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비즈니스 호칭어 교육방안 연구 : 웹툰 <미생>을 중심으로 / A Educational Plan on Learning Korean Practical Terms of Address for Chinese Learner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세계경제가 글로벌화 추세에 따라 한·중 비즈니스 활동이 갈수록 더욱 깊은 단계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한·중 호칭어 체계와 사용법의 차이로 인하여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 모국어 화자를 부를 때 자주 무의식적인 실수를 한다. 한국문화와 알맞게 언어 예의와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을 형상시키기 위하여 호칭어는 적절하게 만들어 주는 것이 필요하지만 적절하지 않은 호칭어가 청자에게 당황스러운 처지를 만들어 줄 수 있다. 사회적인 관계를 유지해야 하여 실제적인 직장을 반영하는 한국 호칭어교육을 모색하는 것이 의미를 가진다. 본고는 한국어 호칭어의 유형을 통해 웹툰 에서 직장 내 호칭어를 분석하여 화자의 신분에 따라 호칭어 그리고 호칭어와 화계 간에 관계를 탐구한다. 비즈니스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 호칭어를 이해하기 위해 직장 내 호칭어 교육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Ⅰ장에서 연구 필요성과 대상을 제시하고 연구 방법을 설명하며 선행연구를 탐구하였다. Ⅱ장에서 호칭어의 개념을 살펴보고 이름형 호칭어, 대명사형 호칭어, 직함형 호칭어, 통칭형 호칭어, 대체형 호칭어로 분류하고 기술하였다. 호칭어와 화계의 관련성이 밝히었다. Ⅲ장에서 Ⅳ장에서 중국 대학교 내 수행하는 교재를 분석하여 교재 안에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호칭어교육의 등급을 정한 후 Lewis의 OHE 모형을 이용하여 한국 직장 내 호칭어 교육방안을 탐구하였다. Ⅴ장에서 본고의 결론을 내리고 연구하는 의미와 제한점을 정리하였다.
As the economic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and globalization trend becomes more active and deeper, it's been more important to use the proper terms of address to native Korean. However, the diffrences of system and using of terms of address makes often unitentional mistakes when it comes to call opponent in business world. Considering that Korean society has a unique hierarchical culture and it was projected their language natually, often using unproper terms of address would be an obstacle to enhance or maintain their social relationship. Therefore finding a educatinal plan on learning practical terms of address would be a helpfull to Chinese learner who want to promote their communication skill in feild of buiseness. This study analyse terms of address in Misaeng, the web-toon which has known for best webcomic to office workers in Korea.With thier convesation, it expected that Chinese learners could understand linguistic change of terms of address by thier Status Hierarchies. In chapter Ⅰ, we present the research necessity and object, explain the research method, and explore the preceding research. In Chapter Ⅱ, the concept of the nomenclature is examined and classified into the nomenclature type name, pronoun type naming language, title type naming language, common type naming language, and alternative naming language. In addition The relation between the name and the vowel was revealed. Chapters Ⅲ to Ⅳ analyze the textbooks conducted by Chinese universities and present problems in the textbooks. Then, after determining the grade of learner 's education, Lewis' s OHE model was used to investigate the learner' s education in Korea. Chapter Ⅴ summarizes the conclus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