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모윤숙 시에 나타난 꽃의 의미 / The Meaning of the Flower in Mo Yun Suk's Poetry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모윤숙
Language
Korean
Abstract
One thing to note in our poetry in the 1930s is the emergence of women poets represented by Mo Yunsuk and Roh Cheon-myeong. At the time, they received professional education that many women were not able to get, and as new women who went ahead of the era, they paid attention to literature. They are important figures who actively expanded their writing activities. Also, they are the poets who helped encouraging a new assessment on women's literature in the time when women's literatures were not evaluated appropriately. Particularly, Mo Yunsuk received a special attention in writing poems participating in the society actively, instead of writing on personal interests of which were many female poets' topics at that time. Mo Yunsuk wrote a wide range of poems from the 1930s to 1980s. Her poems usually dealt with topics on women's liberation, folk lyricism, criticism of reality based on patriotism and the spirit of the nation. However, due to her pro-Japanese acts as well as political activities for Rhee Syngman regime, her poems were not evaluated properly so far. Only a few cases analysing her work in depth limited the analyses to a number of poems, repeatedly selected from certain books such as『Glowing region (Bitnaneun Jiyeok)』,『Jade Binyeo (Okbinyeoi)』and『Storm (Punglang)』. In other times, only the overall content of the work was attempted to be identified, and a detailed study was not performed yet.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meaning of motifs used in the poems of Mo Yunsuk. Also, this study investigated correlations between these motifs and the tendency of the poems. Based on this, a detailed interpretation of the poetry works was conducted. It is very important to study motifs in a poem in order to interpret the work properly and understand the poet's consciousness. Furthermore, it is meaningful to identify them in order to approach the poem more easily. Various types of motifs were used in the Mo Yunsuk's poetry. The vast majority of them are natural motifs. This study focused more attention to flowers than images such as sky, stars, wind, and clouds which were discussed many times before. Although flowers do not appear in Mo Yunsuk's poetry as much as images such as sky, stars, wind, and clouds, these flower motifs help to understand Mo Yunsuk's poetry to a great extent, as they all well-reflect the tendency of Mo Yunsuk's poetry. In order to investigate how roses, azaleas, and peonies are reflecting a general tendency of Mo Yunsuk's poetry among many different flowers, first of all, a general tendency of Mo Yunsuk's poetry is required to be understood. The tendency of Mo Yunsuk's poetry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which are ‘patriotism and the spirit of the nation’, 'women's liberation', 'folk lyricism', and 'criticism of reality'. Specifically, ‘patriotism and the spirit of the nation’ is flowing consistently all through her poetry works, by the influence of home environment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from her childhood. Roses, azaleas, and peonies all indicate the spirit of the nation. Consciousness on 'women's liberation', and 'folk lyricism' are also well-reflected on roses, azaleas, and peonies. Criticizing the wrong social structure in the 60s and the 70s, roses symbolize the 'suffering' from dehumanization and emptiness caused by the ill society. Azaleas are applied in the poems using folk motifs. They indicate 'hope' as Mo Yunsuk sings her personal emotions in the poems. Peonies also expresses 'happiness' in the poems singing her personal feelings in her daily life. Meanings of flowers represented in Mo Yunsuk's poetry are more special than a universal meaning most people think. Roses usually represent a symbol of passion; azaleas represent a symbol of hope as flowers in the spring, and peonies are often used as a symbol of prosperity and abundance. However, the flowers represented in Mo Yunsuk's poetry express patriotism and the spirit of the nation, suffering, hope and happiness, as they are expanding each basic meaning more broadly. Although the frequency of these motifs' appearance is not as often as other images such as sky, wind, clouds and stars, the general tendency of Mo Yunsuk's poetry, which is shown through her eight books of poetry, is well emerged in the motifs of flowers. For this reason, the implication of flower motifs in Mo Yunsuk's poetry is considered to be great, and it is meaningful to analyze her poems based on this.
