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건축학 측면에서 바라본 미장센의 공간 체험과 재현 / The Space experience and reconstruction inside mise-en-scene with Architectural point of view
Document Type
Image
Author
Source
Subject
영화
건축학
공간 체험
공간 재현
공간 인식
공간 구축
Language
Korean
Abstract
Film and architecture are two different art forms, but they have a lot in common. As a part of the scene, architecture is used by movies to organize and define space. The space experience of architecture has a strong movie effect. Both movies and buildings have time and space structures, and can express people's feelings. Experience space is a relatively recognized way of thinking about space in architecture nowadays. It emphasizes people's perception in space. For most people, it is almost impossible to experience every space in person, and they usually have a preliminary understanding of space by means of words, images or oral narration. With the society entering the era of electronic information, the use of multimedia technology has enriched the way people spread information, The similarities between film and architecture in terms of space and time structure, narrative techniques and other aspects urge people to constantly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e spatial expressiveness of film also makes people gradually attach importance to the advantages of film in building real spac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common theoretical basis and interdependence between film and architecture from the perspective of film architecture, this paper points out the importance of film for the study of space experience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and puts forward three elements of space experience: time, space and events. Then, through the space case study and analysis of typical films, it explains how the film completes the generation of space cognition and experience with the help of film narrative techniques, compares this cognitive approach with other cognitive space approaches, and analyzes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approach. Next, by translating the space experience shown in the film into the architectural language, on this basis, the space can be reorganized and arranged so that it can reproduce the original space or re form the space. This way can not only express the physical state of the space, emphasize the existence of people, but also provide a possibility of space design from the perspective of time. Finally, the future space of the film and architecture is prospected. It provides some enlightenment for the current film practice in the expansion of imagination and creativity, and provides the possibility to express and give architectural space a cinematic spiritual experience beyond its material attributes. This paper is divided into 6 chapters. Chapter 1 is the introduction, which mainly expounds the research purpose, necessity, relevant concepts, research scope and methods of the subject, and has a certain understanding of the relevance between film and architecture. Chapter 2 clarifies the concepts of film architecture and space experience. Through the construction of space experience in films, it is concluded that the study of space experience in films is important to discuss the internal relationship between space and events in the architectural field. Chapter 3 draws the conclusion that the film and architecture can learn from each other on the narrative and spatio-temporal organization level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rchitectural space in the three classic films Back Window, Inception and Dune. This interaction can be either electric or architectural. Chapter 4 illustrates how the film uses these narrative languages comprehensively to help people understand space and form corresponding space experience through specific film space pictures, and deeply analyzes how to record and express space experience, so 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 and events, which may have some inspiration for the architectural field to discuss space and events. Chapter 5 is the reflection and prospect of the concept development of the future space under the film as a medium. Chapter 6 is the conclusion. Through the study of space experience and representation in the above films, it is concluded that the space experience discussed in the field of film architecture provides a new perspective for people. Finally,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영화와 건축은 두 가지 다른 예술 형식이지만, 그것들은 많은 공통점이 있다. 건축은 장면의 일부로서 영화에서 공간을 구성하고 정의하는데 사용되며 건축의 공간체험은 강렬한 영화적 효과를 가지고 있다. 영화와 건축은 모두 시간과 공간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인간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다. 공간 경험은 오늘날 건축학에서 인정받고 있는 공간에 대한 생각의 방식이며, 공간에서의 인간의 지각적 감수성을 강조하는데,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모든 공간을 직접 경험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 문자, 이미지 또는 구두 서술과 같은 방식으로 공간에 대한 초보적인 이해를 하게 되는데, 사회가 전자정보시대에 진입함에 따라 멀티미디어 기술의 활용은 사람들이 정보를 전파하는 방식을 풍부하게 하고, 영화와 건축은 시공구조, 서사수법 등 방면의 유사성은 사람들이 끊임없이 양자의 연계를 연구하게 하고, 영화가 나타낸 공간표현력도 사람들이 점차 영화가 현실공간을 구축하는데 있어서 우세함을 중시하게 한다. 본 논문은 영화건축학의 시각으로 영화와 건축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공통의 이론적 기초 및 상호 의존적 관계를 기초로 하여, 건축학 분야에서 공간의 경험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영화의 중요성을 지적하고 공간 경험을 구축하는 세 가지 요소를 제시한다: 시간, 공간, 사건. 다시 전형적인 영화의 공간 사례 연구 분석을 통해, 영화가 어떻게 영화의 서사 기법을 이용하여 공간의 인지와 경험의 생성을 완성하는지 설명하고, 이러한 인지 방식을 다른 인지 공간 방식과 비교하여 각 방법의 장단점을 분석한다. 그 다음에 영화에서 보여지는 공간적 경험을 건축 언어로 옮김으로써, 여기에 공간을 재구성하여 기존의 공간을 재현하거나 공간을 재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은 공간의 물리적 상태를 표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간의 존재를 강조할 뿐만 아니라 시간적 관점에서 공간 디자인의 가능성을 제공하며, 마지막으로 영화와 건축의 미래 공간성에 대한 전망을 제시한다.상상력과 창조성의 확장에 있어서 현재의 영화적 실천이 어떤 계시를 제공하며, 건축 공간의 물질적 속성을 초월하는 영화화된 정신적 체험의 가능성을 표현하고 부여한다. 이 논문은 모두 6개의 장으로 나뉜다. 제1장은 서론 부분으로 주로 과제의 연구목적, 필요성, 과목 연구대상의 관련 개념과 연구범위, 방법에 대해 서술하였으며 영화와 건축간의 연관성에 대해 어느 정도 인식하였다. 제2장은 건축학과 공간체험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영화 속 공간체험의 구성을 통해 건축분야에서 공간과 사건의 내적 연관성을 논의하는 데 있어 영화 속 공간경험을 연구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아낸다. 제3장은 세 개의 고전 영화의 건축적 공간에 대한 해석을 통해, 건축 공간의 해석을 통해, 영화와 건축은 서사와 시공간 조직 차원에서 완전히 상호 참고가 될 수 있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이러한 상호 영향은 영화적일 수도 있고 건축적일 수도 있다. 제4장은 영화의 구체적인 공간적 화면을 통해 영화가 어떻게 이러한 서사적 언어들을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사람들이 공간을 인지하고 그에 맞는 공간적 경험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지, 그리고 공간체험을 어떻게 기록하고 표현하는지를 깊이 분석하여 공간과 사건의 연관성을 탐구하는 것은 건축학 분야에서 공간과 사건을 논하는 데 어느 정도 영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제5장은 더 나아가 미래의 다중 현실 영화 공간 체험에 대해 사고하고 전망하며, 새로운 기술과 매체를 통해 영화 공간과 건축 양자가 더 나은 상호 작용과 발전을 할 수 있기를 바란다. 제6장은 결론 부분이다. 상기 영화 속의 공간 체험과 재현에 대한 연구를 통해, 영화 속에서 건축학적 시각으로 연구하다 공간 체험은 사람들에게 새로운 시각을 제공한다는 것을 알아냈으며,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제안에 대해 총평을 진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