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프리셉터와 일반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조직몰입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프리셉터
일반 간호사
전문직 자아개념
조직몰입
Language
Korean
Abstract
국문요약 프리셉터와 일반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조직몰입 신 선 영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과학과(지도교수: 김 해 준, M.D., MPH, Ph.D.) 목적: 프리셉터와 일반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조직몰입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프리셉터 교육제도 운영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서울지역에 소재하는 1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경력 3년 이상의 간호사로서 프리셉터 교육을 받고 최근 1년 이내에 프리셉터의 역할을 경험한 간호사(73명)와 프리셉터 교육을 받지 않은 일반간호사(80명) 이었다. 설문지는 Arthur(1990)가 개발한 전문직 자아개념 측정도구와 Mowday 등(1979)이 개발하고, 김성국(2005)이 번역한 조직몰입 측정도구로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AS 9.2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결과: 프리셉터군과 일반 간호사군 각각에서 전문직 자아개념과 조직몰입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프리셉터군에서는 낮은 수준의 상관관계가, 반면 일반 간호사군에서는 보통 수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프리셉터의 전문직 자아개념 정도는 일반 간호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프리셉터의 조직몰입은 일반 간호사보다 높았으나 경계역 수준에서 유의하였다. 전문직 자아개념의 정도는 일반적 특성 중 연령, 결혼 여부와 간호사 구분 변수 간에 상호작용이 있었다. 즉, 프리셉터군에서는 연령의 증감에 관계없이 비슷한 수준의 전문직 자아개념 정도를 보인 반면, 일반 간호사군에서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자아개념의 정도가 증가하였다. 그리고 결혼 여부에서도 상호작용을 보였는데, 프리셉터군에서는 결혼 여부에 관계없이 서로 비슷한 수준의 전문직 자아개념을 보인 반면 일반 간호사군에서는 결혼을 함에 따라 전문직 자아개념의 수준이 크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리고 자아개념의 정도는 일반 간호사군에서는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그리고 총 경력이 길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프리셉터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일반적 변수가 없었다. 조직몰입의 정도는 일반적 특성 중 결혼 여부와 간호사 구분 변수 간에 상호작용이 있었다. 즉, 프리셉터군은 결혼 여부에 관계없이 서로 비슷한 수준의 조직몰입을 보인 반면 일반 간호사군에서는 결혼을 함에 따라 조직몰입의 수준이 크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리고 조직몰입의 정도는 일반 간호사군에서는 연령이 많아지거나, 최종학력이 높아지거나, 총 경력이 길어질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나 프리셉터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일반적 특성 변수가 없었다. 결론: 전문직 자아개념의 정도는 프리셉터군이 일반 간호사군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특히 젊은 프리셉터와 미혼의 프리셉터는 같은 조건의 일반간호사보다 전문직 자아개념의 정도가 높았다. 그러나 조직몰입의 정도는 프리셉터군이 일반 간호사군 보다 높았지만 경계역 수준에서 유의하였다. 조직몰입에서는 젊은 프리셉터의 조직몰입 정도가 같은 조건의 일반간호사보다 높았다. 그러나 프리셉터의 역할로 인해 간호에 대한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다고 하여도 조직몰입에까지 미치는 영향은 기대한 것보다 높지 않았다. 따라서 조직몰입을 위한 방안은 전문직 자아개념을 높이는 전략만으로는 해결되지 않음을 알 수 있으며, 실질적인 임상에서의 변화를 가져올 때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조직몰입을 위한 프리셉터 제도의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주제어 : 프리셉터, 일반 간호사, 전문직 자아개념, 조직몰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