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삼국시대 마갑 연구 / A Study on the Horse Armor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마갑
소찰
마갑 형태
마갑 구성
연결기법
구조
삼연
고구려
백제
가야
신라
Language
Korean
Abstract
본고는 마갑의 구조를 밝히기 위해 작성되었다. 마갑은 수백 매의 소찰을 연결하여 완성되기 때문에 그 구조를 밝히는 작업이 쉽지 않다. 이 때문인지 현재까지의 연구도 소찰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마갑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구조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최근 쪽샘 C10호묘에서 완전한 상태의 마갑이 발굴되는 등 출토상태가 양호한 자료가 지속적으로 축적되고 있다. 이에 주목하여 본고에서는 마갑의 구조복원을 시도하였다.먼저 소찰의 평면형태와 투공배치를 통해 소찰을 분류하였다. 이를 토대로 동일한 소찰조합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소찰구성으로 파악하였다. 각 소찰구성별 마갑의 출토상태를 분석하여 부위별 마갑 형태도 복원하였다. 다음 각 부위별 마갑의 유무를 통해 마갑 구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상의 검토결과를 통해서 삼국시대 마갑을 크게 ‘부산형’, ‘옥전형’, ‘경주형’, ‘마갑총형’ 마갑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 마갑들은 지역성을 크게 반영하고 있다. 다만 각각은 서로 제작기술이 공유되고 있어 유기적인 관계임을 밝혔다. 이를 토대로 삼연, 고구려, 백제, 일본열도 등 동북아시아 전체의 마갑도 함께 검토하였다. 삼연에서는 전연시기 독자적인 마갑을 제작하였는데 이를 ‘전연형 마갑’이라 명명하였다. 이 마갑은 동시기 고구려에서도 확인되고 있어 주목된다. 고구려에서는 전연이 멸망한 시기 독자적인 마갑이 출현한다. 이를 ‘고구려형 마갑’이라 하였는데 5세기 초반에 매우 유행하고 있었다. 전연형 마갑과 고구려형 마갑은 모두 백제지역에서도 출토되어 그 확산범위도 추정할 수 있었다. 일본열도에서는 옥전형 마갑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자료와 공주 공산성에서 출토되는 마갑과 유사한 소찰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당시 일본열도에 가야와 백제지역으로부터 마갑 제작기술이 유입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