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야 문화권 고분군 박물관 전시와 교육프로그램 연구 / Research on exhibitions and educational programs at the ancient tombs museum in the Gaya cultural region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삼국을 중심으로 전개된 한국 고대사 연구에 비해, 가야사 연구는 임나일본부설 등의 식민주의 역사관과 문헌 자료의 부족 등으로 인해 체계가 잡히지 못하고 있었지만, 1980년 이후 경상도 일원에서 발굴조사가 시작되면서 가야사 연구가 시작되었다. 각국의 가야 고분군 발굴조사 성과를 토대로 박물관이 설립되었다. 본 연구는 가야 문화권 고분군 박물관의 전시와 교육프로그램 사례를 분석하고 종합하여 가야 문화권 고분군 박물관의 현주소를 확인해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삼국유사』에 일연이 기록한 지역에 있는 박물관으로, 대성동고분박물관, 함안박물관, 대가야박물관, 성주 성산동 고분군 전시관, 창녕박물관까지 총 6개의 공립박물관으로 정하였다. 이들은 가야 고분에서 발굴된 유물을 전시하며, 유적지 주변에 위치하는 공립박물관이다. 먼저는 고분군 박물관이 다른 박물관과 어떤 차별성을 가졌는지 살펴보았다. 고분군 박물관이 건립된 배경과 역할을 정리하고, 전시물과 교육프로그램에 대해 이론적으로 살펴보았다. 본격적인 박물관 분석에 앞서, 가야의 역사와 특징을 정리하였고, 가야 문화권 고분군의 발굴조사 현황을 정리하며 지역별 발굴사와 출토 유물 등의 조사 결과와 의의를 살펴보았다. 문헌 기록이 거의 없다시피 한 가야사에서 발굴조사를 거친 고분군은 가야의 성립과 성격 등을 연구하는 데 아주 귀중한 자료이다. 가야 문화권 고분군 박물관의 특징을 도출하기 위하여 6개 가야 문화권 고분군 박물관의 전시와 교육프로그램 현황을 분석하였다. 박물관 교육은 전시물을 바탕으로 구성주의적 학습 가능성이 있지만, 실제 박물관에서 구현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가야 문화권 고분군 박물관의 전시와 교육의 발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는 가야 문화권 고분군 박물관은 서로 긴밀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유지하며 함께 연구해야 한다. 가야 고분군의 세계유산 등재를 위하여 소통의 움직임이 보이고 있으나, 아직 많이 부족한 단계이다. 둘째는 가야 문화권 고분군 박물관과 고고학 전문기관 · 대학교와의 교류를 통해 발굴 현장 등의 직접 체험하는 교육을 운영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는 유물 · 유적이 가까이 있다는 강점을 살려서 현장 체험을 진행함으로 고고학에 관한 일반 대중들의 흥미와 관심을 높여야 한다. 넷째는 가야사 프로그램에 있어서 부족한 문헌 기록을 물질문화로만 채울 것이 아니라, 수로왕 신화나 허왕후 이야기 등의 설화를 통한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하는 것이다. 특히, 설화와 연관된 구지봉 등의 유적이 남아 있어서 설화와 유적을 연계하면 더욱 깊이 있는 가야문화 교육을 이룰 수 있다. 이처럼 가야 문화권이 소통을 통해 전시와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면서 가야 문화권 고분군 박물관이 유적박물관이자, 지역박물관으로써 한 단계 성장할 것을 기대한다.
Unlike ancient Korean history studies centered on the three countries, Gaya history studies were not organized due to a lack of historical view of colonialism and literature materials, but Gaya history studies began after excavations in the entire Gyeongsang-do area began after 1980. Museums were built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Gaya Ancient Tombs excavations in each nation.To establish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ancient tomb museums in the cultural region of Gaya, this study examines and aggregates cases of exhibitions and educational programs of the ancient tomb museums in the cultural area of Gaya. Museums in the area described by Il-yeon in "Samguk Yusa" were chosen as subjects of study, with a total of six public museums chosen: Daeseong-dong Tombs Museum, Haman Museum, Daegaya Museum, Seongju Seongsan-dong Tombs Museum, and Changnyeong Museum. These public museums are located near the historic sites and display relics discovered in the Gaya tombs.First, the examination of the Ancient Tombs Museums' specific discrimination from other museums were done. The ancient tombs museums’-built background and role were arranged, and the exhibits and educational programs were theoretically investigated.Before full-out examination of the museum, the history and features of Gaya were outlined, the present situation of ancient tomb excavations in the Gaya cultural area was put together, and the findings and significance of excavation histories by region and unearthed items were analyzed. The investigated ancient graves unearthed at Gaya history, where there are virtually no literature records, provide vital information for studying Gaya's establishment and personality.The present condition of displays and educational programs in six Gaya cultural area's ancient tomb museums was evaluated in order to extract the features of ancient tomb museums in the Gaya cultural region. Although constructive learning based on displays is possible in museum educational, it is challenging to apply in a real museum. A proposal for the development of displays and education at the ancient tomb museums in the Gaya cultural region was produced.Primarily, the Gaya Cultural Ancient Tombs Museum should establish, maintain, and research together with close networks with one another. There is a motion of communication on to register the Gaya Ancient Tombs as a UNESCO World Heritage, however it is still in deficient stage. Second, via exchanges between the Gaya Cultural Ancient Tombs Museum and archaeological preamble institutes and universities, efforts are needed to run education that directly encounters excavation sites. Third, through conducting field experiences and utilizing the strength that relics and ruins are nearby, it is vital to boost the general public's interest and attention in archaeology. The fourth is not only employing material culture to supplement the paucity of literature records in Gaya history, but also using storytelling technique like as the King Suro and Queen Heo tale. Particularly, relics such as Gujibong Peak, which are linked to fables, exist, and if the folktales are linked to the remnants, a more in-depth Gaya cultural education may be achieved. Hope that the Gaya Cultural Ancient Tombs Museum will expand to the next level as both a historical museum and a local museum as the Gaya cultural region develops and manages exhibitions and educational programs through communication.