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화와 현실 : <변호인>의 사실주의 시나리오 연구 / Film and Reality : A Research on the Realistic Script of
Document Type
Image
Source
Subject
한국영화
양우석
<변호인>
대본 구조
작가와 시나리오 작가
실화
Language
Korean
Abstract
한국영화 을 핵심 연구 대상으로 하여 이를 기반으로 한국 장르 영화, 특히 실화를 바탕으로 각색한 영화 작품에 대해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분석한다. 상술의 취지를 둘러싸고 진행한 토론의 핵심 내용의 구성은 주요로 다음과 같은 2가지 차원이 있다. 첫째: 당대의 가장 중요한 예술 형식 속성의 전체 영화 예술 범위에서 한국영화의 내적 의식 표현과 외적 사회 전파 상의 공통성 대조를 찾는다. 둘째: 국별 구체적인 프레임워크에서 한국 자체의 역사 사회와 현실 언어 환경을 그것의 영화 창작과 다시 연결시켜 서로 다른 특성, 형성원인 및 외연을 발굴한다.위 내용을 종합하면, 이 논문의 연구 과정에서 양우석 감독이 작고한 한국 대통령 노무현을 모델로 창작하여 높은 흥행수입과 높은 평판 및 큰 영향을 겸비한 을 구체적인 연구 사례로 선택하고 예술적 프레임워크와 사회적 언어환경을 차원으로 하여 의 대본 창작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또한 이를 한 가지 포인트로 하여 실화를 바탕으로 각색해 창작한 한국영화의 전반적인 면을 탐구하여 결국 한국영화 작품 중 작가창작 신분에 관한 확인 및 강화를 도출하고 대본 차원에서 한국영화로 하여금 민족성과 상업성을 겸비하게 한 공동한 고려 의거와 방법을 찾았다. 이 논문의 핵심 연구 과정과 내용은 다음과 같은 6가지 부분으로 구성되었다.제1장, 즉 서론 부분. 이 장에서 필자가 이번 연구에 앞서 진행한 일부 사고와 제목 선정 근원을 개괄적으로 서술하고 대본 창작의 각도로 영화 , 더 나아가 이를 대표로 하는 리얼리즘 제재 장르 영화를 심사하는 전반적인 가능성 문제를 제시하였다. 제2장, 을 포함한 실화를 바탕으로 각색하여 창작한 영화 작품을 참조 사례로 하고 창작자 신분의 작가로부터 출발해 영화 창작중 작가의 지위 및 발휘한 중대한 역할에 대해 논증한다. 제3장, 시나리오 작가와 감독을 겸하고 있는 양우석 및 그의 처녀작 을 포함한 작품을 사례로 겨냥적인 논술을 진행한다. 제4장, 을 개별 사례의 연구 대상으로 하여 더한층 깊이 분해 및 분석 정리하며, 영화 작품 자체로부터 특히 대본 구조 등 방면으로부터 실화를 바탕으로 각색하여 성공을 이룩한 대표적 요소를 발굴한다. 제5장, 을 양우석 감독의 작품 서열에 놓고 종적 비교 연구를 진행하는 동시에 을 같은 제재나 장르의 작품 서열에 놓고 횡적 비교 연구를 진행한다.제6장은 이 논문 연구의 결론 부분이다. 이번 연구 성과와 결론을 검토하고 계량화하는 외에 한국 상업 영화 작품속의 집단적 구축, 한국 상업 영화가 현실과의 결합 과정에서 갖춘 이중적 반성 특성 및 한국영화가 서사에서 글로벌화 배경 하의 문화 정체성을 어떻게 획득했는지 등 문제에 대해 종합적으로 논술하였다.
The discussion of Korean film the as the research object mainly consists of two aspects: one is to find the common contrast between the inward expression of consciousness and outward social communication of Korean films within the overall scope of film art, which is the most important artistic form attribute of contemporary society; Second, in the specific framework of "nationality", South Korea's own historical society and realistic context are reconnected with its film creation, and its different characteristics, causes and extension are explored. It is a common way for people to talk about Korean film the that a film has profound denotation and great social influence. But we know that there is no such thing as a force for nothing, and that these powerful films did not come out of nowhere. Therefore, the topic of film creation is one of the breakthroughs in this study. Will be generated by the acclaimed Korean movie to explore the cause of "power", by digging in the Korean history and different social environment and the success of the "realism", to try to explore adaptation to real events as a Korean movie creation subject and is often the cause of the success.The core research process and content of this paper consists of the following six parts: The first chapter is the introduction. In this chapter, the author summarizes some thoughts and sources of topics before this study, and puts forward the possibility of examining the and even the whole "realistic" films represented by it from the perspective of screenwriting. The second chapter focuses on the overall film works adapted from real events, including the , as a reference case, and demonstrates the important role of "writers" as creators. The third chapter focuses on Yang Yushuo as a screenwriter and director and his works including his debut film the . The fourth chapter takes the as a case study object to further disassemble and study, and excavates the reasons why it is a successful film representative adapted from real events from aspects of the script structure of the film itself. In the fifth chapter, the is placed in the sequence of director Yang Yushuo's works for a longitudinal comparison study, while the is placed in the sequence of the same theme or type of works for a horizontal comparison study.Chapter vi 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n addition to the research results and conclusion are repeated and quantify, including for South Korea's "collective construction" in the movie business and combines with the "reality" with "double reflection" in the process of features, as well as south Korean films in the context of globalization in the narrative on how to obtain comprehensively discusses such problems as cultural identity, These together constitute the further reflection of this topic an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