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중 담화표지 ‘됐어’류와 ‘好了’류의 대조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Discourse Markers Between ‘dwaess-eo’ and ‘haole’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담화표지
‘됐어’
‘好了’
Language
Korean
Abstract
담화표지는 구어 발화에서 자주 쓰이며 화자와 청자의 발화 의도나 태도를 명확 하게 전달하는 데 있어 중요한 장치이다. 본고는 구어 발화에서 자주 쓰이는 한국 어 담화표지 ‘됐어’류와 중국어 담화표지 ‘好了’류를 연구 대상으로 한다. 이론적 고 찰을 통하여 ‘됐어’류와 ‘好了’류의 화용적 기능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데 목 적이 있다. 본고에서는 ‘됐어’류와 ‘好了’류의 화용적 기능을 대인적 기능과 텍스트적 기능으로 구분하여 살펴볼 것이다. 이에 앞서 담화표지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 여 담화표지의 정의, 특징을 살피고 ‘됐어’류를 담화표지로 간주하는 이유도 밝히려 고 한다. ‘됐어’류와 ‘好了’류의 실제 구어 양상을 분석하여 두 언어의 공통점과 차이 점을 밝힘으로써 중국인의 담화표지에 대한 학습과 한·중 번역에 도움을 줄 수 있 을 것이라 기대된다. 본 연구의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선행연구와 연구대상 및 연구 방 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선행연구는 한국어 담화표지 ‘됐어’류에 대한 연구와 중국어 담화표지 ‘好了’류에 대한 연구, ‘됐어’류와 ‘好了’류의 대조분석에 대한 연구로 나누 어 고찰하였다. 2장에서는 한·중 담화표지의 이론적 배경, 즉 한·중 담화표지의 정의 및 특징에 대해 간단하게 정리하였다. 이 장에서는 한국어의 ‘됐어’류를 담화표지로 간주하는 이유에 대해 논의하고 ‘됐어’와 ‘好了’를 대조분석하기 위한 기준을 정하였다. 3장에서는 한·중 담화표지 ‘됐어’와 ‘好了’의 담화표지화 과정에 대해 밝혔다. 한국어 담화표지 ‘됐어’는 ‘되다’의 완결형인 ‘됐어1’에서 담화표지로서의 ‘됐어2’로 발전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같은 방법으로 중국어 담화표지 ‘好了’도 동사 및 보어인 ‘好了1’에서 어조사 ‘好了2’를 걸쳐 담화표지 기능을 수행하는 ‘好了3’로 담화표지화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4장에서는 한·중 담화표지 ‘됐어’류와 ‘好了’류의 대인적 기능을 살펴보고 대조분석하였다. ‘됐어’류와 ‘好了’류를 ‘부정 기능, 거절 기능, 인정 기능’ 등의 측면에서 살펴보고 그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하였다. ‘好了’류는 ‘반어적 기능’과 ‘주의 환기 기능’도 수행하고 있음을 밝혔다. 5장에서는 한·중 담화표지 ‘됐어’류와 ‘好了’류의 텍스트적 기능을 살펴보고 대조분석하였다. 텍스트적 기능은 주로 ‘화제 시작, 화제 전진, 화제 전환, 화제 마무리 기능’으로 고찰하였다. ‘됐어’류와 ‘好了’류는 기능에 따라 문장에 나타나는 위치도 달라진다. ‘됐어’류와 ‘好了’류의 형태별 사용 양상도 도출하였다. 마지막 6장에서는 앞서 연구된 5장의 내용을 종합해서 본 연구에 대한 결론을 보였다.
Discourse markers are often used in spoken speech and are an important device that clearly communicates the intent or attitude of the speaker and listener. This paper focuses on the Korean discourse markers ‘됐어(dwaess-eo)’ and Chinese discourse signs ‘好 了(haole)’, which are often used in spoken spee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pragmatic functions of ‘Okay’ and ‘好了(haole)’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In this paper, pragmatic functions are classified into interpersonal functions and textual functions, and research will be conducted based on this criterion. Throug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discourse cover, the definition, function, and characteristics of discourse cover will be examined. Analyzing the actual colloquial aspects of ‘됐어(dwaess-eo)’ and ‘好了 (haole)’ clarify the shift points between the two languages. This paper is intended to help with the study of Chinese discourse covers and trans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Chapter 1,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previous studies,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methods were explained. Among them, the preceding studies were divided into studies on the contrast between the Korean discourse marker ‘됐어(dwaess-eo)’ and the Chinese discourse marker ‘好了(haole)’, and the contrast between ‘됐어(dwaess-eo)’ and ‘好了(haole)’. In Chapter 2,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Korean-Chinese discourse signs, that is, the definition,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Chinese discourse signs were examined. This chapter also discusses whether the Korean speech cover ‘됐어(dwaess-eo)’ is considered a discourse sign and sets the standard for compare ‘됐어 (dwaess-eo)’ and ‘好了(haole)’. In Chapter 3, the grammarization process and discourse cover of the Korean-Chinese discourse signs ‘됐어(dwaess-eo)’ and ‘好了 (haole)’ will be clarified. We looked at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discourse marker ‘됐어(dwaess-eo)’ is cover from “됐어(dwaess-eo)1” which is the final type to ‘됐어 (dwaess-eo)2’ which as a discourse marker. In the same way, the Chinese discourse sign ‘好了(haole)’ is from ‘好了(haole)1’, which is a verb to ‘됐어(dwaess-eo)2’ which as a discourse marker. Then from ‘好了(dwaess-eo)2’ to ‘好了(haole)3’, which performs the function of a discourse marker. In Chapter 4, the interpersonal functions of the Korean-Chinese discourse signs ‘됐어(dwaess-eo)’ and ‘好了(haole)’ are examined and contrasted. ‘됐어(dwaess-eo)’ and '好了' derive their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terms of negative functions, rejection functions, and recognition functions. '好了' also performs an ironic function and an alert function. In Chapter 5, the textual functions of the Korean-Chinese discourse markers ‘됐어(dwaess-eo)’ and ‘好了(haole)’ are examined and contrasted. Textual functions were mainly considered as topic start, topic advance, topic change, and topic finish functions. The position in the sentence is also grasped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됐어(dwaess-eo)’ and ‘好了(haole)’. We also looked at whether ‘됐어 (dwaess-eo)’ and ‘好了(haole)’ were omitted. In the last sixth chapter, a conclusion about this study is concluded by synthesizing the contents of the five previously studied chap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