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직무재창조가 직무열의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직무열의의 매개효과와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fluences of Job Crafting on Work Engagement and Job Performanc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work engage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지식근로자
직무재창조
조직지원인식
직무열의
직무성과
Language
Korea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job crafting on job performance in the mediating role of work engagement and on work engagement in the moderating role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n order to achieve such study agenda, the foremost issue would be to firstly examine whether job crafting has an impact on work engagement, followed by whether work engagement has an effect on job performance. Also, whether work engagement has media effect between job crafting and job performance, whether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s moderate effect between job crafting and work engagement to investigate. To test the hypotheses proposed, data were collected from knowledge workers working for financial companies in Shandong Province. 250 questionnaires were carried out, and 238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After excluding 27 unusable cases which had unacceptable level of missing data, 211 cases were used for analysi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2.0 Vers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It examined the positive impact of knowledge workers' job crafting on work engagement. Secondly, It examined the positive impact of knowledge workers' work engagement on job performance. Thirdly, This study has that although work engagement mediates the relations between seeking resources, seeking challenges and job performance, work engagement indirect mediates the relations between reducing demands and job performance. Fourthly,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d a moderating effect on seeking resources, seeking challenges and work engagement, bu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s a negative impact on them. The result of the study can provide the practical implication in the succeeding manner. Firstly, In order to meet the requirements of highly job crafting action' knowledge workers, they make meaningful changes to their work, so companies can increase their working resources and work challenges in order to improve work engagement. Secondly, Secondly, job crafting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but what kind of media role does work engagement between job crafting and job performance deserve to be explored. Finally, Knowledge workers with highly job crafting have a high level of enthusiasm for challenging jobs, therefore, in order to meet their requiremen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highly free working environment.
본 연구의 목적은 직무재창조가 직무열의를 매개로 하여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있고 조직지원인식을 조절하여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도 규명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직무재창조가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한 후, 직무열의가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것이다. 또한 직무열의가 직무재창조와 직무성과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살펴보고 조직지원인식이 직무재창조와 직무열의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파악하는 것이다. 가설검정을 위해 중국 산동성의 금융기업 지식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50부를 배포하여 238부를 회수하였고(회수율:95%), 이 가운데 불성실한 응답이나 한 문항이라도 응답하지 않은 27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211부가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2.0 Version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연구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된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지식근로자의 직무재창조(직무자원 추구하기, 직무도전 추구하기, 직무요구 감소시키기)는 직무열의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지식근로자의 직무열의는 직무성과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직무자원 추구하기나 직무요구 감소시키기와 직무성과 간에 존재하는 직무열의의 완전매개역할은 뒷받침된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도전 추구하기와 직무성과 간에 존재하는 직무열의의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지원인식이 직무자원 추구하기나 직무도전 추구하기와 직무열의 간의 관계에서 부(-)의 역할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직무재창조가 높은 근로자들이 자신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근로자들은 직접적으로 직무를 의미 있게 재설계하니까 직무열의를 높이기 위해 직무자원과 합리적인 직무도전을 증가해야 한다. 또한, 직무재창조가 높은 지식근로자들은 더욱 높은 자율성과 창의성을 가지고 직무를 할 때 자기관리를 강조하여 직무요구를 받지 않기 때문에 직무열의를 늘리기 위해 직무요구를 적절히 줄어야 된다. 둘째, 직무재창조가 직무성과에 직접적인 유의한 관계를 미치지만 직무재창조와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직무열의가 어떤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해야 된다. 마지막으로 직무재창조가 높은 지식근로자는 도전적인 직무에 열중하고 자아실현을 갈망하여 그들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자율성과 높은 직무환경을 제공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