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축성 소재에 따른 원피스 패턴 연구 / A Study on the Pattern by the Characteristics of Stretch Fabrics of One-piece dres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소재
원피스
패턴
신축성
여유량
중합도.
Language
Korean
Abstract
의복은 사용 목적에 따라 그 종류가 다양하여 소재의 적절한 선택과 사용이 필요하므로 단순한 의복제작 보다는 패턴설계 개념으로 해석하고 실행되어야 한다. 또한 의복은 착용자의 체형과 특징의 변화를 바탕으로 미적인 면과 기능적인 면을 조화시켜 일상생활 중에도 아름답게 보이도록 설계되어져야 한다. 인간의 활동영역이 광범위해지면서 의복의 기능성을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의복설계의 필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의복 소재는 종류에 따라 신축성에 차이가 있으므로 패턴 제도 시 소재의 특성에 맞추어 적정 여유량을 부여하여야 하며, 이러한 적정 여유량은 형태 안정성 및 외형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직물의 신축성으로 인해 디자인, 봉제, 착용 시 문제가 일어나기 쉬우므로 이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대 여성의 원피스 설계에 있어서 소재에 따른 원피스 여유량 차이에 관한 연구를 통해, 20대 여성의 신체 적합도를 높여 만족도를 증가시키고 20대 여성의 수요에 부응하고자 한다.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원피스 디자인은 기본형 암홀 프린세스 라인으로 하였고 패턴 제작법은 현재 여성 의류업체 브랜드 중 매출액 1000억이상, 브랜드 순위 30 위 내 에서 선정된 ′A′ 업체에서 제시한 기본 바디스 원형 및 소매원형과 원피스 제도법을 이용하였다. 실험 소재는 울 100%, 울·스판 혼방, 울·저지 3종류로 선정하였다. 2. 1차 패턴으로 3가지 소재에 따른 실험용 원피스Ⅰ(울 100%), 원피스 Ⅱ(울·스판 혼방), 원피스Ⅲ(울·저지)을 제작하고, 1차착의 실험으로 객관평가인 외관 평가와 주관평가인 동작적합성 평가를 분석한다. 3. 1차 착의실험 결과를 기초로 하여 패턴을 수정 보완 한 후, 2차 실험용 원피스Ⅰ(울 100%), Ⅱ(울·스판 혼방), Ⅲ(울·저지)을 제작하고, 2차 착의실험을 통하여 그 결과를 고찰한다.4. 소재에 따른 원피스 패턴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원피스Ⅰ(울 100%), 원피스Ⅱ(울·스판 혼방), 원피스Ⅲ(울·저지) 각각의 적용치수와 패턴 치수, 중합도를 제시하고 패턴상의 여유량 차이를 비교 분석한다. 본 연구의 관능평가통계 분석은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가 결과 항목에 대해 원피스별 전체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여 기술통계를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연구 패턴간의 차이는 t-test를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울 100%소재로 제작한 실험용 원피스 Ⅰ은 1차 착의 평가에서 낮은 수준으로 평가되었던 항목 결과를 토대로, 가슴둘레, 허리둘레 및 전체적인 둘레부위 여유분량이 부족하고, 소매산이 낮아 소매에 군주름이 생긴다고 판단되어, 가슴둘레/2 여유분을 1.28cm를 더해주고 소매산 높이를 1.59cm 높여 소매위팔둘레를 0.95cm 줄여주었다. 그 외에도 총길이와 다트분량을 제외한 전체적인 여유분량을 더해주었다. 울·스판 혼방(울 85%, 폴리에스터 10%, 스판 5%) 소재로 제작한 원피스Ⅱ 1차 착의 평가에서 몸판 항목에서 대체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아 기본 여유분량의 패턴으로 제작시 울·스판 혼방 소재가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어 몸판 둘레부위 여유분량의 수정은 하지 않았다. 반면, 소매 항목에서는 낮은평가를 받아 소매산을 0.95cm 높여주면서 소매위팔둘레를 1.27cm 줄여주었다. 그 외에 신축성에 의해 원피스길이와 소매길이를 0.95.cm 줄여주고, 동작적합성 결과를 바탕으로 진동깊이를 0.95cm 높여주었다. 울·저지 소재로 제작한 원피스Ⅲ는 1차 착의 평가에서 대체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지만, 신축성의 영향으로 여유분량이 많아 의도된 디자인 보다 커졌다고 판단이 되어, 이는 원피스길이와 소매길이 1.59cm 줄여주고, 가슴둘레/2에서 1.28cm 여유분량을 줄여주는 등 길이 및 둘레부위 여유분량 모두 전체적으로 줄여주는 수정을 보았다. 1차 패턴의 수정·보완 후 각 소재의 2차 원피스 패턴이 기본 원피스패턴 보다 우수함을 나타내었다. 최종 패턴의 비교는 몸판패턴은 가슴둘레선, 소매패턴은 소매밑단둘레선을 기준으로 비교한 3개의 원피스의 중합도를 통해 패턴상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원피스길이, 목옆어깨가쪽길이 , 겨드랑뒤벽사이길이, 진동둘레, 가슴둘레,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항목에서 전체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소매의 경우에도 소매산높이, 소매산둘레, 소매위팔둘레, 소매밑단둘레, 소매길이, 소매둘레의 오그림 분량 등 전체적인 차이를 발견하였다. 원피스 Ⅰ․Ⅱ․Ⅲ의 패턴상의 중합도 차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 기본 여유분량의 패턴으로 제작하였을 때 가장 적합하다고 평가된 울·스판 혼방소재의 원피스Ⅱ를 중심으로, 저지소재의 원피스Ⅲ은 스트레치가 좋은 소재이기 때문에 소재의 특성상 원피스를 제작하였을 때 늘어남에 대한 해결책으로 전체적으로 여유분량을 많이 줄였고, 원피스Ⅰ은 다트량을 제외한 전체적인 여유분량을 늘렸기 때문에 울100%소재의 원피스Ⅰ과 저지소재의 원피스Ⅲ이 패턴상의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20대 여성의 원피스 설계에 있어서 소재에 따른 여유량 차이에 관한 연구를 통해, 20대 여성의 신체 적합도를 높여 만족도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