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로즈마리(Rosmarinus officinalis L.) 극성별 용매 추출물의 생리활성 검증 / Evaluation of Biological Activity Affected by Extracting Solvents of Rosemary (Rosmarinus officinalis L.)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로즈마리(Rosmarinus officinalis L.)는 식품소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생리활성이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극성이 다른 용매 추출물의 상호작용과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는 잘 정립되어서 보고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로즈마리 분말을 hexane EtOAc, MeOH 및 증류수에 EtOH의 농도를 95, 70, 50, 25 및 0%로 조절한 용매로 추출한 다음 각각의 용매 추출물이 항산화, 항비만 및 미백효과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로즈마리 추출물의 항산화 및 tyrosinase 저해 효과는 비교적 극성이 높은 50% EtOH, 25% EtOH 및 증류수 추출물이 가장 효과가 좋았다. 그러나 α-glucosidase 활성 억제는 EtOH의 농도가 높은 50~95%와 MeOH 추출물에서 효과가 가장 좋았다. 지방세포의 분화억제는 70% EtOH로 처리시에 가장 효과가 좋았으며, EtOH의 농도가 70%보다 증가하거나 감소하였을 경우에는 농도에 비례하여 감소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 최적의 추출 용매는 항산화, tyrosinase 저해, α-glucosidase 활성 억제 및 지방세포의 분화억제 등의 질환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추출 용매를 고려하면 추출 용매에 따라서 최적의 생리활성 성분의 종류와 함량이 차이가 있고 이로 인하여 생리활성 효과도 달라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