1930년대 우리 시단에 나타난 큰 특징 중 하나는 모윤숙과 노천명으로 대변되는 여성 시인들의 등장이다. 이들은 당시, 많은 여성들이 받지 못했던 전문적인 교육을 받으며, 시대를 앞서가는 신여성으로서 문학에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작품 활동을 펼친 인물들이다. 또한 모윤숙과 노천명은 당시 여성 문학이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하던 시기에 여성 문학에 대한 새로운 평가를 내릴 수 있게 한 시인들이기도 하다. 특히 이들 중 모윤숙은 기존의 여성 시인들이 다루었던 개인적인 주제를 다룬 시가 아닌, 사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시를 써 문단의 주목을 받았다. 그녀는 주로 조국애와 민족의식을 기반으로 한 여성해방의식, 향토적 서정, 현실비판의식이 담긴 내용들을 다루며 진취적인 모습이 담긴 작품을 많이 남겼는데, 이러한 작품은 당시 여성 시인이 쓴 작품에 관심을 두지 않던 이들까지 관심을 갖게 하는 요소로 작용하였다. 그러나 친일 행적과 이승만 정권에 편승한 정치 활동으로 모윤숙의 작품은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했다. 또한 작품에 대한 구체적인 해석이 이루어진 경우는 시집『빛나는 지역』과『옥비녀』,『풍랑』에 담긴 작품들 중 세간에 알려진 몇몇 작품들만이 반복적으로 논의 되거나, 작품의 전체적인 내용만을 파악하는데 그쳐 작품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모윤숙 시에 쓰인 소재의 의미를 파악하여, 시의 경향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으로 작품을 해석해 보고자 한다. 시에 쓰인 소재를 살피는 일은 작품을 해석하고 작가의 의식을 파악하는데 매우 중요하며 시에 좀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모윤숙 시에는 굉장히 많은 종류의 소재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들 중 자연적 소재들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데, 이 중에서 하늘, 바람, 구름, 별 등의 이미지들 보다 비교적 논의가 덜 된 꽃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꽃은 비록 위에 언급된 하늘, 바람, 구름, 별 등의 이미지들보다 많이 등장하지는 않지만 모윤숙 시의 경향이 모두 반영된 소재로 사용되고 있어 모윤숙 시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한편, 모윤숙 시에는 굉장히 다양한 종류의 꽃들이 등장하는데 이들 중 본고에서는 가장 빈번하게 사용된 장미, 진달래, 모란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장미, 진달래, 모란은 그녀의 시의 경향인 ‘조국애와 민족의식’, ‘여성해방의식’, ‘향토적 서정’, 그리고 ‘현실비판’의 의미로 대변되며 시 속에서 중요한 소재로 등장한다. 특히 ‘조국애와 민족의식’은 어린 시절부터 가정환경이나 주변 환경의 영향으로 그녀의 정신사를 지배하며 대부분의 시에 나타나는 사상으로 장미, 진달래, 모란 모두 민족의식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여성해방의식’, ‘향토적 서정’, ‘현실비판’의 경향 역시 장미, 진달래, 모란에 반영되어 나타나는데, 장미는 60,70년대를 배경으로 잘못된 사회 구조를 비판하며 그 속에서 오는 인간성 상실과 허무감을 ‘고통’의 의미로 나타내었고, 진달래는 작가의 개인적 감정을 노래하며 향토적 소재들을 이용해서 쓴 작품에 ‘희망’의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모란 역시 작가 개인이 일상에서 느꼈던 감정을 노래한 작품 속에서 ‘행복’의 의미로 표현되었다. 모윤숙 시에 나타난 꽃의 의미는 주로 사람들이 생각하는 보편적 의미에서 파생되어 특수한 의미로 쓰인 것을 볼 수 있다. 열정의 상징으로 대변되는 장미, 봄에 피는 꽃으로 희망을 상징하는 진달래, 번영과 풍요의 상징으로 쓰이는 모란 등 대부분, 사람들이 생각하는 상징적인 의미를 바탕으로 그 속에서 파생되는 민족의식, 고통, 희망, 행복을 표현하였다. 비록 모윤숙 시에서 꽃이 하늘, 바람, 구름, 별 등의 이미지들만큼 많이 등장하는 것은 아니지만 모윤숙이 8권의 시집을 내는 동안 보여주었던 시의 경향이 꽃에 고스란히 등장한다는 점에서, 꽃이 지니는 의의는 크며, 이것을 바탕으로 시를 파악하는 일 역시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