
수학과 평가
인식 조사"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2005년에 학교 현장에 도입된 서술형 평가가 본래의 취지를 구현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현재 고등학교 정기고사에서 실시되는 서술형 문항을 살펴보면 도입 취지와는 달리 서술형 평가를 상위권 학생을 변별하는 방법의 일환으로 사용하고 있고, 논리적 사고력과 표현 능력이 미숙한, 성취수준이 하위권인 학생들은 서술형 수학 문제를 포기하여 아무런 시도도 하지 않은 채 백지상태로 답안지를 제출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에 학교 현장에서의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수도권에서 근무하고 있는 고등학교 수학교사 124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통해 수준별 서술형 평가에 대한 인식조사와 ‘수학Ⅱ’ 수준별 서술형 문항을 개발하여 고등학교 2학년 자연계열 학생 108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풀어보게 한 뒤, 단일 문항과 비교를 하게 하였다. 이를 통하여 수준별 세트형 문항을 통한 서술형 평가의 보완점 추출을 연구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현재 인문계 고등학교에서의 서술형 평가 시행 실태를 조사하고, 수학교사들의 수준별 서술형 평가 도입에 관한 인식은 어떠한가? 2. ‘수학Ⅱ’ 내용을 바탕으로 수준별 서술형 평가문항을 개발하여 교사와 고등학교 2학년 자연계열 학생들에게 제시한 후, 의견을 묻고, 종합하여 수준별 서술형 평가문항 개발에 보완점은 무엇인가? 본 연구를 수행하면서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수도권의 대부분의 일반계 고등학교에서는 각 교육청의 지침에 따라 30% 이상의 반영 비율로 서술형 평가를 실시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서술형 평가 시행에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었으며, 학생의 학습 이해 수준 파악과 수학적 의사소통능력 개발에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또 수리논술 대비에도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 교사도 있었다. 서술형 문항은 대체적으로 중간 난이도의 추론과 수학 내적 해결력 영역에서 출제되었다. 하지만 학생들이 까다로워하는 추론과 수학 내적 문제해결력 부분이어서 학생의 체감난이도는 교사가 생각한 것보다 더 높았다. 교사들은 채점 방식으로 보다 명확한 기준을 제공하는 분석적 채점법을 사용하였고, 학생들의 백지답안은 약 20% 정도의 비율로 나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수학교사들은 서술형 평가 시행에 따른 개선 사항으로 교사의 업무 부담 개선과 학생 수준별 평가 체계 도입을 손꼽았다. 전면적인 서술형 평가 시행으로 수학교사들은 이전에 비해 평가에 따른 업무가 더 많아졌다. 다른 행정적인 업무는 변화 없이 서술형 평가 업무가 추가로 시행되었기 때문으로 분석할 수 있다. 수준별 이동수업은 현재 많은 학교에서 시행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평가의 공정성을 위해 이동수업과는 별개로 단일화된 평가를 하고 있었다. 학생 수준별 평가 체계를 도입한 학교는 극히 일부분이었다. 이로 인해 중·하위권 학생의 수학 포기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또한 국가 방침에 따라 획일적으로 서술형 평가 방법으로 전환하였기 때문에 평가에 대한 교사의 자율성이 부족하다고 교사들은 인식하고 있었고, 현재 대학 입시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대학수학능력평가시험 제도가 서술형 평가와는 괴리된 형태로 시행되고 있기 때문에 학교 현장에서 체감하는 어려움이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수학교사들과 학생들 모두 대체적으로 수준별 서술형 평가 도입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그 이유로는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중․하위권 학생에게 동기 부여’를 가장 먼저 손꼽았다. 교사들은 수준별 서술형 평가 도입으로 수업 관련하여 학생들의 변화를 뽑았지만, 학생들은 수준별 서술형 평가 도입으로 수학의 정의적인 부분과 학업성취도 향상을 기대한다고 하였다. 중·하위권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수학 수업이 되도록 평가 체계의 수정이 필요하다고 본다. 넷째, 수준별 서술형 평가 도입에 반대하는 응답자들의 주된 의견은 공정성의 문제와 업무과중의 문제였다. 수준별 서술형 평가에서는 평가 난이도와 배점, 채점기준의 객관성을 얻기 힘들다는 의견이 많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시험을 보다 면밀하고 공정하게 출제하고 채점하는 노력이 요구되는데, 이것이 교사들의 평가 업무의 증대와 부담으로 돌아왔다. 교사들은 수준별 서술형 평가의 도입 대신 수행평가를 통한 수준별 평가 또는 서술형 평가 내 문항난이도의 조절로 충분히 가능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는데 학생들의 의견 중에서 문제 선택으로 인한 혼란과 그로 인한 문제풀이 시간 부족을 같은 맥락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교사 본연의 임무인 학습지도와 학생평가에 집중하고 생각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수준별 서술형 평가를 도입한다면 하나의 개념에서 수준별 3단계(상·중·하) 문항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모든 서술형 문항을 수준별 평가 문항으로 출제하는 것이 아니라 서술형 문제 중 일부분만 수준별로 출제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더 세분화된 평가를 받고 싶은 학생들이 4단계 비율도 많이 선택했지만, 3단계로 충분히 학생의 능력을 수준별로 평가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