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중 고등학생들의 극대화 경향, 후회, 행복감 및 학교 적응 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Maximizing Tendency, Regret, Happiness and School Adjustment of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and China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극대화 경향, 후회, 행복감 및 학교 적응 변인 간의 상호 관련이 있는지, 국가별(한국·중국)에 따라 변인들의 차이가 있는지, 한국과 중국 고등학생들의 극대화 경향, 후회 및 행복감은 이들의 학교 적응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변인들 간의 관계모형에서 국가별(한국·중국)에 따른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최종 분석 대상을 한국 고등학생 413명, 중국 고등학생 402명, 총 815명으로 선정하였다. 먼저, 한·중 고등학생들의 극대화 경향, 후회, 행복감 및 학교 적응 간의 상호 관련이 있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수행하였다. 국가별(한국, 중국)에 따른 각 변인들을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고등학생들의 극대화 경향, 후회 및 행복감은 학교 적응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선행 연구 고찰을 토대로 관계모형을 설정하여 모형의 적합도와 경로계수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관계모형에서 국가별에 따른 두 집단(한국 고등학생, 중국 고등학생)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다집단분석을 수행하였다.본 연구 결과, 첫째, 한국과 중국 고등학생들의 극대화 경향이 후회와 정적 상관이 있는데 행복감 및 학교 적응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회가 행복감 및 학교 적응과 부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복감이 학교적응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 고등학생들의 극대화 경향, 후회, 행복감 및 학교 적응은 중국 고등학생들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과 중국 고등학생들의 극대화 경향이 학교 적응에 직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후회 및 행복감을 거쳐 학교 적응에 간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가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결과, 극대화 경향이 후회에 미치는 영향, 후회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및 행복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중국 고등학생들에 비해 한국 고등학생들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후회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은 한국 고등학생들에 비해 한국 고등학생들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본 연구결과는 한국과 중국 고등학생들의 차이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며, 이들의 학교 적응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고등학생들의 학교생활에 적응을 잘 할 수 있도록 하여 특히 한국 고등학생들의 극대화 경향을 고려하며 이들의 행복감을 증진시키고 중국 고등학생들의 후회 경험을 감소시켜야 한다. 한국과 중국의 교육적 차원에서 교류를 활성화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Korean and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on maximizing tendency, regret, happiness and school adjustment. This study was also to identify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of maximizing tendency, regret, happiness on school adjustment, and to explore multi-group differences of these relations between Korean and Chinese students. The final samples consisted of 413 Korean and 402 Chinese students in high school.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each variable,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students groups(i.e., Korean students, Chinese students) along with factors which were maximizing tendency, regret, happiness and school adjustment, independent samples t-tests were conducted. Also, to examin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Korean and Chinese students' maximizing tendency, regret, happiness on school adjustment,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SEM) was conducted. Finally, to explore multi-group differences of these relations according to student’s nationality, multi-group analysis was used.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ly, for Korean and Chinese students, maximizing tendency, regret, happiness and school adjustment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each other. Second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maximizing tendency, regret, happiness and school adjustment between Korean and Chinese students. Korean students' maximizing tendency, regret, happiness and school adjustment were higher than Chinese students. Thirdly,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Korean and Chinese students supported that maximizing tendency had a direct negative influence on school adjustment. Also, Korean and Chinese students' maximizing tendency had a significant negative indirect influence on school adjustment through regret and happiness. As results of multi-group analysis, the influence of maximizing tendency on regret, and the influence of regret and happiness on school adjustment were stronger i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group than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group. While, the influence of regret on happiness was stronger in Chinese students group than Korean students group. A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in the other path betwee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group and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group.It was found students’ maximizing tendency, regret and school satisfaction to be very important for their school adjustment. Especially for Korean high school students, maximizing and happiness are more important for their school adjustment. And for Chinese students, regret is more important for their school adjustment. Also, the role of teachers to understand students' maximizing tendency and improve students’ happiness and school adjustment were discussed in dep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