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백석(白石)과 짱커자(臧克家) 詩의 故鄕 意識 比較 硏究 / A Comparative Study on Hometown's Consciousness between Baekseok and Zang Kejia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이 논문은 1930년대의 한국 대표 시인 백석과 중국 대표 시인 짱커자의 시를 대상으로 고향 의식을 비교했다. 이 논문에서는 화자의 특성과 두 시인이 표출한 감각적 이미지를 중심으로 백석과 짱커자의 고향 의식을 논의하고자 했다. 이 연구에서는 백석과 짱커자 시에 나타난 화자의 특성을 파악하고 분석했다. 그리고 두 시인이 특정한 인물의 목소리를 통해 그려내는 고향의 다른 모습을 살펴보고 비교해 보았다. 이 논문에서는 화자의 특성과 감각적 이미지를 중심으로 백석과 짱커자 시의 고향 의식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1930년대에 활동했던 한국 시인 백석과 중국 시인 짱커자 시의 고향 의식을 분석함으로써 백석 시가 보여준 어린 아이의 단순한 세계, 풍요로웠던 고향의 모습은 백석에게 가난한 현실을 견디게 하는 힘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에 비해 짱커자는 불행한 현실 앞에 성인 화자를 통해 농촌의 불안한 분위기를 묘사하고 농민의 불쌍한 생활 모습을 그려냄으로써 가난한 현실과 싸우고 시인의 마음에 있는 비통과 분노를 토했다. 이제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1930년대에 활동했던 한국 대표 시인 백석과 중국 대표 시인 짱커자는 고향을 형상화할 때 서로 다른 모습으로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1930년대 식민지 배경하의 백석은 풍요롭고 따뜻한 고향의 모습을 그려냈다. 이는 바로 식민지하에 잃어버린 고향의 모습이다. 백석은 유년 화자를 통해 잃어버린 고향과 나라를 재현한다. 비슷한 배경 하에 활동했던 짱커자는 일본의 침략 때문에 고향에 사는 농민의 비참한 생활을 시를 통해 그려냈다. 고향과 조국을 잃어버린 현실 앞에 유토피아로서의 아름다운 고향의 모습을 그려내게 된다.
This thesis compared the hometown’s consciousness between Korean poet Baekseok and Chinese poet Zang Kejia of 1930’s. This thesis discussed the hometown’s consciousness around the characteristic of poetic narrator and sensuous image. In this thesis, I analyzed the characteristic of poetic narrator. I also examined and compared the different images of the two poets' hometowns. I discussed the consciousness of hometown around the characteristic of poetic narrator and sensuous image in this thesis. In this thesis I discovered that the children's pure world and the affluent hometown's images which Baekseok showed us helped him bearing the poor reality. But in the front the unfortunate reality, Zang Kejia described the farming village's uneasy mood and farmers' poor lifes to fight with the reality and express his anger. As I have been examined that Korean poet Baekseok and Chinese poet Zang Kejia showed us the different hometown's images when they depicted their hometowns. Baekseok described affluent and warm hometown's images of the colonial era. That is the lost hometown's image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aekseok reproduced the lost hometown and country during a juvenile narrator. Zang kejia who lived under the similar background described the farming village's uneasy mood and farmers' poor lifes because of the Japan's invasion. In the front the unfortunate reality, Zang kejia drew a beautiful hometown as the utop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